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tamin $B_6$ DRI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1초

비타민 B6 필요량: 영양상태 판정지표 및 영향요인 (Vitamin B6 Requirement: Indicators and Factors Affecting)

  • 조윤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3권3호
    • /
    • pp.315-32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the selection of indicators for estimating and factors affecting the requirement of vitamin B6. There has been a need to establish the human requirements of vitamin $B_6$ since vitamin $B_6$ is thought to be involved in more than one hundred biochemical reactions as a coenzyme in the metabolism of amino acids, glucose, and lipid, and the synthesis of neurotransmitters. For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this study included from early findings of the sixties to studies of 2009. This study suggests that plasma pyridoxal 5' phosphate (PLP) is the best single indicator of vitamin $B_6$ status for the healthy but not for the non-healthy. Erythrocyt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nd alanine aminotransferase activation by PLP as an indirect measure and urinary 4-pyridoxic acid excretion as a direct measure are useful as supporting indicators. Bioavailability, nutrient interaction, physiological need, and chronic diseases may increase the requirement for vitamin $B_6$. However, these effects can not be quantified due to insufficient evidences.

다양한 급원을 통한 우리나라 사람들의 비타민 및 무기질 노출량 평가 (Exposure Assessment of Vitamins and Minerals from Various Sources of Koreans)

  • 김선효;이선희;황유진;김화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9권6호
    • /
    • pp.539-548
    • /
    • 2006
  • In recent years a concern of excessive intakes of vitamins and minerals from various sources is increasing, since there has been a marked increase in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vitamin and mineral supplements and fortified fo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maximum exposure of vitamins and minerals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diet, fortified foods, and health functional foods among Koreans. As a result, the highest exposure group of most vitamins and minerals from diet was adults (30 - 49 years of age) according to 2001 Korean National Nutrition and Health Survey Report. Maximum dietary intakes of vitamin A, $B_1,\;B_2$, C, nicotinamide, calcium, phosphorus and iron were 0.5 - 7 times of the RDA for Koreans, 7th ed. Maximum intakes of vitamins and minerals from fortified foods by adults (20 - 59 years of age) were 8 - 760% of the Korean RDA. In addition, maximum exposure of vitamins and minerals from vitamin mineral health functional foods by middle aged people was 35 - 140% of the upper limits (UL: DRI for Koreans). As a consequence, maximum combined intakes of vitamin $B_6$, vitamin C, calcium, iron and zinc from the above sources including diet, fortified foods and vitamin mineral health functional foods were greater than the UL. These results would be applied for determining the safe upper limits of vitamin and mineral of health functional foods.

Assessment of dietary quality and nutrient intake of obese children in Changwon area

  • Ji-Sook Park;Ha-Neul Choi;Jae-Young Kim;Sang-Hyuk Ma;Jung-Eun Yim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6호
    • /
    • pp.630-641
    • /
    • 2022
  • Purpose: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intake of nutrients and food groups and analyzed the nutrition quotient of obese children in South Korea. The hypothesis was that dietary quality and nutrient intake are related to the body mass index (BMI) of obese children. Methods: The participants included 48 children (20 boys and 28 girls). Based on the guidelines for the age-for-body mass index provided by the Korean National Growth Chart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overweight, BMI ≥ 85th percentile; obese, BMI ≥ 95th percentile; severely obese, BMI ≥ 99th percentile. Results: The energy distribution showed that the carbohydrate rati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verweight group (p < 0.01), whereas the fat rati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bese and severely obese groups (p < 0.05). Thus, in the overweight and obese groups, the percent body fa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carbohydrate ratio (p < 0.05) but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fat ratio (p < 0.05). The Dietary Reference Intakes (DRI) data revealed that the intake levels of protein, vitamin B1, vitamin B12, and sodium were higher in all groups. Intakes of fiber, calcium, potassium, and magnesium were insufficient in all groups, and the DRI percent for protei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bese and severely obese groups than in the overweight group.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tained in food group patterns or Nutrition Quotient (NQ) scores among the 3 group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s by food record and NQ,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tained in the dietary quality of obese children. Conclusion: We conclude that a higher intake of fat enhances weight gain. Based on the study results, we propose that the guidelines should consider the energy distribution of carbohydrate and fat intake to prevent and control obesity among Korean children.

