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atile compositions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2초

Fatty Acid and Volatile Oil Compositions of Allomyrina dichotoma Larvae

  • Youn, Kumju;Kim, Ji-Young;Yeo, Hyelim;Yun, Eun-Young;Hwang, Jae-Sam;Jun, Mira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7권4호
    • /
    • pp.310-314
    • /
    • 2012
  • Thirty-two different volatile oils were identified from Allomyrina dichotoma (A. dichotoma) larvae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The major volatile components were 2,2,4-trimethyl-3-carboxyisopropyl pentanoic acid isobutyl ester (5.83%), phenol,2,6-bis(a,a-dimethyl ethyl)-4-(1-methyl-1-phenylethyl) (5.72%), heptacosane (5.49%) and phenol,2,4-bis(1-methyl-1-phenylethyl) (5.47%). The composition of the fatty acids in A. dichotoma larvae was also determined by gas chromatography (GC) and fourteen constituents were identified. Oleic acid (19.13%) was the most abundant fatty acid followed by palmitic acid (12.52%), palmitoleic acid (3.71%) and linoleic acid (2.08%) in 100 g of A. dichotoma larvae on a dry weight basis. The quantity of unsaturated fatty acids (64.00%) were higher than that of saturated ones (36.00%). The predominant fatty acids in A. dichotoma consist of monounsaturated fatty acid (MUFA, 57.70%) such as oleic acid, myristoleic acid and palmitoleic acid, followed by saturated fatty acids (36.00%) and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6.50%). In particular, the presence of essential fatty acids, such as linoleic (5.30%) and linolenic acid (0.40%) give A. dichotoma larvae considerable nutritional and functional value and it may be a useful source for food and/or industrial utilization.

제호탕(醍蝴湯)의 일반영양성분에 관한 연구 2. 유기산 및 휘발성 향기성분 조성 (Studies on Nutritional Compositions of the Jehotang 2. Organic Acid Content and Volatile Aroma Components)

  • 윤숙자;조후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54-658
    • /
    • 1996
  • 제호탕의 유기산 함량은 formic acid 739.Snm(0.07%), lactic acid 2162.1ppm(0.22%), acetic acid 3204ppm(0.32%), citric acid 31763.7ppm(3.2%)이었으며 가장 특이한 것은 citric acid가 3.2%를 함유하는 것으로 나타나 제호탕의 신맛에 근원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GC/MSD사용하여 확인된 제호탕의 향기성 분은 39종으로 이들의 구성 성분을 분류하면 hydrocarbon류(30.81%) 17종, adehyde류(7.18 %) 1종, ketone류(4.79%) 2종, terpene류(25.96%) 8종, acid류(16%) 4종, alcohol류(5.42%) 2종, phenol류(2.76%) 2종, 그리고 기타 향기(7.68%) 3종이었다. 이 결과로 볼 때 hydrocarbon류, terpene류, acid류가 전체 향기성분의 70%이상을 차지하여 이들이 제호탕의 특유한 향기성분이었다. 제호탕의 색소 추출액은 200~400nm에서 최대 홉수파장을 나타내어 황색~적색 계통의 여러가지 색소가 혼합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from flowers attractive to honey bees and bumblebees

