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tamin E contents

검색결과 293건 처리시간 0.026초

Nutritional Components and Safety of Purified Pufferfish (Lagocephalus gloveri) Liver Oil

  • Kim Dong-Soo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6권4호
    • /
    • pp.172-179
    • /
    • 2003
  • The safety of pufferfish (Lagocephalus gloveri) liver oil and the contents of some nutritional components were examined to obtain important information on their use as high valued functional foods. Pufferfish liver oil was extracted by the hot-water method using $1\%$ NaOH solution to remove toxic compounds, and then purified using a general purifying method of fish oil. Any extraordinary clinical symptoms were not observed from all groups administrated with pufferfish liver oil throughout the test period. None of the rats died when administrated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10 mL/kg of the pufferfish liver oil. Vitamin A content was 114.2 ppm, as a retinal equivalent in the oil extracted using hot-water, but the content was higher (169.3 ppm) in oil extracted using n-hexane. Vitamin D and E were not detected in ppm in oil extracted using hot-water. Vitamin D in the pufferfish liver oil extracted using n-hexane was also undetected, but vitamin E was at 32.5 ppm. Among the 18 minerals detected, the sodium content was the highest at 253.5 ppm, followed by 13.9 ppm ofpotassium, 1.5 ppm of calcium, 0.2 ppm of magnesium, and other trace minerals. The contents of EPA and DHA were $0.8\%\;and\;14.8\%$, respectively, in the pufferfish liver oil extracted using hot-water. Considering these results, there is potential that pufferfish liver oil could be used as a functional food.

국내산 원유 중 비타민 A, E, $B_l$$B_2$ 함량에 관한 연구 (Composition of Vitamin A, E, $B_l$ and $B_2$ Contents in Korean Cow's Raw Milk in Korea)

  • 곽병만;김성한;김강섭;이기웅;안장혁;장치훈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45-25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2003년 7월에서 2004년 6월까지 충청도와 전라도 지역에서 집유한 원유의 비타민 A, E, $B_l$$B_l$ 함량을 1년간 분석함으로써 우유에 함유된 비타민의 최근 동향 및 계절적 변화를 조사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중 지용성 비타민 A와 E의 함량에는 계절적 변화가 있었으며, 비타민 A의 경우 봄($3월{\sim}5월$)은 $35.1{\sim}59.0{\mu}g/100mL$로 평균 $44.4{\mu}g/100mL$, 여름($6{\sim}8월$)은 $36.7{\sim}65.6{\mu}g/100 mL$로 평균 $50.0{\mu}g/100 mL$, 가을($9월{\sim}11월$)은 $28.7{\sim}61.2{\mu}g/100 mL$로 평균 $46.8{\mu}g/100 mL$이었으며, 겨울($12월{\sim}2월$)은 $29.9{\sim}57.8{\mu}g/100mL$로 평균 $43.1{\mu}g/100 mL$를 나타내어 우유 중 비타민 A함량은 여름철이 가장 높고, 겨울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타민 E의 경우 봄($3월{\sim}5월$)은 $28.3{\sim}59.2 {\mu}g/100 mL$ 로 평균 $45.8 {\mu}g/100 mL$, 여름($6월{\sim}8월$)은 $39.6{\sim}69.9 {\mu}g/100mL$로 평균 $58.8{\mu}g/100 mL$, 가을($9월{\sim}11월$)은 $35.0{\sim}62.8{\mu}g/100 mL$로 평균 $46.2{\mu}g/100 mL$이었으며, 겨울($12월{\sim}2월$)은 $26.0{\sim}55.4{\mu}g/100 mL$로 평균 $41.5 {\mu}g/100 mL$이었다. 분석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원유 중 비타민 E함량은 여름철이 가장 높고, 겨울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용성 비타민 $B_l$$B_2$의 경우는 계절에 따른 변화가 없었으며(p<0.05), 비타민 $B_l$의 경우 봄($3월{\sim}5월$)은 $27.7{\sim}57.9{\mu}g/100 mL$로 평균 $42.84{\mu}g/100 mL$, 여름($6월{\sim}8월$)은 $32.4{\sim}66.1{\mu}g/100 mL$로 평균 $49.39{\mu}g/100 mL$, 가을($9월{\sim}11월$)은 $34.1{\sim}63.7{\mu}g/100 mL$로 평균 $46.69{\mu}g/100 mL$이었으며, 겨울($12월{\sim}2월$)은 $20.6{\sim}61.4{\mu}g/100 mL$로 평균$43.26{\mu}g/100 mL$로 측정되었다. 비타민 $B_2$의 경우는 봄($3월{\sim}5월$)은 $150{\sim}182{\mu}g/100 mL$ 로 평균 $166{\mu}g/100 mL$, 여름($6월{\sim}8월$)에는 $145{\sim}185 {\mu}g/100 mL$로 평균 $163 {\mu}g/100 mL$, 가을($9월{\sim}11월$)은 $149{\sim}180{\mu}g/100 mL$로 평균 $166{\mu}g/100 mL$이었으며 겨울($12월{\sim}2월$)은 $148{\sim}190{\mu}g/100 mL$로 평균 $167{\mu}g/100 mL$로 측정되었다.