대구지역 유아들의 식사 및 식생활 형태 조사 - 비만도에 따른 영양소섭취 수준 및 식태도 조사 - (Study of Food Intakes and Eating Patterns among Preschool Children in Daegu Area - Nutrient Intakes and Dietary Habits Associated with Body Weight Status -)

  • 서주영;이인숙;최봉순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710-721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ody weight status (by WLI: Weight-Length Index) and dietary habits and to assess the nutritional status among preschool children in the Daegu area. Dietary habits including dietary attitude and behavior were investigated using questionnaire answered by mothers of 680 subjects aged 4 to 6 years old (508 completed). Also, dietary intake survey using 24-hour recall method was performed by mothers of the children. According to WLI, the underweight, normal, overweight and obesity level of subjects were 9.1, 62.0, 19.5, and 9.4%, respectively. As well, the number of girls was higher than boys in underweight, overweight, and obese group.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on overeating, eating fast, and preferring eating-out by body weight status, and overweight group got higher score than underweight or normal-weight group (p < 0.01, p < 0.001). As well,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on not moving around during mealtime by body weight status, and underweight group have lower score than obese group (p < 0.001). From the 24-hour recall survey, it was found that intakes of all the nutrients were higher than the %KDRI except energy, calcium and folate. The energy intake of underweight group of 4~5-year old (1338.2 kcal) and 6-year old was lower than Koreans %DRI for those age group. Folate and dietary fiber intakes of obese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underweight (p < 0.01, p < 0.05). For 4~5-year old, vitamin $B_6$ intakes of obes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obese group (p < 0.05). For 6-year old, obese group showed that intake of vitamin $B_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three groups, and intake of vitamin $B_1$ of overweigh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 three group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trient intake level and dietary habits of preschool children by body weight status in Daegu area. Therefore, parents (family) and caregivers should be aware of the prevalence of obesity and nutritional status of preschool children, and start nutrition education as soon as possible.

열량제한식과 체질식에 따른 비만 여성의 체중감량 효과 (Comparison of the Effectiveness of Dietary Intervention between Calorie Restriction Diet and Food Selective Method according to Yin and Yang Constitution in Obese Woman)

  • 심선아;허봉수;홍경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02-312
    • /
    • 2015
  • 본 연구는 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1일 300~400 kcal의 섭취 열량을 제한하는 프로그램(대조군)과, 열량의 제한은 없이 음양 체질에 따라 식품의 종류를 선택하는 프로그램(실험군)을 8주간 실시하여 체중 감량 효과를 비교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체중감량 프로그램 참여 후 유의적인 체중 변화가 있었으며, 대조군은 평균 1.1 kg, 실험군은 2.8 kg의 체중이 감량되었고, 실험군 내에서는 음체질이 3.3 kg, 양체질이 2.3 kg 감량을 보였다. 프로그램 참여 후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체지방,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엉덩이둘레가, 실험군은 체지방, 체질량지수, 가슴둘레, 허리둘레, 엉덩이둘레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감소폭이 더 큰 경향을 보였다. 2. 대조군의 경우, 1일 섭취 열량이 프로그램 실시 전 2,061.0 kcal에서 실시 후 1,588.4 kcal로 약 17%가 감소하였다. 반면, 실험군은 프로그램 실시 전 1,679.6 kcal 에서 체중감량 프로그램 실시 후 1,810.6 kcal로 약 7% 증가하는 상반된 결과가 나타났다. 영양소 섭취 상태를 살펴보면 대조군은 체중 감량 프로그램 실시 후 지방과 단백질, 당질, 나트륨, 콜레스테롤, 나이아신, 비타민 $B_1$, 아연, 인, 칼슘의 섭취가 각각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실험군은 탄수화물과 식이섬유, 칼슘, 인, 철분, 비타민 A, 비타민 $B_2$, 비타민 C의 섭취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프로그램 실시 전 음양 식품의 섭취빈도에 차이가 없었으나,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군에서 양체질인은 음성식품을, 음체질인은 양성식품을 섭취하는 빈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4. 프로그램 실시 후 대조군은 헤모글로빈 수치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실험군은 헤모글로빈 수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혈당, 혈중 총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는 체질식이를 섭취한 경우, 체중감소가 더 효과적으로 나타나고, 영양소 섭취상태도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앞으로 식습관과 질병의 연관성 및 질병에 따른 체질식품의 효과 유무에 대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영양교육이 알코올중독자의 영양지식, 식습관 및 영양섭취상태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nutrition-related knowledge, dietary habits, and nutrient intakes of alcoholic patients)

