• 제목/요약/키워드: volcanic cave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5초

K-Ar Age Detwermination of a Lava Stalagmite in Manjang Cave Jeju Island Korea

  • Okada, Toshinori;Itaya, Tetsumaru;Sawa, Isao;Hong, Shi-Hwan
    • 동굴
    • /
    • 제42권2호
    • /
    • pp.17-28
    • /
    • 1995
  • THE K-AR METHOD of age determination is commonly used to date rocks from Pleistocene volcanoes in Japan (e.g. Kaneoka et al. 1980, Itaya et al. 1984, Shimizu et al. 1988, Itaya et al. 1989).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problems with K-Ar dating of the young volcanic rocks, as reviewed by Itaya and Nagao (1988).(omitted)

  • PDF

백두산과 제주화산도에 있는 용암동굴의 X선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Volcanic Cave Rocks in Mt. Peakdu Group and Cheju Island)

  • 김경훈
    • 동굴
    • /
    • 제45권46호
    • /
    • pp.9-31
    • /
    • 1996
  • The Mt. Peakdu is situated in north of the main peninsula, commanding geographically coordinated between longitude W($127^{\circ}$ 15' - $128^{\circ}$ 00') to E($128^{\circ}$ 15'- $129^{\circ}$ 00'), between latitude from S($41^{\circ}$ 15'- $42^{\circ}$ 00') to N($42^{\circ}$ 10'- $42^{\circ}$ 40'). The Manjyang-Gul in Cheju volcanic island is situated in the south of the main peninsula, commanding the Korean Strait, geographically coordinated longitude N($33^{\circ}$ 32' 26") and E($126^{\circ}$ 46' 48"). The quantitative analysis using XRF of volcanic rock samples for the north of Lu- Ming- Feng in Mt. Peakdu Group and the Manjang-Gul in Cheju island was Performed. The major chemical components by group analysis are as follows; Peakdu-Mt. Cheju Peakdu-Mt. Cheju (1) $Na_2O$(3.29Wt% and 3.27Wt%) (2) MgO (3.95Wt% and 6.l5Wt%) (3) $Al_2O_3$((17.64Wt% and 15.l7Wt%) (4) $SiO_2$((50.62Wt% and 50.99Wt%) (5) $P_2O_5$ (0.36Wt% and 0.30Wt%) (6) $K_2O$ (1.37Wt% and 1.04Wt%) (7) CaO (8.56Wt% and 8.06Wt%) (8) $TiO_2$ (2.37Wt% and 2.l5Wt%) (9) MnO (0.llWt% and 0.l6Wt%) (10) $Fe_2O_3$(9.l2Wt% and 12.56Wt%) The Group analysis data were compared in the relation within the age of formation for $0.16{\pm}0.08Ma$ in Mt. Peakdu Group, and $0.42{\pm}42Ma$ or $0.42{\pm}42Ma$ in Cheju island for K-Ar age. The crystal structure are mixed crystal of monoclinic, hexagonal and triclinic system in Mt. Peakdu Group and mixed structure of triclinic and cubic system in Cheju volcanic island.ic island.

  • PDF

지상라이다에 의한 동굴의 3차원 공간정보 구축 (Construction of 3D Spatial Information about Cave by Terrestrial LiDAR)

  • 강준묵;이종신;원재호;박준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07-215
    • /
    • 2010
  • 현재 자연동굴을 대상으로 한 측량은 간이평판측량과 기록지측량의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을 통해 작성된 도면은 2차원이며, 간이평판과 기록지를 이용하기 때문에 전체 단면 및 모든 생성물들의 정확한 제원 파악이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용암동굴 중 당처물동굴(천연기념물 제 384호)을 대상으로 지상라이다와 고해상도 카메라를 활용하여 3차원 공간정보를 구축하였다. 또한 구조 분석, 단면 분석, 형태 분석, 생성물 분석을 통해 변형 및 변화 탐지의 기초데이터로써 3차원 공간정보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Fundamental Parameter 법에 의한 만장굴용암 쌍자석주의 형광X선분포

