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tamin $B_l$

검색결과 333건 처리시간 0.03초

엽산과 비타민 $B_{12}$ 결핍에 의한 호모시스테인혈증 흰쥐의 조직내 비타민 지표간의 상관관계 분석 (A Critical Evaluation of the Correlation Between Biomarkers of Folate and Vitamin $B_{12}$ in Nutritional Homocysteinemia)

  • 민혜선;김미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2권5호
    • /
    • pp.423-433
    • /
    • 2009
  • 본 연구는 흰쥐를 대상으로 엽산결핍 또는 엽산결핍/비타민 $B_{12}$결핍/0.3% 호모시스틴 식이의 공급을 통해 각각 경미한 호모시스테인혈증과 중위의 호모시스테인혈증을 유도한 후, 혈장, 간 및 뇌 조직내 메티오닌 대사회로 biomarker와 엽산 농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영양성 호모시스테인혈증의 특성을 규명할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6 주령 Sprague-Dawley 숫컷 쥐에게 엽산이 충분한 식이 (FS), 엽산결핍식이 (FD), 또는 동일 식이에 호모시스틴을 첨가한 식이 (FSH and FDH), 엽산결핍/비타민 $B_{12}$ 결핍/호모시스틴 첨가 식이 (FDHCD)를 8주간 공급하였다. 1) FD와 FDH 식이군은 경미한 호모시스테인혈증을 (17.41 ${\pm}$ 1.94 nmol/mL) 나타냈으며, FDHCD 식이군은 중위의 호모시스테인혈증을 (44.13 ${\pm}$ 2.65 nmol/mL) 나타내어 엽산과 비타민 $B_{12}$결핍에 의한 영양성 호모시스테인혈증의 모델로 이용할 수 있었다. 2) FD, FDH, FDHCD 식이군의 간 (p < 0.001)과 뇌조직 (p < 0.01) 내 엽산 농도는 FS, FSH군 보다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FD, FDH, FDHCD 식이군의 간 및 뇌조직의 엽산농도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혈장 엽산 농도는 FDHCD 식이군 (126.5 ${\pm}$ 9.6 nmol/L)이 FD, FDH 식이군 (21.1 ${\pm}$ 1.4 nmol/L, 22.0 ${\pm}$ 2.2 nmol/L)(p < 0.001) 보다 약 6배 높았으며, 이는 비타민 $B_{12}$ 결핍에 의한"methyl-folate trap"으로 인해 엽산이 효율적으로 조직내 보유되지 못하고 혈류로 나와 소변을 통해 배설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3) FD와 FDH 식이군의 간조직의 SAH 농도는 각각 대조군 보다 44% 및 50%씩 증가되었고 (p < 0.001), 간 SAM 농도는 각각 대조군 보다 72%, 71% 저하되었으며 (p < 0.001), 그 결과 두 군 모두 SAM/SAH 비율이 대조군 보다 약 80% 저하되었다 (p < 0.001). 한편 FDHCD 식 이군의 간 SAH 농도를 대조군과 비교할 때 대조군 보다 107% 증가되었고 (p < 0.001), SAM 농도는 대조군 보다 81% 저하되었으며 (p < 0.001), 그 결과 SAM/SAH 비율이 대조군 보다 약 90% 저하되어 매우 낮은 SAM/SAH 비율을 나타냈다 (p < 0.001). 뇌조직 SAM 농도는 엽산결핍, 비타민 $B_{12}$결핍 및 호모시스틴 급여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고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을 보여 뇌조직내 SAM의 항상성을 나타냈으나, FDHCD 식이군의 뇌조직 SAH 농도는 대조군 보다 60% 증가되었으며 (p < 0.05), 그 결과 SAM/SAH 비율은 대조군 보다 약 28% 저하되었다 (p < 0.05). 따라서 중위의 호모시스테인혈증을 나타낸 실험군에서만 뇌조직의 SAH 농도가 증가되었다. 4) 영양결핍 (엽산 또는 비타민 $B_{12}$)에 의한 호모시스테인혈증의 특성을 조사할 목적으로 혈장, 간 및 뇌 조직내 메티오닌 대사회로 biomarker와 엽산 농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혈장 호모시스테인은 간 엽산과 음의 상관관계 (r = -0.641, p < 0.01)을 보였으나, 뇌 엽산 또는 혈장 엽산과는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이와 대조적으로 FDHCD 식이군을 제외시킨 나머지 네개의 실험군 자료만으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을 때 혈장 호모시스테인과 뇌 엽산 (r = -0.321, p < 0.05), 혈장 엽산 (r = -0.581, p < 0.01), 간 엽산 (r = -0.684, p < 0.01) 사이에 모두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혈장 호모시스테인과 간조직의 SAH 및 SAM 농도 사이의 상관관계는 FDHCD군을 제외시킨 나머지 네개의 실험군 자료만으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을 때 뇌조직 SAH 농도들 제외한 모든 상관계수가 전체실험군 자료로 분석한 경우보다 높았다. 따라서 엽산결핍/비타민 $B_{12}$결핍으로 인한 호모시스테인혈증 (FDHCD)에서는 혈장 엽산이 엽산결핍군 (FD, FDH)보다 높으면서 동시에 혈장 호모시스테인 농도도 높은 특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식이 중 엽산만 결핍된 경우와 엽산결핍과 비타민 $B_{12}$ 결핍을 동반할 경우"methyl-folate trap"으로인해 혈장 엽산과 호모시스테인 농도 패턴에 차이가 있었으며, 메티오닌 대사회로의 biomarker 사이의 상관관계와 혈장 엽산, 뇌 엽산 및 뇌 SAH와 호모시스테인 농도 사이의 상관관계가 차이가 있었다. 또한 엽산 결핍과 비타민 $B_{12}$ 결핍으로 인해 나타나는 뇌 SAH 농도의 증가는 메틸화를 저해시킴으로써 인지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relationship of sperm DNA integrity with serum vitamin levels (folate and cobalamin) and food consumption in infertile men