  • 김안나;임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7권4호
    • /
    • pp.277-286
    • /
    • 2014
  • 본 연구는 알코올중독자의 영양지식과 식습관 및 영양섭취상태의 특성을 알아보고, 영양교육이 이들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알코올중독으로 병원에 입원한 37명 환자를 연구대상자로 하였으며, 이들의 영양지식과 식습관은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고, 영양교육은 80분짜리 5차시 분량의 프로그램을 제작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대상자는 40대 중반의 남성이었으며, 정상 체위를 지녔고, 병원에 입원하기 전 음주 빈도가 높고, 음주량이 많으며, 소주를 선호하는 음주습관을 지니고 있었다. 이들은 저 학력, 중 하류층 직업, 독거 비율이 높은 가족형태 등 사회경제적 수준이 열악한 편이었고, 자신의 건상상태에 대한 인식은 낮은 경향이었으며, 간 질환을 비롯한 질병 보유율이 높아, 삶의 질이 취약한 편이었다. 영양교육 실시 전 이들의 영양지식은 1점 만점에 0.52점으로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고, 식습관은 3점 만점에 1.70점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경향이었다. 영양섭취상태도 에너지와 식이섬유를 비롯해 본 연구에서 조사한 8종의 비타민 중에 비타민 C, 티아민, 리보플라빈 및 엽산이 영양섭취기준을 충족하지 못했고, 6종의 무기질 중에서는 칼슘과 칼륨은 영양섭취기준에 미치지 못한 반면에 나트륨 섭취는 과다한 문제점을 보였다. 그러나 영양교육을 받은 후 본 연구대상자의 영양지식이 0.81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고, 식습관은 2.13점으로 유의성 있게 개선되었으며, 영양섭취상태도 다음과 같이 유의적으로 향상되었다. 즉 에너지, 탄수화물, 식이섬유, 비타민 E를 제외한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B_6$, 티아민, 리보플라빈, 엽산 및 니아신, 칼슘, 인, 칼륨, 철분, 아연 모두 섭취가 증가했다. 반면에 나트륨 섭취는 감소했으나 여전히 목표섭취량의 256%에 달하였지만, 감소했으며, 이러한 결과 Na/K 섭취 비율이 저하되었다. 이와 같은 본 연구결과는, 비록 연구대상자가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G병원에 입원 중인 소수의 성인남자 환자였다는 제한점은 있으나, 알코올중독 입원환자의 경우 영양지식 정도가 낮고, 식습관이 좋지 않으며, 영양섭취상태가 불량한 편이지만 이들에게 비교적 단기간의 영양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들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해 주었다. 그러므로 알코올중독전문병원 등 알코올중독자의 재활을 돕는 현장에서 영양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영양교육을 적극 실시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일부 지역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건강관련 형태 및 영양소 섭취량에 관한 연구 (Health-Related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 of Police Officers Based on the Level of Job Stress)

  • 주혜은;손정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18-525
    • /
    • 2010
  • 현대사회의 다양한 직업 중에서 경찰공무원의 업무는 힘들고 위험한 직업으로 각종 정신적, 신체적, 환경적 스트레스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다.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능력은 평상시 건강 행태 및 영양소 섭취 정도에 따라 사회심리적인 스트레스 상황에 유효하게 대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북지역 경찰공무원 166명을 대상으로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식생활 및 영양섭취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경찰공무원은 주된 직무스트레스 요인으로는 '직무요구', '조직체계' 및 '직무자율성 결여'이었으며, 95% 이상의 대상자들이 본인이 건강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전체의 86.1% 정도가 음주를 하고, 42.7% 정도 흡연을 하며, 89.6%가 운동을 지속적으로 하여 한국 성인의 평균과 비교하여 비교적 건강행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음주, 흡연, 운동 빈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식습관 조사 결과 43% 정도가 아침식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스트레스가 적은 집단이 높은 집단에 비해 아침 결식 비율도 낮고(p<0.01), 식사 속도도 양호하며(p<0.05), 간식습관도 양호한 것(p<0.001)으로 조사되었다. 직무스트레스에 따른 맛의 기호도는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이 단 음식을 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직무스트레스 정도에 따라 영양소 섭취정도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에서 칼슘 및 비타민 $B_2$ 섭취량이 권장섭취량의 75% 미만으로 매우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경찰공무원의 건강관련 행태 분석 결과 경찰공무원은 직업특성 상 일반성인과 비교하여 건강에 대한 인식 및 흡연, 음주, 운동 등의 생활습관은 비교적 양호한 편으로 나타났으나, 부족한 영양소 섭취, 잦은 아침결식과 간식섭취, 빠른 식사 속도 등 식습관 및 영양 섭취 부분에서는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건강유지와 만성질환의 발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경찰공무원 스스로 올바른 식습관을 인식하고 실천을 유도하기 위한 식생활 개선 교육프로그램이 직장 내에서 주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으며, 또한 직장 차원에서의 직무스트레스 관리도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