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atile aroma components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22초

곡류 첨가 발효유의 저장 중 HS-SPME를 이용한 휘발성 향기성분 정량분석 (Determinati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during Storage of Cereal Added Yogurt using HS-SPME)

  • 임찬묵;주진우;김거유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646-65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발효유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HS-SPME/GC-FID를 이용하여 정량분석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정량 분석의 재현성 및 정확성을 확인하여 발효유의 휘발성 향기성분 연구에 접목시키고자 실험을 실시하였다. HS-SPME를 이용하여 발효유의 acetaldehyde, acetone, diacetyl 그리고 acetoin 등의 향기성분 추출 시 $35^{\circ}C$에서 가장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 발효유의 주요 휘발성 향기성분의 표준물질을 농도별로 제조하여 standard curve를 작성하여 상관관계식을 얻을 수 있었으며, $r^2$값은 모든 표준시료에서 0.9979 이상으로 뛰어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곡류(백미, 현미, 발아현미, 발아현미당화)를 첨가한 발효유를 제조하여 저장기간 중 휘발성 향기성분의 함량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Acetaldehyde의 경우 대조구 및 백미첨가 발효유는 저장기간 중 acetaldehyde의 함량이 약 1.4배 증가하였다. 현미와 발아현미, 그리고 발아현미 당화액을 첨가한 발효유의 경우 저장 0일차 acetaldehyde의 함량이 11.78, 12.39, 12.15 ppm으로 대조구의 0일차 함량(10.83 ppm)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냈지만, 저장 15일차에는 acetaldehyde 함량이 각각 11.96, 13.04, 12.10 ppm으로 대조구의 15일차 함량(15.67 ppm)보다 약 1.3배 낮은 함량을 나타냈다. Acetone은 매우 미량으로 분석되었고, 저장기간 중 생성 또는 휘발되어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대조구 및 백미첨가발효유의 diacetyl 함량은 저장기간 중 약 2배 증가하였고, 현미와 발아현미, 그리고 발아현미 당화액 첨가 발효유의 경우 저장 0일차 함량이 각각 0.74, 0.81, 0.84 ppm으로 대조구 및 백미첨가발효유의 함량(0.35, 0.48 ppm)보다 높게 분석되었다. Acetoin 함량은 곡류를 첨가한 발효유에서 대조구보다 전체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대조구 및 백미첨가발효유의 경우 저장기간 중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p<0.05), 현미와 발아현미 그리고 발아현미 당화액 첨가 발효유는 저장기간 중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HS-SPME/GC를 이용하여 곡류를 첨가한 발효유의 저장 기간 중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를 정량 분석한 결과 재현성이 뛰어났으며, 개별 향기성분의 분석도 가능하였다. 따라서 발효유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HS-SPME/GC를 이용하여 정량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발효유의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및 제조 및 품질특성에 관한 기초 연구 시 경제적이고 효율적으로 이용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끽미종 잎담배 성분조성에 관한 연구 II. 헤드스페이스 휘발성 유기성분의 특성 조사 (Composition Studies on the Aromatic Tobacco Varieties (Nicotiana tabacum L. ) : II. Characteristics of Headspace Vapors)

  • 김경례;이운철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0
    • /
    • 1981
  • 5가지 향끽미종 잎담배의 헤드스페이스 휘발성 성분들을 중합체 흡착방법 및 고성능 유리 캐피러리 가스 크로마토그라피로 분석하였다. 얻어진 가스 크로마토그라피의 프로파일을 비교한 결과 각 담배 시료는 독특한 방향성분의 조성을 보여주며 주요성분의 정량적인 차이가 현저함이 확인되었다.

