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atile oils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28초

구강 내 세균에 대한 Essential oil의 항균효과에 관한 연구 (ANTIMICROBIAL EFFECT OF ESSENTIAL OILS ON ORAL BACTERIA)

  • 이선영;김재곤;백병주;양연미;이경열;이용훈;김미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11
    • /
    • 2009
  • Essential oil은 식물로부터 추출한 휘발성의 호지방성 화합물로서 essential oil은 잠재적으로 항균, 항진균, 진경련, 항말라리아성, 곤충퇴치능력 등의 생물학적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방향식물에서 추출한 Citral, Pineole, Linalool, Eugenol, Limonene, Pinene 등으로 구성된 다섯종류의 essential oil을 사용하였으며, 여덟 군의 중요한 병원성 세균인 Streptococcus mutans(S. mutans), Staphylococcus aureus(S. aureus), Streptococcus sanguis(S. sanguis), Streptococcus anginosus(S. anginosus), 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A. actinomycetem- comitans), Streptococcus sobrinus(S. sobrinus), Staphylococcus epidermidis(S. epidermidis), Esherichia coli (E. coli)에 대한 저항성으로서 항균능력을 평가하였다. Essential oil의 항균능력은 용액희석방법을 사용하여 검사하였으며, essential oil 농도범위는 10 mg/mL, 5 mg/mL, 2.5 mg/mL, 1.25 mg/mL, 0.625 mg/mL, 0.516 mg/mL, 0.3125 mg/mL, 0.078 mg/mL, 0.039 mg/mL, 그리고 0.015 mg/mL였다. Essential oil은 용량 의존적으로 시험 균주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NM을 제외하고 R, LG, FR, O oil은 저농도에서 구강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였다. 또한 사용된 essential oil은 E.coli와 S. epidermidis의 성장에는 탁월한 억제효과를 보이지는 못했으나 구강 병원성 미생물에 대해서는 특별한 성장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 PDF

Headspace 가스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한 식용유의 산패도 측정 (Evaluation of vegetable oil rancidity by headspace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 전호남;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1호
    • /
    • pp.36-41
    • /
    • 1992
  • 면실유, 옥배유 및 채종유의 산패도를 신속하고 재현성 있게 측정하고자 $60^{\circ}C$$70^{\circ}C$로 저장한 식용유의 pentanal과 hexanal을 headspace 가스크로마토그라피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관능검사 결과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Headspace 가스크로마토그라피 방법에서 휘발성 산화생성물의 포집 및 용출은 cold trap-thermal desorption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GC 주입부에 들어가는 splitless mode glass liner insert에 Tenax GC를 충전하여 사용하였다. 23종의 휘발성 산화생성물이 gas chromatography 및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에 의하여 검출되었으며, 저장 기간에 따른 pentanal과 hexanal 함량 변화와 관능검사에 의한 산패취 측정 결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pentana(PE), hexanal(HE) 및 log{PE) log(HE) $log(PE){\times}log(HE)$의 세 가지를 변수로 한 회귀식의 상관계수의 값이 각각 0.831, 0.866 및 0.896으로 다같이 높을 값을 보였다. 따라서 headspace 가스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여 면실유, 옥배유 및 채종유의 휘발성 산화생성물 중 pentanal과 hexanal을 분석하면 각각의 식용유의 산패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토양조건이 더덕의 생육특성 및 향끽미물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il condition on the agronomic characters and aromatic substances in cultivated Codonopsis Lanceolata)

  • 오세명;정형진;권순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82-288
    • /
    • 1999
  • 더덕을 야생지 및 재배지 토양으로 분 재배하여 토양조건 및 혈당 재식 주수가 더덕의 생육특성 및 향끽미 물질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재배지 토양에서 폿트 재배시 더덕의 길이 생장은 토양수분보다는 혈당 주수에 영향을 미쳤고, 재배지와 야생지 토양 공히 수분조건이 과습>적습>과건 순으로 두께가 컸고, 혈당재배주 수간에는 혈당 재배주수가 증가 할 수록 두께는 작아지는 경향이고, 개체 및 혈당수량은 수분조건별로 과습>적습>과건 순으로 높았다. 2. 야생지토양에 비하여 재배지 토양에서의 더덕재배는 수분, 환원당, 조단백질의 함량이 높았고, 조섬유 및 석유에텔 추출물 함량이 낮았다. 3. 야생지 토양에 비해 재배지 토양에서 생육한 더덕근에서 유기산인 malic산의 함량이 낮았고, 지방산함량은 비슷하였다. 4. 토양수분처리간에는 조사된 주요 정유성분들의 대부분이 적습>과습>과건 순으로 함량이 높았고, 특히 3-methylpentanoic acid와 squalene의 함량은 적습구가 과습 및 과건 처리 구에서 보다 2-5배 정도 높았다.