  • Sara Boushaba;Yassine Helis;Rachida Lebaal;Sabah Beldjebel;Ayache Benhamza;Chafia Ziti;Ghania Belaaloui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50권1호
    • /
    • pp.53-62
    • /
    • 2023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serum folate (vitamin B9), cobalamin (vitamin B12) levels and diet with semen parameters (semen standard parameters [SSP] and DNA fragmentation index [DFI]) in infertile men. Methods: Sperm samples were assessed for SSP and DFI (using the sperm chromatin dispersion test). Serum vitamin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with an immuno-electrochemiluminescence assay, and men completed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FQ). Results: Serum folate leve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perm progressive motility and DFI. A comparison of SSP between two groups of patients according to serum folate concentration (B9 <4.840 ng/mL and B9 ≥4.840 ng/mL)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perm concentration and sperm progressive motility in the latter group.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se groups regarding DFI. Interestingly, serum folate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a high DFI (using the cut-offs of 30% or 18%). FFQ data showed that the consumption of fruits and egg yolk correlated positively with sperm concentration and sperm motility, respectively. Conclusion: Serum folate levels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sperm concentration and sperm progressive motility. However, the positive association of serum folate with DFI raises the need for careful prescription of folate supplements.

Palm Vitamin E Prevents Osteoporosis in Orchidectomized Growing Male Rats

  • Ima-Nirwana, S.;Kiftiah, A.;Zainal, A.G.;Norazlina, M.;Gapor, M.T.;Khalid, B.A.K.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6권4호
    • /
    • pp.155-160
    • /
    • 2000
  • Testosterone deficiency increased bone resorption, giving rise to osteoporosis. Testosterone deficiency also increased lipid peroxidation and free radical formation. Free radicals have been shown to be toxic to osteoblasts as well as to activate osteoclast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giving an antioxidant, i.e. vitamin E-rich extract from palm oil on bone mineral density and calcium content was studied. Palm vitamin E prevented the loss in bone mineral density due to orchidectomy, seen in the whole femur, proximal amd midshaft regions, as well as L4 vertebra. Similar observations were seen in bone calcium content of the L5 vertebra. Giving palm olein also prevented the loss in bone mineral density in the femoral midshaft and L4 vertebra; and bone calcium content in the L5 vertebra. In conclusion, vitamin E-rich extract from palm oil was effective in preventing the loss in bone mineral density and calcium content of orchidectomized male rats. This action is probably due to its role as an antioxidant.

