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impairments

검색결과 65건 처리시간 0.028초

시각장애인의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콘텐츠개발 (Development of Contents to Improve the Web Accessibility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 송승훈;박두순;홍민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45-53
    • /
    • 2008
  • 시각장애인은 웹 접근성이 매우 취약하기 때문에 지식정보화 사회에서는 소외계층일 수밖에 없다. 소외 계층인 시각장애인들에게도 지식과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도록 시각장애인의 웹 접근성을 고려한 콘텐츠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시각장애인의 웹 접근성 향상을 위한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특히 시각장애인의 웹 접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존의 시각장애인을 위한 웹 사이트들을 분석하여, 간결한 설계, 계층적 구조 등을 고려하여 설계하였으며, 포커스, 단축키, 대체텍스트 등 시각장애인들에게 반드시 필요한 기능들을 PHP, CSS, 자바스크립트 등을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또한, 본 콘텐츠를 시각장애인에게 적용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콘텐츠가 효율적임을 보였다.

  • PDF

Helping People with Visual Disability Using AI

  • Naif Al Otaibi;Tariq S Almurayziq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4권1호
    • /
    • pp.205-208
    • /
    • 2024
  •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has evolved rapidly in recent years and is used in everything from banking to email management to surgery, but without the help of the visible, most of the fun features of the Internet include visual impairment. It benefits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ays to help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using AI technology. A visually impaired request is made for the visually impaired. For example, when a message arrives that the program will notify you by voice (reads the sender's name, read the message, and replies to it if necessary), this is a special program installed on your mobile phone. This program uses a customized algorithm developed in Python to convert written text to voice, read text, and convert voice to written text on a message when a visually impaired person wants to respond. Then it sends the response in the form of a text message. Therefore, the research should lead to programs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This program makes mobile phones easier and more comfortable to use and makes the daily life easier for visual impairments.

시각장애 초등학생의 용해 개념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Visually Impaired Elementary Students' Conception of Dissolution)

  • 김학범;백상수;차정호
    • 대한화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507-514
    • /
    • 2013
  • 이 연구에서는 시각장애를 가진 초등학생의 용해 개념 특성을 조사하였다. 서울시 소재 시각장애 초등학교 5학년 학생 4명(3명은 전맹, 1명은 저시력)을 대상으로 용해 현상, 용액의 균일성, 용해 시 질량의 보존, 그리고 용해 시 부피의 변화에 대하여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모든 인터뷰 상황은 녹화되었고 그 자료를 전사한 뒤 분석하였다.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시각장애 학생들은 용해 현상, 용해의 균일성, 용해 시 질량의 보존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었지만, 용해 시 부피변화에 대해서는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였다. 전반적으로는 같은 학년의 일반 학생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지만, 용해의 균일성에 대해서는 오히려 더 바르게 알고 있었다. 그러나 이들의 설명 수준은 현상적 경험에 기초한 피상적 수준에 불과했다. 일부 시각장애 학생은 입자 수준의 설명을 시도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주거 공간 계획을 위한 시각장애인의 행위에 따른 동작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sidential Facility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Behavior and Motion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 김민경;금요찬;박용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2호
    • /
    • pp.99-107
    • /
    • 2006
  •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are difficult to go to education facility by themselves, because of their limited visual ability, orientation, and usability field, so they prefer dormitories. Those dormitories playa role in living space, education, communication and culture function. Therefore those facilities planned more user centered design, since they are influenced by user actability and their values. User centered designs that match between the user and space are understood as well as their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Especially for understanding their activity, observation is conducted about their behavior in dormitori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uggested to be a basic source that planning about residential facility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through interview and observation investigation by analysis that they resident in space motion and performance.

재가 방문구강관리 중재에 의한 시청각장애 노인의 구강건강상태 변화 (Changes in the oral health status of older adults with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s through home oral health care intervention: a case report)

  • 윤해수;정민숙;장종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3-23
    • /
    • 2023
  • Objectives: This case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changes in the oral health status of older individuals with hearing and visual impairments through home oral health care based on community car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two older adults with hearing and visual impairments. Through home visits, an oral health intervention program, including oral hygiene care and training on strengthening of oral function,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5 months. Dental hygienists performed special oral health interventions such as dental plaque control through individual tooth brushing and interdental care, training on strengthening of intraoral and extraoral muscle function, and denture care for the individuals with visual-hearing impairments. Results: The overall periodontal health status and oral muscle function improved in older adults with hearing and visual impairments. In the case of the visually impaired individuals, changes in the oral health status were oral mucosal moisture (30.1 and 37.2 point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respectively), salivary secretion (3.5 and 4.0 cm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respectively), and maximum tongue pressure (20.5 and 26.2 kPa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respectively). Changes in the oral health status of the hearing impaired individuals increased from 28.3 points before the intervention to 38.4 points after the intervention, and the maximum tongue pressure increased from 1.85 kPa to 23.5 kPa after the intervention. Conclusions: Oral health intervention activities contributed to improving the periodontal health and oral function of older adults with hearing and visual impairments. To improve their overall and oral health, it is necessary to prepare measures to activate customized oral health intervention programs.