  • PDF

노지 및 시설에서 재배된 한라봉의 기기분석 및 관능평가에 의한 향기특성 (Volatile Flavor Properties of Hallabong Grown in Open Field and Green House by GC/GC-MS and Sensory Evaluation)

  • 송희순;박연희;문두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1239-1245
    • /
    • 2005
  • 노지 및 시설에서 재배된 한라봉의 과피에서 냉압착법에 의해 추출한 정유의 향기성분을 동정하였다. 노지에서 재배된 한라봉 정유에서 44개의 향기성분(99.7$\%$)이, 시설 한라봉 정유에서 45개의 성분(99.4$\%$)이 동정되었으며, (E)-lim-onene-1,2-epoxide와 neral은 노지 한라봉 정유에서만 동정되었고, $\beta$-cubebene, $\beta$-elemene, decyl acetate의 세 성분은 시설 한라봉 정유에서만 동정되었다. 노지 및 시설 한라봉 정유에서 동정된 향기성분 중 limonene이 86$\%$이상의 가장 높은 비율로 함유된 성분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myrcene과 sabinene이 2$\%$이상으로 높게 함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노지 및 시설 한라봉 정유의 향기성분 특성을 나타내는 가장 큰 차이는 linalool의 함유량으로 노지 한라봉 정유의 함유량(1.2$\%$)이 시설정유의 함유량(0.5$\%$)의 2배 이상으로 높았다. 향기 성분의 기기분석과 함께 신선한 한라봉 과육 및 과피의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신선한 한라봉의 향기특성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는 한라봉 과육 및 과피 모두에서 노지에서 재배된 한라봉이 시설에서 재배된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향기특성을 지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노지 한라봉 과육은 단맛이, 시설 한라봉 과육은 신맛이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향과 맛을 고려한 전체적 선호도에서도 노지에서 재배된 한라봉이 높게 평가되었다. (p<0.01).이러한 결과는 노지 한라봉 정유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linalool의 함유율 및 재배방법의 영향을 받은 향기성분의 구성비율이 관능평가에 의한 과피 및 과육의 향기특성 결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로즈마리와 클로브 에센셜 오일의 항산화 특성과 토종닭 후라이드 치킨의 품질특성 및 풍미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osemary and Clove Essential Oils on Quality and Flavor Compounds of Fried Korean Native Chicken Thigh Meat)

  • 오수민;정유성;이상록;이희정;김동욱;추효준;신동진;장애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43-159
    • /
    • 2023
  • 본 연구에서 사용된 클로브 에센셜 오일은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보다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토종닭 후라이드 치킨 제조 과정 중 로즈마리와 클로브 에센셜 오일의 첨가는 일반성분, pH, TBARS와 관능적 특성에 있어 유의적인 효과를 줄 수 없었다. 0.005CB를 제외한 모든 에센셜 오일 첨가 처리구는 Control보다 낮은 가열감량을 보였고 0.005CB에서는 높은 픽업률을 보였다(P<0.05). 토종닭 후라이드 치킨의 지방산 조성을 측정한 결과, 클로브 에센셜 오일의 항산화 효과로 인하여 0.005CB와 0.01CB는 Control보다 높은 수준의 arachidonic acid를 나타내었다. 토종닭 후라이드 치킨의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측정한 결과,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의 특정 풍미성분들이 토종닭 후라이드 치킨에 마스킹 되었고 클로브 에센셜 오일의 항산화 능력을 통해 몇몇 pyrazine류의 물질들을 감소시켰다. 본 연구 데이터는 향후 로즈마리와 클로브 에센셜 오일을 첨가하여 제조한 토종닭 후라이드 치킨의 저장성 연구에 있어 기초 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Essential Oils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IgG Concentration and Fecal Noxious Gas Concentration of Weaned Pigs