  • 택훈;고문옥;김경식
    • 동굴
    • /
    • 제19권20호
    • /
    • pp.29-62
    • /
    • 1989
  • Cheju Island, which was formed by volcanic activity, is an oval in its shape with the major axis 80km and the minor axis of 40km. The island holds in its heart Mt. Hanala rising 1,950m above the sea. Petrological study of this volcanic island has been made actively by Sang-Man Lee, Chong-Kwang Won and Moon-Won Li. The chronological measurements of the island by Chong-Kwan Won and Moon-Won Lee showed that it is composed of Sanbangsan trachytes and Backlokdam trachytes(25,000 year ago). These reports are based on the chemical analysis and the rediometric chronological measurements on the ground. However, there has been no reports about the inside of caves. We made an (composition) analysis of the inside of Manjang Cave by the fundamental parameter method in X-ray fluorescence spectrometry. The fundamental parameter method in X-ray fluorescence spectrometry is nondestructive analysis. and it enables us to make the values processed by a computer. The results obtained by this methods are as follows: SiO$_2$(49%), $Al_2$O$_3$(17%), Fe$_2$O$_3$(13%), CaO(8.1%), MgO(5.5%), Na2O(3.6%), TiO$_2$(2.1%), $K_2$O(0.86%), P$_2$O$_{5}$(0.28%), and MnO(0.20%) respectively. The data obtained by the fundamental parameter method in X-ray fluorescene was compared with the data provided by Chong-Kwan Won and Moon-Won Lee. Our measurement was made by K-Ar-method in cooperation with T. ITAYA. The samples are of 30,000-420,000 years ago. The composition of the values of our underground analysis with the existing values obtained by the analyses on the ground produced new data about Cehju volcanic island.d.

  • PDF

제주도 사라봉-별도봉-화북봉 일원의 화산층서와 화산암의 특성 (Volcanic Stratigraphy and Characteristics of Volcanic Rocks of the Sarabong-Byeoldobong-Hwabukbong Area, Cheju kland, Korea)

  • 고보균;원종관;이문원;손인석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19
    • /
    • 2001
  • 제주도 사라봉-별도봉-화북봉 일대에는 3개의 분석구와 이들로부터 분출한 화산분출물들이 복잡한 화산 층서를 형성하였다. 또한 별도봉 응회암에는 현무암과, 제주도 기반암중의 하나인 화강암의 암편이 나타난다. 그리고 비석거리 하와이아이트(hawaiite)에는 케르수타이트(kaersutite)가 특징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제주도 화산활동사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대상이 된다. 이 지역의 최하부에는 신흥리 현무암과 별도봉 응회암이 분포한다 별도봉 응회암에는 반상 현무암과 이 지역의 기반암인 화강암의 암편을 함유한다. 그 위에 화북봉 화산활동에 의해 각섬석류의 한 종류인 케르수타이트를 다량 함유한 비석거리 하와이아이트가 피복하고 그 다음에 화북봉 분석구가 형성되었다. 그 후에 사라봉 화산활동에 의해 사장석과 감람석이 많은 건입동 하와이아이트가 분출하였고 마지막으로 사라봉 분석구가 형성되었다. 별도봉 응회암내에 포획된 현무암은 신흥리 현무암과는 암상이 다른 반정질 현무암으로, 신흥리 현무암과 기반암 사이에 또 다른 현무암층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 지역의 기반암인 화강암의 암편은 미르메카이트 조직(myrmekitic texture)과 미사장석을 보이며 K-Ar법에 의한 절대연령이 172.4Ma인 쥬라기 화강암이다.

  • PDF

지하 동굴 탐지에 효율적인 지구물리탐사기법 연구: 제주도 만장굴을 대상으로 (Effective Geophysical Methods in Detecting Subsurface Caves: On the Case of Manjang Cave, Cheju Island)