국내 양식 뱀장어 (Anguilla japonica)에서의 주요 영양학적 성분의 평가 (Evaluation of Major Nutrients of Domestic Farmed Eels Anguilla japonica)

  • 조혜선;최종환;고홍범;서재성;안준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37-242
    • /
    • 2011
  • To evaluate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main nutritive ingredients (vitamin A, $V_A$; vitamin E, $V_E$; cholesterol; the composition of fatty acids) between eels cultured in different domestic eel farms, we analyzed edible parts of eels that were cultured in three "Water Recirculation System (WRS)" farms and three "Still-Water System (SWS)" farms. We found differences in crude protein, crude lipids and the ash content of eel meat between the farms, but water conten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V_A$ and $V_E$ contents did not show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ulture methods, but there was a noticeable distinction between the eel farms. In particular, $V_E$ cont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els of each farm (highest farm, about 25 mg/100 g dry wt; lowest farm, about 1 mg/100 g dry wt). The fatty acids of cultured eels were composed of monoenes (MUFA, 55-60%), saturates (SFA, 30-33%), $\omega$-6 highly unsaturates (HUFA, 1.6-2%) and $\omega$-3 HUFA (8-9.2%). The MUFA content of WRS eels ($59.9{\pm}1.97%$) was higher than that of SWS eels ($55.8{\pm}0.48%$). The contents of other fatty acids were higher in SWS eels (SFA, $33.0{\pm}0.52%$; $\omega$-6FUFA, $1.98{\pm}0.2%$; $\omega$-3 HUFA, $9.2{\pm}0.67%$) than in WRS eels (SFA, $30.5{\pm}1.34%$; $\omega$-6 HUFA, $1.62{\pm}0.19%$; $\omega$-3 HUFA, $8.0{\pm}0.5%$).

국내에서 소비되는 일부 상용 식품의 비타민 E함량 분석 (Analysis of Vitamin E in Some Commonly Consumed Foods in Korea)

  • 이선미;이희봉;이준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7호
    • /
    • pp.1064-107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소비되는 일부 상응 식품의 비타민 E 함량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각 식품군들의 비타민 E는 검화벙법 또는 직접용매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이를 순상 HPLC를 통하여 분리, 정량하였다. 육류에선 장조림이 1.08 $\alpha-TE$가장 높았으며, 어패류는 마른 오징어가 4.69 $\alpha-TE$로 높게 분석되었다. 해조류는 조미김이 $5.70\;\alpha-TE$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유제품은 분유에서 $3.17\;\alpha-TE$, 두류에선 서리태가 $1.52\;\alpha-TE$로 가장 높은 값으로 나타났고, 견과류에선 해바라기씨가 $17.99\;\alpha-TE$노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조리가공식품류는 라면이 $1.96\;\alpha-TE$로 가장 높았으며, 전통가공 식품류에서는 고추장이 $3.48\;\alpha-TE$로 가장 높은 분석치를 나타내었다. 본 논문에서 분석된 자료는 식품 내 비타민 E 함량 분석을 통한 표준화된 영양성분표의 기반확립에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흰쥐(rat)에 있어서 철분 및 vitamin E 결핍이 다불포화 지방산 및 그 유도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iron and vitamin E deficiency o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and their derivatives in rat)

