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atile sulfur compounds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36초

건조마늘과 기름에 볶은 마늘의 향기성분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Freeze Dried Garlic and Garlic Roasted with Oils)

  • 서혜민;주광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32-341
    • /
    • 2007
  • 마쇄한 생마늘과 생마늘을 동결건조한 분말의 함황화합물과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마늘을 동결 건조시켜 분말로 제조하고, 마늘과 동결건조 마늘을 콩기름과 참기름에 $180^{\circ}C$에서 각각 5분간 볶은 6개의 시료를 제조하여 향기성분을 추출하였다. 마늘의 독특한 향기를 나타내는 sulfur compounds로서 methyl allyl sulfide, diallyl sulfide, methyl allyl disulfide, diallyl disulfide, methyl allyl trisulfide, diallyl trisulfide 등이 확인되었으며 diallyl disulfide와 diallyl trisulfide의 함량이 풍부하였다. 이 sulfur compounds 성분들은 마늘의 총 향기성분의 98%를 차지하여 마늘의 주요 구성분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건조마늘에서 확인된 향기성분은 마늘에서 검출되지 않았던 aldehyde, alcohol, furans, esters가 생성되어 개별 향기성분의 수는 마늘의 것보다 더 많았으나 sulfur compounds와 향기성분의 총 함량이 마늘의 것보다 감소하였다. 콩기름에 볶은 건조마늘의 sulfur compounds 함량은 크게 감소하여 건조마늘의 sulfur compounds 함량의 20%에 불과하여 그 함량이 크게 감소하였다. 마늘을 콩기름과 참기름으로 가열하였을 때 allicin의 분해 생성물인 많은 양의 3,4-dihydro-3-vinyl-1,2-dithiin과 2-vinyl-4H-1,3-dithiin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건조마늘을 콩기름과 참기름에 가열하였을 때 마늘의 아미노산과 당류의 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2-methyl pyrazine, 2,6-dimethyl pyrazine, 2-ethyl-5-methyl pyrazine 등 17개의 pyrazine이 관찰되었다. 건조마늘을 참기름에 볶은 시료에서 확인된 개별 향기성분의 수는 모든 마늘시료 중에서 가장 많았고 향기성분의 총 함량도 마늘의 것과 거의 동일하여 차이가 없었으나 sulfur compounds의 함량은 마늘의 27%에 해당되었다. 건조마늘을 콩기름과 참기름으로 가열함으로써 그 함량이 마늘 자체의 것보다 오히려 증가한 것은 diallyl sulfide, methyl allyl disulfide, dimethyl trisulfide이었다. 마늘에서 그 함량이 가장 많았고 마늘의 독특한 향기성분을 내는 diallyl disulfide는 건조하여 참기름으로 가열함으로써 파괴되어 완전히 소멸되었다.

역삼투압법에 의한 양파착즙액의 휘발성 성분 변화 (Reverse osmosis causes change in volatile compounds in onion juice)

  • 심재언;전명희;이대희;김영석;이상미;최정민;장은지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7-11
    • /
    • 2019
  • 비가열 방식의 역삼투압법으로 제조한 양파농축액의 휘발성 성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양파착즙액과 역삼투압 양파농축액을 SAFE로 휘발성 성분을 추출하였고, 이를 GC-MS로 분석하였다. 양파착즙액과 양파농축액에서 각각 48종과 62종의 휘발성성분을 동정하였다, 휘발성 성분 중 sulfur-containing compounds를 19종 검출하였고. 양파의 특징적인 향기성분으로 알려진 11종은 약 1.7-1,664배로 증가하였으며, 또한 양파착즙액에서 검출되지 않았던 휘발성 성분이 양파농축액에서 14종이 검출되었다. 이는 역삼투압법을 이용한 양파 농축액이 향미성분의 변성이 적어, 양파 고유의 향미를 갖는 농축액 제조에 응용할 수 있으며, 미량의 휘발성 성분을 분석하는 전처리 방법으로 바람직한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한다.