  • 권병두;이희순;이규호;임형래;오석훈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08-422
    • /
    • 2000
  • 지하의 공동탐사에 효과적인 지구물리탐사 기법에 대해서 연구하기 위하여 제주도 만장굴을 대상으로 복합적인 지구물리탐사를 수행하였다. 이번에 사용한 방법은 탐사장비나 야외작업이 비교적 경제적이면서도 지하 공동에 의한 반응을 잘 보여줄 것으로 기대되는 중력, 자력, 전기 비저항, GPR(지하레이더) 탐사 등이다. 현지의 탐사여건을 고려하여 7개의 측선을 선정하고, 각 측선별로 몇 종류의 탐사를 복합적으로 실시하였다. 자력탐사의 경우는 2차원 격자형탐사도 함께 수행하였다. 각 탐사자료상에는 탐사법에 따른 여러 특징들이 잘 나타나고 있어, 그 효용성을 비교 분석할 수 있었다. 이번에 사용한 방법 중 동굴 탐사에 가장 효과적인 탐사법은 전기비저항탐사로 나타났으며, 쌍극자-쌍극자 배열법은 2차원적인 고비저항대로 나타나는 동굴의 존재를 잘 보여준다. 중력, 자력 탐사의 결과는 화산암 지역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잡음의 영향으로 동굴의 위치나 규모를 해석해 내기가 쉽지 않지만, 전기비저항탐사 자료에서 인지되는 동굴의 위치와 규모가 적절한지를 검증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었다. 한편, 2차원 격자형 자력탐사 자료는 동굴의 경향성을 잘 보여주므로, 정밀 탐사측선을 결정하는데 유용하다. GPR탐사 자료에는 천부에 존재하는 미세한 틈새들과 소규모 공동들에 의한 반응이 강하게 나타나 상대적으로 심부에 위치하는 주동굴의 존재를 확인하기는 힘들었다. 이번 연구의 결과는 제한 된 수의 탐사법만을 적용하였기 때문에 어떤 결정적인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지만, 지하 동굴의 경우는 복합적인 탐사를 수행하고 그 자료들을 상호보완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해석결과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의 하계 동결현상 분포지에 관한 지형학적 연구 (A Geomorphological Study on the Distribution Areas of Freezing during Summer Season in Korea)

  • 전영권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97-106
    • /
    • 2001
  • 한국에는 하계 동결현상이라는 특수기상이 나타나는 곳이 수 군데 존재한다. 특히 경남 밀양의 천황산 얼음골과 경북 의성 법계계곡의 빙혈 그리고 경북 청송의 얼음골은 이러한 기상적 특성 때문에 관광지로 유명한 곳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하계 동결현상 3대 분포지로 볼 수 있는 상기의 지역들을 대상으로 기존의 미기상학적 수문학적 연구를 참고하여 지형학적 지질학적 측면에서 접근하여 다음의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하계 동결현상 분포지에서 볼 수 있는 지형 및 지질적특성은 두터운 거력 퇴적물로 구성된 애추사면의 존재, 일사량이 적은 북향사면이거나 또는 비교적 깊은 곡벽으로 둘러 쌓여 상대적으로 일사량이 적은 지역, 안산암 또는 유문암 등의 화산암 질로 구성되는 거력 퇴적물의 특성 등이다. 둘째, 하계 동결현상을 야기시키는 시스템으로서 얼음굴은 공기의 유통이 자유로움 공간이 많이 존재하며, 일부 공간은 매우 넓어 동굴을 형성하며 부분적으로 지하수계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할 수 있다. 넷째, 하계 동결현상이 나타나기 위해서는 얼음굴 내에 있는 지하수제의 부분적 동결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두 가지의 가정이 요구된다. 하나는 외부로부터 얼음굴로 유입된 공기의 기화열에 의한 지하수제의 급랭이며, 또 다른 하나는 지난 겨울 동안 동결된 지하수제가 특수한 지형적 영향으로 동결상태가 장기간 지속되어야 한다. 그러나 명확한 원인은 얼음굴에 대한 시추작업을 통해서 만이 가능할 것이다.