  • 허린수;김성훈;도재철;김순태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11-319
    • /
    • 1988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lucidate the effects of iron, a well known catalyst of lipid peroxidation, on the contents of phospholipids, unsaturated fatty acids composed in phospholipid molecules and their derivatives, prostaglandins, and the composition changes of fatty acids contained in phospholipids. Iron decreased the contents of phospholipids and its components of unsaturated fatty acids. Catalytic action of iron decreased the composition rates of linoleate and linolenate composed in phospholipid molecules, while that of arachidonate was inclined to increase. The content of arachidonate was increased and that of prostaglandins was decreased without regard to increase the precursor of prostaglandins. It may be concluded that the decreases of prostaglandins and the increase of arachidonate are due to inhibition of the activities of enzyme systems responsible for prostaglandin synthesis by lipid peroxides produced by the catalyst of iron.

  • PDF

발아에 따른 일부 특수미의 GABA 함량 변화 (Changes in GABA Content of Selected Specialty Rice After Germination)

  • 최용민;전건욱;공수현;이준수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2호
    • /
    • pp.154-158
    • /
    • 2009
  • 일반적으로 현미를 발아시킬 경우 다양한 효소의 활성화로 인하여 GABA, ferulic acid, arabinoxylan, inositol 등의 기능성 성분들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조직을 연화시켜 현 미의 식미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GABA는 발아현미에 존재하는 기능성 물질 중의 하나로 비단백질 아미노산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발아 후 품종별 GABA 함량의 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으며 이와 함께 vitamin E의 변화와 항산화력의 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GABA 함량은 비색법을 이용하였고 vitamin E는 HPLC 방법을 항산화력은 ABTS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 본 연구 결과 품종별 현미는 발아 과정을 통하여 GABA 함량은 약 10배 이상 그리고 vitamin E의 경우 tocotrienol이 상당히 증가하였으며 항산화 활성에는 전반적으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큰눈 발아 현미의 경우 GABA 함량이 다른 품종에 비해 월등히 높았고 vitamin E 함량과 항산화 활성은 신명흑찰 발아현미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 현미를 발아시키면 GABA 및 vitamin E 등과 같은 생리활성 물질이 증가되고 항산화 활성이 그대로 유지된 기능성 쌀 가공품의 원료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식이 중에 첨가한 Coenzyme $Q_{10}$가 Vitamin E가 Adriamycin을 투여한 흰쥐의 간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Coenzyme Q_{10}$ and Vitamin E on Hepatic Lipid Metabolism in Adriamycin-Treated Rat)

  • 양경미;정영아;서정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484-489
    • /
    • 1992
  • Adriamycin(ADR)에 의해 유도된 지질과산화로 인한 세포손상에 대한 vitamin E 및 coenzyme $Q_{10}$의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이유한 sprague-Dawley 흰쥐를 4군(대조군, coenzyme $Q_{10}$과 vitamin E 무첨가군, coenzyme $Q_{10}$ 급여군, vitamin E 급여군)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였다. 대조군을 제외한 모든 실험군에게 매주 1회씩 일정시각에 ADR(2mg/kg)을 복강주사하였다. 혈장에서의 지질과산화물 함량, 간 cytosol의 지질과산화물 대사 효소활성도, 간 미토콘드리아의 지방산 조성과 간 지질함량을 측정하였다. 혈장에서의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서 모든 처리군에서 증가되었으나 vitamin E와 coenzyme $Q_{10}$의 급여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 Catalase와 GSH-Px 활성도는 ADR투여로 크게 변화되지 않았으나 coenzyme $Q_{10}$의 급여로 활성이 유으적으로 증가되었다. SOD 활성도는 ADR 투여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coenzyme $Q_{10}$ 공급만이 그 활성도를 크게 유도하였다. 간 지질함량의 변화는 ADR 투여로 대조군에 비해 cholesterol과 phospholipid 양이 증가되었고, cholesterol함량에 있어서는 coenzyme $Q_{10}$ 급여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비육후기 사료에서 비타민-미량광물질 첨가제의 제거가 돼지의 성장 능력, 근육 내 비타민 E 및 분 중 미량광물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letion of Supplementary Vitamins and Trace Minerals on Performance, Muscle Vitamin E and Fecal Trace Mineral Contents in Finishing Pigs)