  • PDF

임신 중 모체와 신생아 제대 혈청의 엽산과 비타민 $B_{12}$ 농도 변화 (A Change of Serum Folate and Vitamin $B_{12}$ Concentrations of Maternal and Umbilical Cord Blood during Pregnancy)

  • 이금주;장혜미;안홍석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615-622
    • /
    • 2005
  • Folate and Vitamin $B_{12}$ are essential nutrients important during pregnanc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folate and vitamin $B_{12}$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pregnant women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umbilical cord serum folate and vitamin B12 levels and pregnancy outcomes. Dietary intakes of the pregnant women were estimated by 24 hour-recall (3 times). Serum folate and vitamin B12 levels in maternal blood and umbilical cord of 27 pregnant women at 1'st-, 2'nd-, 3'rd-trimester and delivery were measured by RIA (radioimmuno assay), respectively. Means of folate and vitamin $B_{12}$ intake were $283.53\pm58.01{\mu}g/day\;and\; 2.99\pm1.32mg/day$, respectively. Maternal mean serum folate levels of the trimester and delivery were $9.75\pm3.60ng/ml,\;10.46\pm4.63ng/ml,\;10.71\pm4.14ng/ml\;and\;15.05\pm7.04ng/ml$. Those maternal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umbilical cord blood $(23.99\pm9.42ng/ml)$. Serum vitamin $B_{12}$ levels of maternal trimester and delivery were $479.07\pm137.56 pg/ml,\;310.96\pm137.56pg/ml,\;308.22\pm74.65pg/ml,\;and\;295.67\pm93.36pg/ml$, which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umbilical cord blood $(500.13\pm185.60ng/ml)$. This finding indicates that the uptake of folate and vitamin $B_{12}$ in the fetus may be due to an active placental transport mechanism. Maternal serum level correlated positively with those of umbilical cord blood, showing that folate and vitamin $B_{12}$ concentration of umbilical cord blood might be affected by maternal statu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erum folate levels in maternal-umbilical cord blood and the pregnancy outcomes. However, maternal vitamin $B_{12}$ level at l'st trimester w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gestational age except for birth weight and weight gain.

유색미 색도 및 영양특성의 품종간 변이 (Varietal Variation of Pigmentation and Some Nutritive Characteristics in Colored Rices)

  • 고희종;원용재;차건완;허문회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600-607
    • /
    • 1996
  • 벼 에서 유색미의 이용성을 검토하고자 갈색, 적색, 자색, 흑색 등의 현미색을 가진 품종들에서 몇가지 색소관련 특성 및 영양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색미의 색소는 종피~과피에 침적되어 있었으며, bulk로 정백시에는 백미에도 그 일부가 잔존하였다. 2. 유색미의 현미 1 g당anthocyanin함량은 갈색 및 적갈색미 1.63~17.62 $\mu\textrm{g}$, 적색미 3.56~11.10 $\mu\textrm{g}$, 자색미 28.11~401.22 $\mu\textrm{g}$, 흑색미 665.98 $\mu\textrm{g}$ 이 었다. 3. 분석된 유색미 중 DZ 78에서 단백질함량이 가장 높았다. 아미노산 조성에서는 보통미와 유색미간, 배아를 제거한 현미와 백미간에 특별한 경향이 없이 대체로 비슷하였다. 4. 유색미의 vitamin 함량을 화청벼와 비교하여 볼 때 $B_1$는 L $K_1$B-4-12-1-1과 DK 1에서 다소 증가했다. $B_2$는 L $K_1$B-2-1-1과 L $K_1$B-4-12-1-1의 배아를 제거한 현미에서 월등히 증가하였다. 5. 조사된 양이온 $K^{+}$, $Mg^{2+}$, $Ca^{2+}$, F $e^{2+}$의 함량은 대부분 유색미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여 색소침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엽채류의 환경제어 모델 연구 I. 야온 및 양액내 $\textrm{NO}_3\;^-$: $\textrm{NH}_4\;^+$비가 백경채 및 탑채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Modelling of Controlled Environment in Leaf Vegetable Crops)

  • 박권우;신영주;이용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1-27
    • /
    • 1992
  • 야온과 시용질소의 형태를 달리한 양액이 탑채와 백경채의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한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탑채, 백경채 모두 야온 15$^{\circ}C$ 에서 생육이 왕성하여 생체중이 무거웠으나 건물율과 vitamin C의 함량은 온도가 낮아질수록 증가하였다. 2. 양액의 N형태 비율에 따른 백경채의 생육은 NO$_3$$^{-}$ : NH$_4$$^{+}$ 의 비가 0 : 8에서만 극히 생육이 저조하고, 다른 처리구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3. 양액내 NO$_3$$^{-}$-N의 함량이 높을수록 vitamin C의 함량이 많고, NH$_4$$^{+}$-N의 함량이 높을 때는 건물율이 높았다.