  • Dekebo, Aman;Kim, Min-Jung;Son, Minwoong;Jung, Chuleui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6권1호
    • /
    • pp.62-75
    • /
    • 2022
  • Background: Pollinators help plants to reproduce and support economically valuable food for humans and entire ecosystems. However, declines of pollinators along with population growth and increasing agricultural activities hamper this mutual interaction. Nectar and pollen are the major reward for pollinators and flower morphology and volatiles mediate the specialized plant-pollinator interactions. Limited information is available on the volatile profiles attractive to honey bees and bumblebe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volatile organic compounds of the flowers of 9 different plant species that are predominantly visited by honey bees and bumblebees.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volatiles were determined using a head space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method, designed to understand the plant-pollinator chemical interaction. Results: Results showed the monoterpene 1,3,6-octatriene, 3,7-dimethyl-, (E) (E-𝞫-ocimene) was the dominating compound in most flowers analyzed, e.g., in proportion of 60.3% in Lonicera japonica, 48.8% in Diospyros lotus, 38.4% Amorpha fruticosa and 23.7% in Robinia pseudoacacia. Ailanthus altissima exhibited other monoterpenes such as 3,7-dimethyl-1,6-octadien-3-ol (𝞫-linalool) (39.1%) and (5E)-3,5-dimethylocta-1,5,7-trien-3-ol (hotrienol) (32.1%) as predominant compounds. Nitrogen containing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were occurring principally in Corydalis speciosa; 1H-pyrrole, 2,3-dimethyl- (50.0%) and pyrimidine, 2-methyl- (40.2%), and in Diospyros kaki; 1-triazene, 3,3-dimethyl-1-phenyl (40.5%). Ligustrum obtusifolium flower scent contains isopropoxycarbamic acid, ethyl ester (21.1%) and n-octane (13.4%) as major compounds. In Castanea crenata the preeminent compound is 1-phenylethanone (acetophenone) (46.7%). Conclusions: Olfactory cues are important for pollinators to locate their floral resources. Based on our results we conclude monoterpenes might be used as major chemical mediators attractive to both honey bees and bumblebees to their host flowers. However, the mode of action of these chemicals and possible synergistic effects for olfaction need further investigation.

디카페인 커피 원두의 향기성분 변화 (Changes in aroma compounds of decaffeinated coffee beans)

  • 이진영;김영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92-501
    • /
    • 2023
  • 본 연구는 브라질산 커피생두를 디카페인 처리방법에 따라 구분하여 디카페인 무처리(RC), SWP 디카페인(SWDC), 초임계 CO2 디카페인(SCDC)에 대한 로스팅 이후 원두의 향기성분변화를 전자코와 HS-SPME-GC-MS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로스팅 후 Agtron(#)은 SWDC와 SCDC가 RC보다 더 낮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전자코를 이용해 분석한 세 가지 시료의 주요 향기성분은 propanol-2-one, 3-methylbutanoic acid, 1-methyl-4-isopropenyl-1-cyclohexene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propanol-2-one은 fruity, glue의 향에 관련한 것으로 디카페인 공정 유무와 상관없이 가장 높은 강도로 분석되었다. 한편, SCDC의 향기성분 중 propanol-2-one, methyl formate의 함량이 RC와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전자코를 이용한 향기성분 패턴의 PCA 분석결과 디카페인 무처리구인 RC와 처리구인 SWDC 및 SCDC의 향기성분의 차이를 확인하였고, 이와 같은 영향은 SCDC에서 더 크게 분석되었다. RC, SWDC와 SCDC의 주요 향기성분들이 propan-2-one과 hexan-2-one은 ketone, hexanal과 (E)-2-pentenal은 aldehyde, 3-methyl-1-butanol, 4-methylhexan-1-ol, 2-octanol은 alcohol에 해당하였으며, 로스팅 후 원두에서 주로 나타나는 향기성분의 구성은 유사하였으나 상대적 강도에서 차별성이 확인되었다. HS-SPME-GC-MS를 사용한 RC, SWDC와 SCDC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모두 28종으로 확인되었으며, 세 가지 시료에서 공통으로 높은 함량을 보이는 상위 향기성분은 furfural, 2,5-dimethylpyrazine, 2-furanmethanol, 2-formyl-5-methylfuran, furfuryl acetate, 2-ethyl-3-methylpyrazine 등 총 10종으로 분석되었다. RC에서 분석된 휘발성 향기성분 20여 종은 SWDC와 SCDC에서는 낮은 함량을 보이며 디카페인 처리에 따른 영향으로 차별화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디카페인 처리에 따른 로스팅 후 커피 원두의 향기성분 분석에 전자코와 HS-SPME-GC-MS를 이용함에 따라 향기성분의 조성 및 상대적 강도, 함량에 대한 패턴분석이 가능하였으며, 이와 같은 결과로 디카페인 커피에 대한 향미 특성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

가열과 비가열 처리를 통한 액젓의 이화학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Salt Fermented Anchovies with Heat Treatment)