  • Cho, J.H.;Chen, Y.J.;Min, B.J.;Kim, H.J.;Kwon, O.S.;Shon, K.S.;Kim, I.H.;Kim, S.J.;Asamer, 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1호
    • /
    • pp.80-85
    • /
    • 2006
  • Ninety six crossbred pigs (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were us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essential oils (Fresta F $Conc^{(R)}$)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immune response and fecal noxious gas of weaned pigs. Treatments were 1) NC (negative control; basal diet without antibiotics), 2) PC [positive control; basal diet+CSP (CTC+Sulfathiazole+Penicillin) 0.1%], 3) NCF (basal diet+Fresta F $Conc^{(R)}$ 0.03%) and 4) PCF [basal diet+CSP (CTC+Sulfathiazole+Penicillin) 0.1%+Fresta F $Conc^{(R)}$ 0.02%]. From d 0 to 14, ADFI was increased in pigs fed PCF diet (p<0.05). From d 14 to 28, pigs fed PCF diet had greater ADG and ADFI than pigs fed NC diet (p<0.05). From d 28 to 49, ADG and ADFI in pigs fed PCF diet were higher than in pigs fed NC diet (p<0.05). Through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ADG and ADFI in pigs fed PCF diet were the highest compared to pigs fed NC and PC diets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ecal consistency score among the treatments (p>0.05). No statistical differences (p>0.05) were found in red blood cells (RBC) counts, white blood cells (WBC) counts, lymphocyte counts, total protein and albumin. Serum IgG concentration of PCF treatment was greater than that of other treatments (p<0.05). From d 0 to 1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gestibility of dry matter and nitrogen among the treatments (p>0.05). From d 14 to 28, digestibility of dry matter in pigs fed PC, NCF and PCF diets was higher than that of pigs fed NC diet (p<0.05) and treatments with added essential oils were higher than other diets on digestibility of nitrogen (p<0.05). Also, from d 28 to 49, digestibility of nitrogen in pigs fed PCF diet was the highest among others (p<0.05). On d 14 and 28, no statistical differences (p>0.05) were found in volatile fatty acid (VFA), ammonia nitrogen ($NH_3$-N) and hydrogen sulfide ($H_2S$) concentrations among treatments. On d 49,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VFA concentration among the treatments (p>0.05). $NH_3$-N concentration in pigs fed PCF diet was lower than in pigs fed other diets (p<0.05). $H_2S$ concentration in pigs fed diets with added essential oils was lower than others.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dietary addition of essential oils and antibiotics into diets for weanling pigs improved growth performance, IgG concentration and nitrogen digestibility and decreased noxious gas concentration. Essential oils can be used to partly replace antibiotics in diets for weaned pigs without negative affects on growth performance.

약용식물 유래 정유성분 분석 및 산화 스트레스로부터 PC12 신경세포 보호 효과 (Chemical Composition and Protective Effect of Essential Oils Derived from Medicinal Plant on PC12 Neuro-cells Induced by Oxidative Stress)

  • 이지연;박정용;김동휘;최수지;장귀영;서경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15-221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 on oxidative stress induced PC12 cells, and volatile flavor composition of essential oils derived from medicinal plant seeds- Gossypium hirsutum L. (G. hirsutum), Coix lachryma-jobi (C. lachryma-jobi) and Oenothera biennis (O. biennis). The essential oils were obtained by the solvent (hexane) extraction method from the seeds. The essential oils of the seeds were analyzed by the solid-phase micro-extraction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SPME-GC/MS). The major compounds of G. hirsutum, C. lachryma-jobi and O. biennis were cyclonexanol (16.65%), β-asarone (14.29%) and ylangene (50.01%).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50) was the highest value of 8.52 mg/mL in the O. biennis. Additionally, IC50 values of G. hirsutum and C. lachryma-jobi were 26.76 mg/mL and 36.81 mg/mL. For the oxidative stress on PC12 cells, we treated with hydrogen peroxide (H2O2). The pretreatment of oxidative stress induced PC12 cells with all the essential oils preserved or increased their cell viability and G. hirsutum and O. biennis attenuated the ROS generation (by 68.75% and 56.25% vs. H2O2 contro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ssential oils derived from medicinal plant seeds could be used as valuable back data as a natural essential oil material to prevent neurodegenerative diseases by protecting neuro-cells.