  • PDF

과량의 비타민 E 및 Cholesterol 첨가식이가 흰쥐의 혈청과 간의 비타민 E 및 Cholesterol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cess Vitamin E and Cholesterol Supplements on Levels of Vitamin E and Cholesterol in Rat Serum and Liver)

  • 황금단;김형미;김정미;이양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8권2호
    • /
    • pp.147-154
    • /
    • 1985
  • 본 실험을 통해 뚜렷한 경향을 보여주는 몇가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식이vitamin E의 과량 첨가는 쥐의 혈청에 반영되어 나타났으며, 식이중의 cholesterol은 이 증가 효과를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식이 cholesterol첨가로 인해 쥐의 혈청 cholesterol농도는 영향을 받지 않은 반면, 간의 cholesterol농도는 증가되었다. 과량 vitamin E와 cholesterol 두가지를 식이에 첨가하였을 경우 (IV-ECh IV'-ECh) 간의 cholesterol농도는 식이에 cholesterol만을 첨가한 경우 (III-Ch, III'-Ch)보다 더욱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vitamin E만을 첨가한 II-E와 II'-E군에서는 간의 cholesterol농도를 낮추어주는 경향을 보였다. 간의 vitamin A 농도는 쥐가 성장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각 실험군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B군의 경우 과량 vitamin E 식이는 간 vitamin A농도를 감소시키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Vitamin E, vitamin A, cholesterol 및 다른 여러 요소들간의 복잡한 상호관계를 알아내기 위해, age가 다른 그리고 여러 species의 동물을 이용한, 장기간의 단계적이고도 체계적인 많은 연구가 요구되어진다.

  • PDF

고밀도 배양에 있어 먹이종류와 공급량 및 vitamin B12 첨가에 따른 담수산 rotifer (Brachionus calyciflorus)의 성장 (Effects of Food and Vitamin B12 on the Growth of a Freshwater Rotifer (Brachionus calyciflorus) in the High Density Culture)

  • 이균우;박흠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06-613
    • /
    • 200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food type (condensed freshwater Chlorella, dried Chlorella, dried Spirulina, dried Schizochytrium, baker's yeast and $\omega-yeast$) and amount, and supplementation of vitamin $B_{12}$ on the growth of freshwater rotifer (Brachionus calyciflorus) in high density culture. Growth of rotifers fed condensed freshwater Chlorella was the highest and its density ranged $7.65-8.14{\times}10^3\;inds./mL.$ The primary lipid acids of rotifers fed condensed freshwater Chloyella were linoleic and linolenic, and their amount ($\%$ of total fatty acids) were $48.8\%\;and\;26.8\%,$ respectively. This suggests that condensed freshwater Chlorella would be an effective diet for high quality and quantity rotifers, which in turn serve as live food for freshwater fish larvae. Growth rate of rotifers with Chlorella supplementation increased as amount of supplementation increased up to 1.5 and 2.5 mg at 28 and $32^{\circ}C$, respectively. However, undissolved ammonia toxicity and packing volume of Chlorella in culture medium, reached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stable and effective cultivation of rotifers when amount of condensed freshwater Chlorella was 1.5 mg in dry weight per 1,000 rotifers at $28^{\circ}C\;and\;32^{\circ}C$ Growth of rotifers in condensed freshwater Chlorella with vitamin $B_{12}$ supplement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rotifers without supplementation.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among the different concentrations of vitamin $B_{12}.$ Therefore, vitamin $B_{12}$ could improve the growth of rotifers (B. calyciflorus).