  • 이승철;이종언;김규일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4호
    • /
    • pp.543-550
    • /
    • 2003
  • 비육후기 사료에서 비타민-미량광물질 첨가제의 제거가 돼지의 성장, 사료효율, 혈 중 헤모글로빈 농도, 돈육 내 비타민 E 및 분 중 미량광물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사육환경이 서로 다른 돈사에서 두 번의 시험이 수행되었다. 시험 1에서는 45두의 비육돈 (평균체중 70 kg, 3원교잡종)을 돈방 당 5두씩 배치하고, 대조구 (비타민-미량광물질 프리믹스 첨가), 프리믹스 50% 및 0% 첨가구에 각각 3돈방을 배치하여 환기와 온도가 제어되지 않는 재래식 톱밥돈사에서 7주동안 사양한 후 도축하였다. 시험 2에서는 돈사 환기 및 온도가 자동 조절되는 슬러리 무창돈사에서 36두의 요크셔 비육돈 (평균체중 56 kg)을 돈방 당 4두씩 배치, 대조구(비타민-미량광물질 프리믹스 첨가), 프리믹스 0% 및 프리믹스 0%+비타민 E(100 mg $\alpha$-tocopherol acetate/kg) 첨가구에 각각 3돈방을 배치하여 7주 동안 사양 후 도축하였다. 두 시험에서 처리 간 일당증체량, 사료섭취량, 사료효율 및 도체특성은 유의차가 없었으나 시험 2에서는 대조구의 일당증체량이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 프리믹스의 미 첨가는 헤모글로빈 함량이나 적혈구 수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분 중 Mn과 Zn 함량은 대조구에서 프리믹스를 첨가하지 않은 다른 처리에서 보다 매우 높게 (P<0.01) 나타났다. 혈 중 미량광물질 함량은 처리간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햄 근육 (gluteus maxima) 내 $\alpha$-tocopherol 함량은 프리믹스를 첨가하지 않음으로써 감소하였으나 (P〈 0.01), 도살 전 2주 동안 $\alpha$-tocopheryl acetate(100mg/kg diet)를 급여함으로써 프리믹스 첨가구보다도 더 증가하였다 (P< 0.01). 본 연구결과 돼지 비육후기 사료에 비타민-미량광물질 프리믹스의 첨가는 성장율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분 중 일부 미량광물질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경제적인 손실과 토양오염의 위험이 있음을 말해 준다. 프리믹스 제거로 인한 고기 내 비티민 E 함량의 감소는 마지막 2주동안 $\alpha$-tocopherol 를 첨가 급여함으로써 회복될 수 있다.

Oxyfluorfen에 대한 내성(耐性) 및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의 생리활성(生理活性) 기구(機構) - V. 항산화제(抗酸化劑) 함량(含量) 및 GST 활성(活性) (Different Physiological Activity of Selected Rice Cultivars to Diphenylether Herbicide, Oxyfluorfen - V. Different Content of Antioxidant and GST Activity)