  • PDF

Gardenia Absolute Oil을 구성하고 있는 휘발성 성분의 분석 (Analysis of Volatile Compounds in the Gardenia Absoulute Oil)

  • 하창규;양해주;윤석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1-56
    • /
    • 1993
  • GC와 GC-MSD와 관능시험을 이용하여 Gardinia Jasmoniodes Ellis로 부터 제조한 Gardinia Absolute Oil의 특징적인 방향성분을 확인하였다. GC 분석 방법은 극성 비극성의 column인 Carbowax 20M과 SPB-1을 동시에 장착한 Double Column System을 이용하였으며 GC Workstation에 의한 자동적인 Retention Indexs Match System을 적용하여 분석된 data를 확인하였다. 시험적 판단 성분 9개를 포함하여 전부 51개의 성분을 확인하였다. 주요성분으로 Linalool, 여러 형태의 Farnesene, Jasmin lactone, Gamma undecalactone 그리고 Cis-3-hexene 유도체들이 있다.

  • PDF

전자코를 이용한 쇠고기의 신선도 변화에 따른 냄새 분석 (Odor Analysis for Beef Freshness Estimation with Electronic Nose)

  • 김기영;이강진;최규홍;최동수;손재룡;강석원;장영창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9권4호
    • /
    • pp.317-322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identifying freshness of beef using a surface acoustic wave (SAW) sensor based electronic nose. The beef was stored at 5$^{\circ}C$ and aroma was measured with the passage of time. Chromatographic analysis of the odor showed that number of volatile components and their amounts were rapidly increased after 19 days of storage. Classifying beefs according to their storage days was possible using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 Classifying beefs processed from four different origins was also possible with PCA analysis of odor. This study shows that electronic nose can be applied to beef freshness evaluation and classification of its origin.

원두커피 향미 성분의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 포장재에서의 저장 차이 분석 (Analysis of Flavor Components of Coffee Beans in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Packaging Materials during Storage)

  • 유하경;이승욱;오재영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89-95
    • /
    • 2017
  • 전 세계적으로 커피 시장이 매년 커지고 있고 이에 따라 커피 포장지의 수요 역시 증가하고 있지만 제품에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될 씰란트 층에 사용되는 PE 재질과 PP 재질이 커피 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코(Electronic nose)와 기체크로마토그래피와 질량분석기(GC/MS)를 이용하여, PP와 PE 재질의 파우치에 커피를 담아 향기 패턴과 향 물질의 변화를 연구해 보았다. 저장기간에 따른 휘발성분 분석 결과, 커피의 향기 성분 분석에 적합한 지표 물질은 pyridine이었다. 추가적으로 온도($4^{\circ}C$, $25^{\circ}C$ and $40^{\circ}C$)와 탈산소제의 유무에 따른 향기 패턴 변화 역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미미하게나마 PP계열 포장재가 PE계열 포장재보다 보향성이 좋았으나 재질에 의한 성능의 변화는 거의 없다는 결과를 얻었다. 오히려 재질보다는 온도에 의한 향기 패턴 변화가 지배적이었다. 냉장 유통($4^{\circ}C$)이 가장 좋은 보관 온도였고 짧은 기간 내에 판매가 이루어지는 것이 이상적이다.

레토르트 파우치 카레의 전열특성 및 품질안정성 (Heat Penetration Characteristics and Keeping Quality of Retort Pouched Curry)

  • 구본열;박성준;변유량;손세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3-68
    • /
    • 1993
  • 레토르트 파우치 카레의 중심부에 열전대를 연결하여 전열곡선을 측정하고 그 전열곡선으로부터 전열속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별로 전열특성치를 구하였고, 가열살균과정 중의 성분의 변화, 적정살균 조건 및 품질 안정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레토르트 파우치 카레의 전열곡선은 simple logarithmic curve를 나타냈으며, 파우치내 중심부의 고형물이 액즙보다 $f_h$값이 1분 정도 높았으며, 고형량비, 고형물크기, 점도의 변화에 따라 $f_h$은 8.3분에서 12분으로 각각 $2{\sim}4$분의 차이를 나타냈고, $j_h$값은 $1.0{\sim}1.17$로 변화하였으나 초기온도에는 그다지 영향을 받지 않았다. 파우치내용물의 두께와 봉입 공기량이 전열속도에 미치는 영향은 내용물 조성의 변화에 따른 영향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께가 11 mm에서 15 mm로 증가됨에 따라 $f_h$값은 7.4분에서 12.6분으로 $j_h$값은 1.0에서 1.24 정도로 증가하였다. 레토르트 파우치 사레의 적정 살균값 $F_o$$8{\sim}9$였으며 이 때의 적정 살균조건은 $120^{\circ}C$에서 24분 이었다. 대량 생산시는 전열 특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어 더욱 많은 연구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가열살균 전후의 카레 향기 성분의 변화에서 살균후는 살균전과 비교하여 저비점, 중비점 화합물이 감소한 반면 고비점 화합물은 증가하였으며, 색조는 적색도 a값이 증가하였다. $120^{\circ}C$에서 30분간 가열살균한 레토르트 파우치 카레를 상온과 항온($35{\pm}1^{\circ}C$)에서 각각 5개월 및 3개월간 저장 후에도 pH, acid, 색조, 향미에서 품질의 변화없이 안정하였으며, $120^{\circ}C$에서 24분간 가열 살균한 카레는 항온 시험 및 세균시험 결과, 저장기간중 안전성에서 이상이 없었다.