A Comparative Study of the Changes in Volatile Flavor Compounds from Dried Leeks (Allium tuberosum R.) following ${\gamma}$-Irradiation

  • Yang, Su-Hyeong;Shim, Sung-Lye;No, Ki-Mi;Gyawalli, Rajendra;Seo, Hye-Young;Song, Hyun-Pa;Kim, Kyong-Su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3호
    • /
    • pp.341-346
    • /
    • 200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gamma}$-irradiation on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dried leeks (Alliums tuberosum R.). Volatile compounds of dried leeks were extracted using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extraction (SDE),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Forty-one, 51, 45, and 42 compounds were tentatively identified in control, 1, 3, and 10 kGy irradiated samples, respectively. The constituents of flavor compounds in irradiated dried leeks were similar to non-irradiated samples. However, the intensities of the peaks were clearly different between them. Sulfur-containing compounds were detected as dominant compounds in all samples and their amounts decreased after ${\gamma}$-irradiation. ${\gamma}$-Irradiation reduced the total concentration of volatile compounds from leeks by 23.19, 15.09, and 30.23% at 1, 3, and 10 kGy doses, respectively.

Standardized Protocols for Measuring Volatile Sulfur Compounds: Scientific Foundations and Methodologies

  • Ji-Youn Kim;Ji-Rak Kim;Jin-Seok Byun;Jae-Kwang Jung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9권1호
    • /
    • pp.5-11
    • /
    • 2024
  • Halitosis is defined as a nasty odor emanating through the mouth and is primarily related to the enhanced concentration of volatile sulfur compounds (VSCs). VSC measurements have been commonly used for experimental comparison and clinical diagnosis. As quantitative methods for comparative analyses of oral malodor, gas chromatography devices have been most commonly used to quickly and easily determine the concentration of several gas components of VSCs, which are agents primarily responsible for halitosis. The concentrations of VSCs fluctuate dynamically depending on contributing factors, including various oral/systemic conditions, intake of medicine and food/drink, oral hygiene, and even routine daily activities. Therefore, the exact analysis of VSCs requires the appropriate standardization of not only exact measurement techniques but also participant conditioning with scientific considerations. Thus, this paper describes the experimental standardizations commonly recommended in previous literature and their scientific background.

알코올 발효과정 중 양파착즙액 휘발성 향기성분 변화 (Fermented Production of Onion Vinegar and Its Biological Activities)

  • 정은정;차용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20-128
    • /
    • 2017
  • This study aimed to provide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three onion products through thermal process and alcohol fermentation, to meet the quality standard of onion products. The identified components of onion extracts (OE) included 49 (18 sulfur-containing compounds, 5 alcohols, 8 acids, 3 ketones, 4 esters, 4 aromatic compounds, 2 aldehydes, 1 pyrazines and 4 miscellaneous compounds), and 55 (17 sulfur-containing compounds, 15 alcohols, 5 acids, 11 ketones, 3 aromatic compounds, 2 aldehydes and 1 pyrazine) in autoclave-sterilized onion extracts (SOE); and 69 (10 sulfur-containing compounds, 27 alcohols, 11 acids, 11 ketones, 6 esters, 1 aromatic compound and 3 pyrazines) in onion wine (OW), respectively. Among the major flavor classes, sulfur-containing compounds (36.8%), acids (31.3%) and aldehydes (13.6%) in OE were changed to alcohols (46.5%) and ketones (27.3%) in SOE whereas, alcohols (56.3%) and acids (26.6%) in OW. Moreover, 1,3-butanediol, 2,3-butanediol, and 3-hydroxy-2-butanone were highly detected in SOE whereas, acetic acid, 3-methylbutanol, 2-phenylethanol and 1,2,3-propanetriol in OW.