  • PDF

경남지역 절취사면의 현황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tus Analysis of Cut Slope in Gyeongnam Region)

  • 박진규;박춘식;장정욱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62-869
    • /
    • 2005
  • This study examined 233 cut slopes in Gyeongnam region; evaluated hazards and slope conditions involved in the slope; and determined the priority order for reinforcement. The conclusions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1) The slopes that need reinforcement or maintenance are 153, accounting for 65.6% of the entire slopes. Slopes with a length of $0{\sim}200m$ account for 70.9%; slopes with a height of $10{\sim}20m$ account for over 50%. (2) Slopes with slope of more than 1:0.5 account for 70.9% of the entire slopes. The steepness of the slope is owing to more rock slopes than soil slopes. (3) The percentages of rock slopes, soil slopes, complex slopes mixed with rocks and soil, and slopes comprised of igneous rocks are 54.4%, 24.9%, 20.7%, and 54.1%, respectively. (4) In the rock area occurred cave-in, plain failure, wedge failure, and overturning failure, in order. Slopes with volcanic rocks are the most unstable, while sedimentary rocks and metamorphic rocks are relatively stable. (5) When the slope height is over 20m, low grade slopes are more than 80%; leading to the conclusion that the higher the slope height is, the more unstable the slope is.

  • PDF

무등산 도립공원의 지질과 경관 (Geology and Landscape of Mt. Mudeung Province Park, Korea)

  • 안건상
    • 암석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9-121
    • /
    • 2010
  • 무등산은 광주광역시, 담양, 화순에 걸쳐있으며, 형상이 둥글고 부드러워 넉넉한 느낌을 갖게 해준다. 무등산은 동경 $126^{\circ}06'-127^{\circ}01'$, 북위 $35^{\circ}06'-35^{\circ}10'$에 위치하며, 최고봉인 천왕봉의 높이는 1,187 m이다. 무등산 서측은 광주광역시가 자리하는 평야지대이며, 동측은 좁은 분지를 가진 산악지대이다. 무등산 북쪽의 하천을 따라, 소쇄원, 송강정, 식영정 등의 유명한 정자들이 분포한다. 무등산은 중생대 백악기에 형성된 광주함몰대의 화산활동으로 형성되었다. 무등산의 정상부는 암회색을 띠는 석영안산암이 분포하며, 주상절리를 이루는 이 암석의 K-Ar 전암연령은 $48.1{\pm}1.7Ma$이다. 북측의 원효사 부근은 미문상화강암이, 남서측은 유문암이 분포하여 풍화양상이 매우 다르다. 무등산의 주능선은 남북방향으로 북봉에서 천왕봉, 장불재를 거쳐 안양산으로 이어진다. 무등산의 지형은 크게 화산지형, 산지지형, 하천지형으로 나눌 수 있다. 주능선을 이루는 서석대, 입석대, 규봉암은 화산지형인 주상절리이며, 남서부의 새인봉과 마집봉에는 산지지형인 암석단애와 암석돔(새인봉), 판상절리가 발달한다. 무등산에는 산지지형 중 침식지형에 해당하는 세 가지 형태의 풍화동굴이 발달하는데, 이들은 각각 원암의 특성을 반영한다. 무등산에 넓게 발달한 네 지역의 너덜은 산지지형인 퇴적지형에 속한다. 무등산은 암괴류의 발달로 폭포의 발달은 미약하나, 용천이 잘 발달하고 있다.

우주선유발 동위원소를 이용한 지표면의 연대측정: 국내 사례를 중심으로 (Cosmogenic Nuclides Dating of the Earth Surface: Focusing on Korean Cases)

  • 성영배;유병용
    • 암석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61-272
    • /
    • 2014
  • 지난 ~30년 동안 가속기질량분석기와 비활성기체질량분석기 기술의 진보와 함께, 우주선유발 동위원소도 지표면의 연대측정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되어 왔다. 우주선유발 동위원소를 이용한 세부적인 연대측정법으로는 단순노출연대측정, 수직단면연대측정, 매몰연대측정 등이 있어, 다양한 노출(또는 퇴적) 환경에 따라, 다른 접근법이 요구된다. 국내에 적용 가능한 대상으로는, 하안단구, 해안단구, 선상지, 화산지형, 구조지형(단층애), 다양한 암설지형(테일러스, 암괴류 등), 호안 또는 해안 파식대 그리고, 제3기의 퇴적분지층과 고고학유물층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기존의 석영이 풍부한 화강암과 변성암 중심에서, 최근에는 석회암과 화산암에도 적용가능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