한국인 상용 수산물 식단의 비타민 B9과 B12 함량 (Contents of vitamin B9 (folate) and B12 (cobalamins) in commonly consumed seafood menus in Korea)

  • 박은영;정보미;천지연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4권2호
    • /
    • pp.211-223
    • /
    • 2021
  • 본 연구는 한국인이 주로 상용하는 수산물을 이용한 다소비 메뉴 39종을 선정하고, 이를 기준 레시피로 조리한 후 이들에 대한 비타민 B9 (엽산)과 B12 (코발라민류) 함량을 분석하였다. 국가식품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데이터의 신뢰도 확보를 위해 비타민 B9(trienzyme-L. casei법)과 B12 (immunoaffinity-HPLC/PDA) 분석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으며 분석품질관리를 수행하였다. 각 성분 분석법의 정확성, 정밀성, 특이성, 상관성, 검출한계 및 정량 한계를 분석한결과 모두 AOAC 가이드라인 수용 기준에 충족되는 결과를 얻었으며, 분석품질관리도표를 전 분석 기간 동안 작성하여 확보된 분석 데이터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상용 수산물 메뉴의 비타민 B9과 B12 함량을 분석한 결과 각각 1.83-523.08 ㎍/100 g과 0.11-38.30 ㎍/100 g의 범위로 사용된 재료와 조리법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다. 비타민 B9 함량은 구이류의 김구이 (523.08 ㎍/100 g)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볶음류에서 건새우볶음 (128.34 ㎍/100 g)과 잔멸치볶음 (121.53 ㎍/100 g)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비타민 B12함량은 찜·조림류의 꼬막찜 (38.30 ㎍/100 g)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구이류의 김구이 (29.79 ㎍/100 g)와 볶음류의 멸치마늘종볶음 (18.99 ㎍/100 g)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유사 재료의 조리법에 따른 비타민 B9과 B12 함량을 비교하면 비타민 B9의 경우 물 사용량이 많은 국·탕·찌개류는 다른 시료군 (볶음, 찜, 조림, 구이, 튀김 및 무침)에 비하여 비교적 낮은 함량을 나타내어 수산물과 다양한 채소류를 함께 볶는 볶음 메뉴가 비타민 B9 섭취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비타민 B12의 경우 식물성 식품에는 발견되지 않고 주로 동물성 식품에만 존재하는데 본 연구 결과 김 및 미역과 같은 해조류 메뉴는 채식주의자들에게 비타민 B12의 좋은 급원메뉴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는 분석법 검증 및 품질관리를 통하여 분석 신뢰도를 확보하였으며 이와 함께 제공된 한국 상용수산물 메뉴의 비타민 B9과 B12 함량데이터는 한국인의 보건영양 정책 수립을 위한 국가식품영양성분 데이터베이스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전북지방(全北地方) 국민학교(國民學校) 학생(學生)의 도시락 영양실태조사(營養實態調査) (Nutritional Survey on the Children Lunch-Box of Primary School in Junbuk Province)

  • 최선남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20
    • /
    • 1982
  • (1) 남녀아(男女兒) 모두 전영양소(全營養素)에 있어서 섭취량(攝取量)이 권장량(勸?量) 보다 부족(不足)했으며 특(特)히 calcium과 vitamin $B_2$가 제일(第一)낮았다(2) 단백질총섭취양중(蛋白質總攝取量中) 동물성단백질(動物性蛋白質)의 비률(比率)은 전체적(全體的)으로 33.38%였다. (3) 열량섭취양(熱豊攝取量)의 구성비(構成比)는 당질(糖質) 지방(脂肪) 단백질(蛋白質)에 있어서 남아(男兒)는 79 : 11 : 10이었고 여아(女兒)는 77 : 12 : 10이었다. (4) 도시학의 주식(主食)은 남아(男兒)에 있어서 열량(熱量), total-protein, iron, vitamin $B_l$, vitamin $B_2$, niacin 등(等)이 도시락 전량(全量)에 비(比)해 83.92%, 65.93%, 37.81%, 31.72%, 56.00%, 36.84%, 53.13%였고, 여아(女兒)에 있어서는 81.19%, 51.91%, 27.73%, 36.65%, 39.96%, 36.84%, 51.00%를 나타냈다. (5) 체위발달(體位發達)에 있어서는 남여아(男女兒) 모두 Rohrer index가 표준(標準)에 미달(未達)했으며, Kaup index, Vervaeck index의 미달(未達)이 영양(營養)과 체위발달(體位發達)에 상호관계(相互關係)가 있음을 나타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