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olcanic Stratigraphy and Characteristics of Volcanic Rocks of the Sarabong-Byeoldobong-Hwabukbong Area, Cheju kland, Korea

제주도 사라봉-별도봉-화북봉 일원의 화산층서와 화산암의 특성

  • Ko, Bo-kyun (Division of Earth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Won, Chong-kwan (Division of Earth Sci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Lee, Moon-won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Sohn, In-seok (Chejudo Cave Research Institute)
  • 고보균 (강원대학교 지구과학부) ;
  • 원종관 (강원대학교 지구과학부) ;
  • 이문원 (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 손인석 (사단법인 제주도동굴연구소)
  • Published : 2001.02.28

Abstract

There are three scoria cones and their eruptive materials in Sarabong-Byeoldobong-Hwabukbong area Cheju Island. And they made complicated volcanic stratigraphy. In Byeoldobong tuff, basalt and granite xenoliths are present. It is presumed that the granite is a kind of basement of Cheju island. And Biseokgeori hawaiite has many kaersutite phenocrysts. Therefore, this area is very important for the study about history of volcanic activity of Cheju island. The lowest beds are Shinheung basalt and Byeoldobong tuff. Byeoldobong tuff has xenoliths of granite and phenocrystalline basalt. After the formation of these rocks, the Hwabukbong volcanism commenced. First of all this volcanism formed Biseokgeori hawaiite that has lots of kaersutite, a member of amphibole group, characteristically. Over this rock, Hwabukbong scoria cone was formed. The next Sarabong volcanism effused Keonipdong hawaiite that has lots of plagioclase and olivine phenocrysts and then Sarabong scoria cone was made up. Basalt xenolith in Byeoldobong tuff is different from Shinheungri basalt with regard to petrography, therefore this offers suggestion about existence of another basalt between basement and Shinheungri basalt. Granite xenolith derived from the basement of this area has features of the Jurassic granite in the Korea Peninsula, for example a lot of myrmekitic texture, microcline, and absolute age (172.4 Ma) by K-Ar method.

제주도 사라봉-별도봉-화북봉 일대에는 3개의 분석구와 이들로부터 분출한 화산분출물들이 복잡한 화산 층서를 형성하였다. 또한 별도봉 응회암에는 현무암과, 제주도 기반암중의 하나인 화강암의 암편이 나타난다. 그리고 비석거리 하와이아이트(hawaiite)에는 케르수타이트(kaersutite)가 특징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제주도 화산활동사를 연구하는데 중요한 대상이 된다. 이 지역의 최하부에는 신흥리 현무암과 별도봉 응회암이 분포한다 별도봉 응회암에는 반상 현무암과 이 지역의 기반암인 화강암의 암편을 함유한다. 그 위에 화북봉 화산활동에 의해 각섬석류의 한 종류인 케르수타이트를 다량 함유한 비석거리 하와이아이트가 피복하고 그 다음에 화북봉 분석구가 형성되었다. 그 후에 사라봉 화산활동에 의해 사장석과 감람석이 많은 건입동 하와이아이트가 분출하였고 마지막으로 사라봉 분석구가 형성되었다. 별도봉 응회암내에 포획된 현무암은 신흥리 현무암과는 암상이 다른 반정질 현무암으로, 신흥리 현무암과 기반암 사이에 또 다른 현무암층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 지역의 기반암인 화강암의 암편은 미르메카이트 조직(myrmekitic texture)과 미사장석을 보이며 K-Ar법에 의한 절대연령이 172.4Ma인 쥬라기 화강암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제주도 지하수 보고서 농업진흥공사
  2. 제주·애얼도폭 지질보고서(1:50,000) 박기화;이병주;조등룡;김정찬;이승렬;김유봉;최현일;황재하;송교영;최범영;조병욱
  3.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제주화산도의 암석층서 및 연대층서. 손인석
  4. 자원환경지질학회지 v.28 no.5 제주도에서 산출되는 화강암에 관한 연구 안건상;이현구;임현철
  5. 한국지질도(1:50,000) 성산도폭 및 설명서 원종관;이문원;이동영;손영관
  6. 한국지질도(1:50,000), 표선도폭 및 설명서 윤성호;이문원;이동영;손영관
  7. 한국지구과학회지 v.19 no.5 제주도 하부 기반암중의 화강암에 대한 암석화 및 저어콘 결정 형태 연구;(Ⅱ) 백악기 화강암. 윤성호;이윤종;정원우
  8. 한국지구과학회지 v.20 no.3 제주도 하부 기반 암중의 화강암에 대한 암석학 및 저어콘 결정 형태 연구;(Ⅱ)선 백악기 화강암. 윤성호;이윤종;정원우;고정선
  9. 한국동력자원연구소 연구보고서 제주도 제4기 지질 조사연구. 이동영;윤상규;김주용;김윤종
  10. 제주도의 형성사와 지질구조,제주도 지하수자원의 환경학적 보전과 개발 이용 이문원
  11. 제주도 지열자원탐사 및 최적활용방안 (Ⅲ) 통상산업부
  12. Contributions to Mineralogy and Petrology v.37 no.2 Contributions to the mineral chemistry of Hawaiian rocks. Keil, K;Foder, R. V.
  13. 地球 v.12 濟州道 別刀峯 西北海岸の 火山碎屑層中に 浦獲された 花崗岩に 對する 原口九萬
  14. 小川博士還曆記念論文集 濟州火山島 原口九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