  • PDF

Development and Metabolite Profiling of Elephant Garlic Vinegar

  • Kim, Jeong-Won;Jeong, Deokyeol;Lee, Youngsuk;Hahn, Dongyup;Nam, Ju-Ock;Lee, Won-Young;Hong, Dong-Hyuck;Kim, Soo Rin;Ha, Yu Sh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1호
    • /
    • pp.50-58
    • /
    • 2018
  • Elephant garlic (Allium ampeloprasum var. ampeloprasum), which belongs to the Alliaceae family along with onion and garlic, has a flavor and shape similar to those of normal garlic but is not true garlic. Additionally, its properties are largely unknown, and its processing and product development have not been reported. In this study, we focused on using elephant garlic to produce a new type of vinegar, for which the market is rapidly growing because of its health benefits. First, we evaluated the effects of elephant garlic addition on acetic acid fermentation of rice wine by Acetobacter pasteurianus. In contrast to normal garlic, for which 2% (w/v) addition completely halted fermentation, addition of elephant garlic enabled slow but successful fermentation of ethanol to acetic acid. Metabolite analysis suggested that sulfur-containing volatile compounds were less abundant in elephant garlic than in normal garlic; these volatile compounds may be responsible for inhibiting acetic acid fermentation. After acetic acid fermentation, vinegar with elephant garlic did not have any sulfur-containing volatile compounds, which could positively contribute to the vinegar flavor. Moreover, the amino acid profile of the vinegar suggested that nutritional and sensory properties were more enhanced following addition of elephant garlic. Thus, elephant garlic may have applications in the development of a new vinegar product with improved flavor and quality and potential health benefits.

궐련지의 섬유종류가 담배 연기성분에 미치는 영향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moke components delivered from cigarette papers manufactured by flax and wood pulp)

  • 김종열;김정열;신창호;이근회;이동욱;제병권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9-127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cigarette papers, flax and wood, on the delivery of mainstream smoke. The main components of cigarette papers were cellulose, hemicellulose, lignin, and pectin. Lignin contents, known as precursor of smoke's phenolic compounds, of the flax and wood cigarette papers were 5.8% and 10.6%, respectively. The pyrolysis products of cigarette papers were similar by the profile of total ion chromatogram. But, the area % of some components, such as 1,3-cyclopentanedione, 3,5- dimethyl cyclopentane-1,2-dione, 2-hydroxy-3-methyl-2-cyclopentenone, dihydro-2(3H)-furanone, 3-methyl-2(5H)-fruanone, and 5-methyl-2-furaldehyde delivered through pyrolysis of the flax cigarette paper were higher than that of wood cigarette paper. Otherwise, the area % of some components, such as 2-methyl-cyclopentene-l-one), 2,3-butanedione, 2-cyclopentene-l-one, and 5-hydroxy-2-methyl-furaldehyde, 2-furaldehyde delivered through pyrolvsis of the wood cigarette paper were higher than that of flax cigarette paper. To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two cigarette papers, we used the cigarette column filled with the cut cigarette paper instead of the cut tobacco leaf. The amounts of semi-volatile fraction delivered from flax cigarette paper was more than that of wood cigarette paper. But, by using the cut tobacco, there was no big difference of delivery amount between flax and wood cigarette papers. Also, aroma of TPM by collecting from brening cut tobacco wrapped in flax and wood papers showed a different pattern by the electonic nose system. Although the difference between two cigarette papers by using the cut tobacco was smaller than that of cut cigarette paper,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fax and wood had the different effects on the delivery of smoke components as shown in the sensory test results.