식물성 오일에서 구현되는 삼중항-삼중항 소멸법에 의한 Upconversion 분석 (Efficient Triplet-triplet Annihilation-based Upconversion in Vegetable Oils)

  • 신성주;최현석;박은경;현규;한상일;김재혁
    • 공업화학
    • /
    • 제27권6호
    • /
    • pp.639-645
    • /
    • 2016
  • 본 연구는 음용가능한 수준의 비독성, 비휘발성 식물성 오일에서 PtOEP와 DPA를 광감응제와 전자수용체로 이용해 구현되는 효율적인 TTA-UC현상에 대해 보고하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식물성 오일에 PtOEP/DPA를 담지시켰을 때, 탈산소 공정없이도 532 nm의 입사 레이저에서 430 nm 영역의 선명한 green-to-blue UC현상이 관측되었으며, 양자수율은 약 8%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UC의 효율은 식물성 오일의 화학적 조성, 특히 불포화 탄화수소의 함량과 점도에 크게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성 오일에서의 Stern-Volmer 상수값은 유기용매에 비해 다소 낮은 값을 보였으나, 전환효율은 93% 정도로 여전히 높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해바라기씨유에서 UC의 전환 입사광 강도($I_{th}$)는 약 $100mW/cm^2$로 태양광의 직접활용에는 아직 무리가 있으나, 산소포화조건에서 비독성 매질을 통해 즉각적으로 구현되는 UC는 비전통적인 방식의 bioimaging과 같은 기술에의 응용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Rosemary, Sage, Clove 및 Nutmeg의 휘발성 및 비휘발성 성분의 항산화성 (Antioxidative Effects of Volatile Oil and Oleoresin Extracted from Rosemary, Sage, Clove and Nutmeg)

  • 이영춘;윤종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51-354
    • /
    • 1993
  • 천연 향신료의 항산화력을 탐색하기 위하여 항산화력이 있다고 보고된 rosemary, sage, clove, nutmeg 등 4종의 휘발성 정유성분 및 비휘발성 추출물을 수증기 증류법 및 용매 추출법을 써서 추출하였다. 항산화성은 lard를 기질로 하여 랜시매트법과 POV를 측정하여 비교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Rosemary, sage, clove 및 nutmeg 등 4종의 향신료를 랜시매트법에 의하여 휘발성 정유성분의 유도기간을 측정한 결과, 농도를 0.01, 0.05, 0.1%로 증가시켰으나, 4종 공히 유의적인 차이가 없어 항산화력이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상기 4종 향신료의 비휘발성 정유성분을 랜시매트법에 의하여 유도기간을 측정한 결과, 농도를 0.01, 0.05, 0.1%로 증가시킴에 따라, 항산화성이 증가하였고, 특히 rosemary, nutmeg가 항산화효과가 컸다. 4종 향신료의 항산화력을 POV를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랜시매트법으로 측정한 결과와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lard사용 제품류에 상기 4종 향신료의 비휘발성 정유성분을 0.1% 첨가시키면 현저한 항산화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미분쇄 및 배전처리가 숙성카레분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amping and Roasting Treatments on Change of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Aged Curry Powder)

  • 박완규;윤종훈;김진호;정승현;손세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26-429
    • /
    • 1993
  • 미분쇄와 배전처리가 숙성카레분의 향기성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각각을 6개월간 숙성시킨 후 GC 및 GC-MS를 사용하여 향기성분을 분리, 동정하였다. 숙성카레분의 주요 휘발성 향기성분은 terpene계 탄화수소, terpene계 alcohle 화합물, 방향족 ether 화합물로서 숙성전과 커다란 차이는 없었으나 미 분쇄시간 15분까지는 처리시간이 증가할수록 peak의 면적이 증가하다가 20분 이후에는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배전처리의 경우는 $70^{\circ}C$까지는 peak의 면적이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70^{\circ}C$에서 20분간 배전처리 한 후 숙성시키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