  • 강현우;조영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92-97
    • /
    • 201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t fermented anchovies with heat treatment by measuring their chemical compositions. The heat-treated and non-heat treated salt fermented anchovies contained, respectively, 63.21 and 66.51% of moisture, 2.24 and 2.12% of total nitrogen (TN), and 1,537 and 1,520 mg/100 g of amino nitrogen (AN). In addition, heat-treated and non-heat-treated salt fermented anchovies contained 127 and 134 mg/100 g of volatile basic nitrogen (VBN), respectively. Moreover, measured the microbial level of heat-treated and non-heat-treated salt fermented anchovies was $2.58{\times}10^4$ and $3.61{\times}10^2$ CFU/mL, respectively. Also, the heat-treated and non-heat-treated salt fermented anchovies 3.65 and 0.30 units of protease activities, respectively. The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s in heat-treated and non-heat-treated salt fermented anchovies was 4,964 and 6,638 mg/100 g, respectively. The major free amino acid were glutamic acid, leucine, lysine, alanine, valine, isoleucine. Our results provide the characteristics of salt fermented anchovies and encourage their application for the food industry and cooking.

연소조건에서 중금속 염화물의 휘발 및 유독성 제어 (Volatilization and Toxicity Control of Heavy Metal Chlorides under Combustion Conditions)

  • 서용칠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75-182
    • /
    • 1993
  • Volatilization of toxic heavy metals, especially, metal chlorides at elevated temperatures in oxidation conditions was observed using a thermogravimetric furnace since such metal chlorides used to be a cause for the disease of industrial workers by their toxicity and high volatile extent. Most of tested metal chloride compounds were evaporated or decomposed into gas phase at elevated temperatures ranged from 200~90$0^{\circ}C$, while CrCl$_3$ and NiC1$_2$became stable with converting into oxide forms. A kinetic model for evaporation/condensation could predict maximum evaporation flux and the calculated values were compared with real evaporation flux. The ratio of two fluxes could be explained as the fraction of impinging gas molecules to the condensing surface( $\alpha$ ) and obtained in the range of 10$^{-3}$ ~10$^{-9}$ for the experimented toxic heavy metal chlorides. This ratio might be used to define the volatile extent or toxicity of such toxic metal compounds. The schemes to avoid volatilization of toxic heavy metals Into the atmosphere were suggested as follows ; 1 ) controlling the compositions of metals and Chlorine produced substances( such as PVC ) in the treated materials using a reverse estimation from regulatory limit and characteristics of a processing facility, 2) Installation of wet type devices such as a scrubber for condensing the metal compounds.

  • PDF

마(Dioscorea batatas Decne)꽃의 방향성분 조성 (Aromatic Compounds in Flower of Chinese Yam (Dioscorea batatas Decne))

  • 김상국;강동균;이상철;민기군;이승필;정상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748-751
    • /
    • 1997
  • 본 연구는 한국산 마의 괴근 형태로 분류되는 장마와 단마를 개화기에 꽃의 방향 성분과 정유수율을 비교조사하여 향료로서의 기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마꽃의 방향 성분은 총 26종이 확인되었으며 지방족 알콜류가 다량분포하여 향료 첨가물이나 향수의 기본재료로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단마는 장마보다 1,2-butyleneglycol은 11배, phenylalcohol은 12배, caproic acid는 28배, cis-3-methylsalicylate는 8배, cinnamic alcohol은 25배, $\alpha$-hexyl cinnamic acid는 13배, laulic acid는 6배 높은 경향을 보였다. 3. 마꽃 방향 성분의 수율은 0.7%로서 그 이용 가능성이 크며 단마가 0.983%, 장마가 0.417%로 단마가 약 2.4배 수율이 높았다. 4. 마꽃의 방향 성분 조성과 정유성분 수율을 감안할 때 마의 부산물인 마꽃을 향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었다.