  • 국용인;구자옥;박노동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27-336
    • /
    • 1996
  • DPE계 제초제(除草劑)인 oxyfluorfen의 생리활성(生理活性)을 내성(耐性)으로 선발되었던 벼 3품종(品種)과 감수성(感受性) 벼 4품종(品種)및 피를 공시하여 oxyfluorfen을 처리 후 항산화제(抗酸化劑) 함량과 GST 활성(活性)으로 조사하였다. 1. 식물자체가 보유하는 vitamin C 함량은 내성(耐性) 벼품종(品種)들이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들이나 피보다 많았다. Vitamin E, carotenoid 및 glutathione(GSH, GSSG, total glutathione) 함량은 내성(耐性)과 감수성(感受性)식물들간에 양적인 차이를 볼 수 없었다. 2. Oxyfluorfen 처리에 따른 vitamin C 함량은 내성(耐性) 벼품종(品種) Hawon과 Baru에서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들과 피보다 감소가 적었다. Oxyfluorfen 처리후 vitamin E 및 GSH 함량은 내성(耐性) 벼품종(品種)들이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들이나 피보다 높았다. 그러나 carotenoid 함량은 내성(耐性) 벼품종(品種)들이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들보다 높았으나, 감수성(感受性)인 피와는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GSSG 함량은 내성(耐性)과 감수성종(感受性種)들간 차이가 없었다. 3. CDNB 또는 oxyfluorfen을 기질로 사용했을 때 식물 자체가 보유한 GST 활성(活性)은 내성(耐性) 벼품종(品種)들이 감수성(感受性) 벼품종(品種)들이나 피보다 높았다. 4. Oxyfluorfen 처리후 GST 활성(活性)은 벼에서 유도되지 않았으나, 오히려 피에서는 유도되었다. 또한, 벼의 GST 활성(活性)은 acifluorfen, bifenox 및 oxadiazon 처리에서도 유도되지 않았다.

  • PDF

감잎의 물 및 에탄올 추출물이 한국인 위암 세포주에 미치는 항암효과 (Anticancer Effect of Persimmon Leaf Extracts on Korean Gastric Cancer Cell)

  • 김호정;김미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6권2호
    • /
    • pp.133-146
    • /
    • 2003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in vitro and in vivo anticancer effects of persimmon leaf extracts on human gastric cancer cells. In vitro anticancer effects of persimmon leaf extracts (water extract at 8$0^{\circ}C$ for 3 hours, water extract at room temperature for 48 hours, 50% ethanol extract at 8$0^{\circ}C$ for 3 hours, 50% ethanol extract at room temperature for 48 hours, 75% ethanol extract at 8$0^{\circ}C$ for 3 hours and 75% ethanol extract at room temperature for 48 hours) on SNU16 (Korean gastric cancer cell) were investigated by MTT assay. Persimmon leaf extracts exhibited strong in vitro anticancer effects. We found that the higher the ethanol content of the solvent, the stronger the in vitro anticancer effects. Extraction yields, contents of flavonoids, vitamin A, vitamin C and vitamin E were measured. We found that the higher the ethanol content of the solvent, the higher the extraction yields and the contents of flavonoids, vitamin A and vitamin E. Among persimmon leaf extracts, 75% ethanol 8$0^{\circ}C$ extract showed the highest extraction yield, the highest contents of flavonoids, vitamin A and vitamin E and exhibitied the strongest in vitro anticancer effect on SNU16. Therefore, 75% ethanol 8$0^{\circ}C$ extract was chosen as the material to investigate in vivo anticancer effects. In vivo anticancer effect of persimmon leaf 75% ethanol 8$0^{\circ}C$ extract was investigated in SNU16 transplanted nude mice. Twenty five female nude mice (BALB/c) were blocked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body weight and raised for 4 weeks with diets containing 4% (w/w), 8% (w/w) persimmon leaf 75% ethanol 8$0^{\circ}C$ extract, with IT (intratumoral) injection treatment with 1.65 mg/100 $\mu$1, 3.3 mg/100 $\mu$1 concentration every other day 3 weeks after SNU16 was transplanted. Persimmon 75% ethanol 8$0^{\circ}C$ extract significantly lowered tumor weight and tumor volume in SNU16 transplanted nude mice. Tumor weight and tumor volume in all experimental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Helper T cell (CD4) levels of mice injected with 3.3 mg/100 $\mu$1 extract significantly increased. Cytotoxic T cell (CD8) levels in all experimental group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helper/cytotoxic T cell ratios in all experimental groups significantly decreased. Natural killer cell and MHC class II molecule in all experimental groups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nclusion, persimmon leaf 75% ethanol 8$0^{\circ}C$ extract exhibited strong in vitro and in vivo anticancer effects against SNU16 cells and it increased cytotoxic T cell, natural killer cell and MHC classII molecule in experimental groups in SNU16 transplanted nude m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