복합문화예술센터 장애인 정보서비스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ormation Servic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Culture and Art Complex)

  • 곽철완;김호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241-261
    • /
    • 2012
  • 본 연구는 최근에 복합문화예술센터가 증가하면서 방문자에 대한 정보서비스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는 상황에서 장애인을 위한 정보서비스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지체, 청각, 시각 장애인을 대상으로 집단면담법을 이용하여 복합문화예술센터에서 제공되어야 할 장애인 정보서비스에 대해 파악하였다. 조사 결과는 홈페이지 정보, 안내 데스크, 오리엔테이션 장소, 정보검색 장소로 구분하여 지체, 시각, 청각 장애인을 위한 서비스를 제시하였다. 안내 데스크에서는 시각 및 청각 장애인을 위한 적극적인 서비스와 지체장애인을 위한 편의시설이 논의되었다. 오리엔테이션 공간에서는 시각 및 청각 장애인을 위한 기기 설치와 지체 장애인을 위한 좌석 위치를 제시하였다. 제언으로 복합문화예술센터에서 장애유형별 정보 탐색 행태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실시간 햅틱 렌더링 기술을 통한 시각 장애인을 위한 원격현장감(Telepresence) 로봇 기술 (Telepresence Robotic Technology for Individuals with Visual Impairments Through Real-time Haptic Rendering)

  • 박정혁;아야나 하워드
    • 로봇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97-205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a robotic system that provides telepresence to the visually impaired by combining real-time haptic rendering with multi-modal interaction. A virtual-proxy based haptic rendering process using a RGB-D sensor is developed and integrated into a unified framework for control and feedback for the telepresence robot. We discuss the challenging problem of presenting environmental perception to a user with visual impairments and our solution for multi-modal interaction. We also explain the experimental design and protocols, and results with human subjects with and without visual impairments. Discussion on the performance of our system and our future goals are presented toward the end.

시각 및 청각장애 대학생의 오픈코스웨어(OCW) 사용성 평가 - KOCW의 접근성을 중심으로 - (Usability Testing of OpenCourseWare(OCW) by College Students with Visual and Hearing Impairments - Focused on the Accessibility of KOCW -)

  • 손지영;염명숙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27-132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국내 OCW 강좌가 시각 및 청각장애 대학생들이 인식하기에 접근성 측면에서 어떠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에 시각장애 6명(전맹 3, 저시력 3), 청각장애 4명(농 2명, 난청 2명) 총 10명의 시각, 청각장애를 가진 대학생들이 국내 KOCW 사이트에서 제공하고 있는 두 가지 유형의 강좌를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 시각, 청각장애 학생들이 인식하게 두 유형의 강좌 모두 보통 이하의 낮은 수준의 사용성과 접근성 수준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서 시각, 청각장애인을 위해 OCW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점을 제안하였다.

시각장애인용 음성합성기에 대한 장/단기 사용성 평가 (A Short-term and Long-term Usability Testing of the Speech Synthesizer for the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 이희연;홍기형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53-60
    • /
    • 2015
  • 본 논문은 시각장애인용 보조공학기기인 스크린리더용 음성합성기의 장기 및 단기 사용성 평가에 대한 것이다. 총 20명의 시각장애인이 단기 사용성 평가에 참가하였고, 그 중 10명이 장기 사용성 평가에도 참여하였다. Mean Opinion Score(MOS)를 통해 합성음 음색의 자연성과 명료성 등을 살펴보았고, 순위조사를 통해 음색의 선호도를 조사하였으며, 자유 피드백을 통하여 사용자의 만족도와 기타 요구사항 등을 평가하였다. 또한 장기 사용성 평가를 통해 합성음의 장시간 청취 시 자연성, 명료성, 선호도, 귀의 피로도 등을 조사하여 단기 사용성 평가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 PDF

Exploring Low-Cost Grid-based Tactile Instruments for Understanding and Reproducing Shapes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 Yeojin Kim;Jiyeon Han;Uran Oh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2권3호
    • /
    • pp.127-140
    • /
    • 2023
  • While tools exist for blind people to understand shapes, these are not commercially available nor affordable and often require the assistance of sighted people. Thus, we designed two low-cost grid-based tactile tools using toggle buttons (TogGrid) and cotton balls (CottonGrid). To assess the potential of these as an educational tool, we conducted a user study with 12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s where they were asked to understand and reproduce shapes under different conditions. Although CottonGrid is relatively cheap and easy to make, findings show that TogGrid was perceived to be better in terms of perceived easiness, task completion time, accuracy, and preference in general. Particularly, participants valued TogGrid for enabling them to identify and correct errors. Based on the findings, we provide implications for utilizing toggle buttons for designing educational instruments for learning and expressing shapes for blind peo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