  • PDF

살구의 휘발성 성분 조성에 대한 분리방법의 영향 (Influence of Isolation Method on the Composition of Apricot (Prunus armeniaca var. ansu Max.) Flavor)

  • 김영회;곽재진;권영주;양광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43-548
    • /
    • 1990
  • 살구의 휘발성 향기성분 조성에 대한 분리 방법의 영향을 조사코저 살구 과육(pH 3.1)을 simultaneous distillation-extraction(SDE)법, headspace trapping법 또는 이를 pH 7.0으로 중화시킨 후 SDE법에 의해 얻어진 정유성분의 조성을 분석 비교하였다. GC-MS 및 GC에 의한 표준품과 머무름 시간의 비교에 의해 확인된 80종의 성분들 중 pH3.1에서 SDE법에 의해 얻어진 정유성분중에는 다른 두 가지 방법에 의해 얻어진 정유성분에서는 검출되지 않거나 또는 미량으로 검출된 n-hexanal, trans-2-hexenal, cis-3-hexen-1-ol, linalool oxide, linalool, ${\alpha}-terpineol$, nerol, geraniol, benzyl alcohol, ${\beta}-phenylethyl alcohol$ 및 naphthalene 유도체들이 많이 검출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살구에서 비휘발성인 glycoside 형태로 존재하는 위와 같은 성분들이 산성조건하에서 수증기 증류시 glycoside 결합이 가수분해되어 휘발성 성분으로 유리되는데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취반된 흑미의 휘발성 향기 성분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Cooked Black Rice)

  • 송선주;이유석;이종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015-1021
    • /
    • 2000
  • 현재 재배되고 있는 흑미 중 수원 415호와 진도를 n-pentane과 diethylether 혼합용액(1:1, v/v)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SDE방법으로, 취반된 흑미로부터 휘발성 향기 성분을 추출하였다. 이 향기 추출물을 정제 농축하여 GC와 GC/MS로 분석한 후 GC 분석에 의한 RI 및 GC/MS 분석에 의한 mass spectrum을 표준물질의 분석 자료와 비교, 확인함으로써 휘발성 향기 성분을 동정하였고, 내부 표준물질을 이용하여 이들 성분을 정량하였다. 수원415호와 진도에서 각각 91, 82종의 화합물이 분리되었다. 수원415호에서는 alcohol류 26종, ketone류 15종, ester류 11종, aldehyde류 10종, hydrocarbon류 9종, acid류 5종, 황화합물 9종, 질소화합물 3종, furan 화합물 3종이었고 동정된 물질 중에서 hexadecanoic acid, acetic acid, 1,2-ethanediol, guaiacol, ethyl acetate, 2,3-dihydrobenzofuran, ethanol, ethyl hexadecanoate, methyl 9,12- octadecadienoate, hexanol, ethyl formate, hexanal, 2-pentanone이 수원 415호 흑미의 주요한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진도 흑미에서 분리 동정된 성분으로는 alcohol류 28종, ketone류 14종, ester류 12종, aldehyde류 9종, hydrocarbon류 5종, acid류 4종, 황화합물 4종, 질소화합물 3종, furan 화합물 3종이었고, hexadecanoic acid, guaiacol, acetic acid, 2,3-dihydrobenzofuran, hydroperoxy pentane, ethyl acetate, methyl 9,12-octadecadienoate, 2-nonanone, ethyl hexadecanoiate, ethyl formate, ethyl 9-octadecenoate, hexanol, 2-pentanone, 3-methyl-1-butanol이 동정되어 이러한 성분들이 진도 흑미의 주요한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미량이지만 향기의 발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는 1-acetyl-2-pyrrolidone과 ${\alpha}-pyrrolidone$이 동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