생마늘과 동결건조마늘의 휘발성 유기성분 비교 (Comparison of Volatile Organic Components in Fresh and Freeze Dried Garlic)

  • 김연순;서혜영;노기미;심성례;양수형;박은령;김경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885-891
    • /
    • 2005
  • SDE추출방법 과 GC/MS로 분석에 의하여 생마늘과 동결 건조마늘의 휘발성 유기성분을 비교하였다. 생마늘과 동결 건조마늘에서 각각 42종, 32종의 화합물이 확인되었으며 , 대부분이 황화합물이었고 alcohol류, aldehyde류, ester류도 확인되었다. Diallyl disulfide, diallyl trisulfide, allyl methyl disulfide, allyl methyl trisulfide는 생마늘과 동결건조마늘 에서 확인된 주요 황화합물이었다. 3-Methyl pyridine, 2-methyl-4-pentenal, 2,3,3-trimethyl-1,4=pentadiene, methional등 생마늘에서 확인된 화합물은 동결건조마늘에서 소실되었고 propanethiol, 2-ethyl-3-butenal, acetic acid 등은 동결건조마늘에서 확인되었으며, 전체적인 휘발성 유기성분의 총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수준이었다. 동결건조에 의 하여 마늘의 주요 휘발성 유기성분 중 diallyl disulfide, diallyl trisulfide, allyl methyl disulfide, allyl methyl trisulfide, diallyl sulfide,3-vinyl-4H-1,2-dithiin 등 대부분의 황화합물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methyl propyl trisulfide, 3- allylthiopropionic acid, cyclopentyl ethyl sulfide 등은 증가하였다. 그 외 ethyl acetate, ethanol,2-propenol, 2-propenal, hexanal 등의 휘발성 유기성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늘 Oleoresin 제조시 휘발성성분에 관한 추출용매효과 (Effect of Extraction Solvent on Volatile Compounds of Garlic Oleoresin)

  • 정은주;김종필;조지은;이재우;이양봉;김우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33-1037
    • /
    • 2001
  • 마늘의 이용성 증진에 관한 기초자료와 제품의 품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마늘 oleoresin 제조과정 중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를 알기 위해 휘발성 향기성분을 4가지 용매로 추출하여 농축한 후, 가스크로마토그래피와 질량 분석 검출기 (mass selective detector)를 이용하여 polar(Supelcowax-$10^{TM}$)와 nonpolar capillary column(HP-5)에서 각각 분리, 동정하였다. 용매에 따른 oreoresin 추출을 보면 methanol을 사용하여 추출한 경우가 가장 peak area가 높았고 그외 acetone, methy acetate, hexane을 사용한 경우는 비슷하였다 Polar capillary column에서 총 41종이 분류되었고, pyran 및 그 유도체 물질 13종, 황화합물이 11여종, furan 및 그 유도체들이 6종, alcohol류 2종 분류되었고 그밖에도 2종의 heterocyclic compound가 각각 확인되었다. Nonpolar capillary column에서는 32종의 향기성분이 동정되었고, pyran및 그 유도체물질이 11종, 황화합물 11여 종, acid류 5종, pyran 및 그 유도체들이 3종 그밖에 eugenol 등이 나타났다. Nonpolar 보다 polar에서 휘발성성분의 다량 검출되었으며, 대부분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극성이 강한 methanol에서 잘 추출되었지만 마늘의 주요휘발성 성분인 황화합물 즉, 3,3'-thiobis 1-propene, methyl 2-propenyl disulfide, dimethyl trisulfide, di-2-propenyl -trisulfide, 2-thiophenecarboxylic acid는 비극성용매인 methyl acetate와 hexane에서 잘 추출되었다.

  • PDF

Alliinase 첨가에 의한 열처리 마늘로부터 생성된 함황 화합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iosulfinates and Volatile Sulfur Compounds from Blanched Garlic Reacted with Alliinase)