  • PDF

어성초의 화학적 특성과 휘발성 향기성분 추출물의 항균효과 (Chemical Characterization and Antibacterial Effect of Volatile Flavor Concentrate from Houttyunia cordata Thunb)

  • 신성의;서두석;정길록;차월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97-301
    • /
    • 2006
  • SDE연속추출장치로 추출, 농축한 어성초 휘발성 향기성분 추출물이 15종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어성초의 추출물은 주로 Vibrio와 Bacillus속의 세균들에 대해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냈고, S. aureus와 epidermidis, S. dysenteriae, C. xerosis, L. monocytogenes에도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하지만 E. coli, S. typhi, E. cloaceae, Y. enterocolitica와 같은 세균들은 어성초 휘발성 향기성분 농축물에 저항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성초의 잎과 줄기에 대한 일반성분 중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은 잎에 많이 함유되어 있고 조섬유는 줄기에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잎에서 9종의 유리아미노산이 검출되었고, 줄기에서는 8종의 유리아미노산이 총 8.81 mg/l00 g 으로 더욱 많이 검출되었다. 지방산조성을 분석한 결과 잎과 줄기에 linolenic acid (C18:3), linoleic acid (C18:2), palmitic acid (C16:0)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무기성분 중 잎과 줄기에서 K의 함량이 가장 많았고 Ca, P, Mg, Fe, Zn, Cu의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파슬리의 잎과 씨의 휘발성 성분 (Volatile Components of Parsley Leaf and Seed (Petroselinum crispum))

  • 김영희;김근수;홍종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1호
    • /
    • pp.62-67
    • /
    • 1990
  • 파슬리의 잎과 씨로부터 휘발성 향기 성분을 분리한 다음 GC-MS 및 GC에 의한 머무름 시간의 비교에 의해 성분을 확인하였다. 잎과 씨에서 휘발성 성분의 함량은 각각 0.06 %와 3.11 %이었다. 잎에서는 mass spectrum에 의해 잠정적으로 확인된 15종의 성분을 포함하여 58종 그리고 씨에서는 23종의 성분이 확인되었다. 그 중 43종의 terpene화합물이 잎에서 분리한 휘발성 성분의 약 46.4 %를 차지하였고 씨에서는 49.3 %를 차지하였다 잎에서 양적으로 많이 함유된 terpene 화합물은 myrcene(3.01 %), 4-isopropenyl-1-methyl benzene(4.52 %), ${\rho}-1$, 3, 8-menthatriene(10.49 %)인 반면 씨에서는 ${\alpha}-pinene$(22.28 %)와 ${\beta}-pinene$(16.20%)이었다. 한편 두 oil에서 가장 풍부하게 함유된 성분은 myristicin으로서 잎과 씨에서 각각 전체 향기성분의 21.80 % 및 47.54 %를 차지하였다.

  • PDF

한국산(韓國産) 식용(食用)버섯의 향기성분(香氣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느타리버섯의 향기성분(香氣成分)- (Studies on the Volatile aroma Components of Edible mushroom (Pleurotus Ostreatus) of Korea)

  • 안장수;이규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58-262
    • /
    • 1986
  • 한국산 느타리버섯의 생것과 조리 중의 향기성분을 GC, GC-MS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 느타리버섯의 향기성분 24종을 확인 동정하였다. 이들 중 3Octanol이 46.01% 3-octanone은 18.75%, 1-octene-3-ol이 15.39% Isobutyl alcohol이 3.48%, 그리고 Isoamylalcohol은 3.07%, 2-methylbutylalcohol이 2.34%로 이들 6가지 성분이 전체 향기성분중에서 89.04%를 차지하였다. 2) 조리 중 느타리버섯에서는 향기성분 16종을 확인 동정하였으며 이중 1-octen-3-ol이 66.50%, 3-octanol 10.99%, 3-octanone 9.77% 1-octen-3-one 1.3% 및 Octyl alcohol 1.12%로 이들 5가지 성분이 전체의 향기성분 중에서 89.61%로 조성 되었다. 3) 느타리버섯의 생것이나 조리 중의 향기성분은 대부분이 Carbonyl 화합물과 Alcohol류로 되어 있었으며 탄소수는 $2{\sim}8$개인 저급 지방족화합물로 되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