  • 최윤희;심유신;김청태;이찬;신동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600-607
    • /
    • 2007
  • 마늘의 주요 향기성분 및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함황 화합물의 생성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열처리에 의하여 마늘 중의 효소를 완전히 실활 시킨 마늘펄프에 마늘로부터 추출한 alliinase를 첨가하여 첨가량 및 반응시간에 따른 thiosulfinates 및 휘발성 향기성분의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HPLC 및 LC/MS/MS를 이용하여 생마늘 중의 thiosulfinates를 분리, 확인한 결과 8종의 thiosulfinates를 확인하였다. Allicin은 전체 thiosulfinates함량의 약 6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늘로부터 추출한 alliinase를 열처리 마늘펄프에 각각 100, 200, 300 및 400 unit를 첨가하여 5, 10 및 15분씩 각각 반응시킨 결과 효소첨가량 및 반응시간의 증가와 함께 thiosulfinates 함량도 증가하였다. 100, 200, 300 및 400 unit의 alliinase를 첨가하여 15분간 반응시킨 결과 총 thiosulfinates는 생마늘(대조구)에 비하여 각각 37, 68, 77 및 80%가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GC/MSD를 이용하여 대조구 및 효소를 첨가하여 반응시킨 시료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36개의 피크를 분리하였고, 이중 28개 피크에 대하여 확인 할 수 있었다. 확인된 28개의 피크 중 23개 피크가 함황 화합물이었다. Alliinase를 100, 200, 300 및 400 unit씩 첨가하여 15분간 반응시킨 시료에 대하여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각각 25, 36, 66 및 76%가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열처리한 마늘에 alliinase를 첨가하여 반응시키면 반응조건에 따라 마늘 중의 주요생리활성 물질 및 휘발성 향기성분인 thiosulfinates와 휘발성 함황 화합물의 생성을 30-80%까지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두메부추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Analysis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from Allium senescens)

  • 이미순;정미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5-59
    • /
    • 2001
  • 신선 및 동결 건조된 두메부추 잎을 연속수증기 증류추출 장치로 증류하여 얻어진 정유성분을 GC 및 GC-MS로 분석하여 신선한 시료에서 11종의 hydrocarbons 0.136ppm 9종의 aldehydes 0.278ppm, 4종의 alcohols 0.025ppm, 2종의 esters 2.328ppm, 7종의 acids 0.545ppm, 4종의 ketones 0.037ppm 및 9종의 sulfur containing compounds 0.117ppm의 총 46종의 성분을 확인하였다. 동결 건조한 두메부추 잎에서는 8종의 hydrocarbons 1.357ppm 5종의 aldehydes 0.498ppm, 3종의 alcohols 0.094ppm, 5종의 esters 0.720ppm, 2종의 acids 0.069ppm 3종의 ketones 0.163ppm 및 4종의 sulfur containing compounds 0.039ppm을 포함하여 총 30종의 향기성분이 확인되었다. 전자코의 분석 결과, 제1주성분 값의 기여율이 0.987을 나타내어 제1주성분이 두메부추와 부추를 총괄하는 정보로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신선한 두메부추는 제1주성분 값이 0.5부근에 집중된 분포를 보이고, 신선한 부추는 -0.5부근에 분포되어 있어 신선한 두메부추와 신선한 부추의 휘발성 향기성분 패턴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동결 건조된 시료의 경우, 두메부추는 제1주성분 값 0을 중심으로 -쪽에 분포되어 있고, 부추는 +부근에 분포되어 있어 동결 건조된 시료의 휘발성 향기성분 패턴도 차이가 있었다.

  • PDF

초산 발효과정 중 양파착즙액 휘발성 향기성분 변화 (Flavor Components of Acetic Fermented Onion Extracts)

  • 정은정;차용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88-795
    • /
    • 2017
  • This research has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onion products through acetic fermentation, and to create a natural beverage with beneficial biological properties which can also fulfill customer quality standards. Onion products (OAF (M): Onion extracts at five days of acetic fermentation, OAF (F): Onion extracts at ten days of acetic fermentation) were produced by acetic fermentation. Volatile flavor compounds from onion extracts, OAF (M) and OAF (F) were used by Mixxor liquid extractions and analyzed by GC/MSD. Compounds of 49, 75 and 69 were identified in onion extracts, OAF(M) and OAF(F) respectively. Among the major volatile flavor compounds classes, sulfur containing compounds (36.7%), acids (31.2%) and aldehydes (13.5%) in onion extracts were changed into acids (69.6%) and alcohols (24.6%) in OAF (M) and acids (80.6%) and alcohols (15.5%) in OAF (F). During acetic fermentation acetic acid, 1,3-butanediol (odorless) and 2,3-butanediol (onion flavor) increased remarkably, sulfur-containing compound such as 2,5-dimethylthiophene having anti-oxidant activities was detected by fermen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