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rtual testing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23초

사이버전사의 훈련을 위한 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Research on System Architecture and Simulation Environment for Cyber Warrior Training)

  • 안명길;김용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6권2호
    • /
    • pp.533-540
    • /
    • 2016
  • 급증하는 사이버 위협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사이버전사의 훈련, 기술검증 지원, 전투실험 임무는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실 운용 망에서 이를 수행하는 것은 많은 제약이 따르므로, 평상시 끊임없이 수행하기 위한 환경 및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전사의 훈련 및 기술검증 지원을 위해 실(live)/가상(virtual) M&S 기반의 시스템 및 기능을 제안하고, 전투실험을 위해 구성(constructive) M&S 기반의 시스템 및 기능을 제안한다. 실제와 유사한 환경에서 다양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훈련을 수행함으로써 사이버전에 대한 사이버전사의 역량을 강화하고, 대규모 전장 환경의 사이버 위협에 대한 피해 영향을 사전에 분석함으로서 대응책 마련에 유용하게 활용가능하다.

VPN(Virtual Private Network) SW의 시험사례분석 (VPN (Virtual Private Network) SW's examination example analysis)

  • 김경묵;양해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3012-3020
    • /
    • 2010
  • VPN은 원격지에서의 접속에 안전성을 부여할 수 있어 원격지에서의 이동 사용자 지원이 필수적으로 요청되는 오늘날 기업의 기본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 VPN이 자리매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VPN 소프트웨어 분야의 기반 기술을 조사하고 VPN 소프트웨어 시장 동향 및 표준을 조사하며 VPN 소프트웨어의 평가모델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VPN 소프트웨어의 특성을 조사/분석하고 시장 동향 및 표준을 조사/분석하며 이를 기반으로 VPN 소프트웨어에 평가항목의 도출과 평가모델을 개발한다.

에이전트에 의한 온라인게임 서버 테스트 자동화 (Automated Testing of Online Game Servers by Agents)

  • 이헌주;정용우;임범현;심광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5B호
    • /
    • pp.405-412
    • /
    • 2006
  • 게임 분야에서 온라인 게임은 높은 게임성과 안정적인 수익 모델로 인하여 많은 수가 개발되어 왔다. 특히, MMORPG는 게임의 특성상 많은 수의 사용자가 게임 서버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게임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따라서 게임 서버의 안정성은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므로 온라인 게임 개발 시에 장기간의 베타테스트를 통하여 게임 서버의 안정성을 실험하게 된다. 이러한 테스트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요구되는 과정이지만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온라인 게임의 서버를 테스트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시스템은 가상의 게임 클라이언트와 이들을 관리하는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게임 서버를 자동으로 테스트할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을 온라인 게임 콘텐츠에 적용하여 다수의 동시 접속자 환경 하에서의 서버 성능 및 게임 관련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음을 보였다.

VR 기반 메이커 교육용 모바일 앱 개선을 위한 사용성 평가 도구 개발 및 적용 (Developing and Applying Usability Testing Instrument to Improve the VR-based Mobile Application for Maker Education)

  • 박태정;차현진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7-143
    • /
    • 2022
  • In this study, a usability evaluation tool was developed for "ICANDUINO", a VR-based mobile application for maker education, and usability evaluation was conducted with a heuristic survey method for experts. The usability evaluation tool was deriv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validated by two experts. It consisted of seven domains (effectiveness, efficiency, satisfaction, learnability, memorability, error, and cognitive load) and twenty-five sub-items. As a result of the usability evaluation conducted for six experts, it received the highest score in the domain of efficiency and the lowest score in the domain of error. The improvements of ICANDUINO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qualitative opinions of experts in each of the four stages (training, coding, tinkering, and testing) of ma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guideline when evaluating the usability of a mobile app for education.

WDM 네트워크에서 가상 토폴로지 재구성을 위한 VTR 컨트롤러 (The VTR Controller for reconfiguring virtual topology in WDM Networks)

  • 유승연;정영은;신석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917-919
    • /
    • 2008
  • WDM 네트워크에서 QoS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가상 토폴로지를 효율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토폴로지를 재구성할 시점을 결정하고 적절한 파장을 할당하는 기법을 제안함으로써 효과적으로 WDM 네트워크를 운영할 수 있는 WDM 컨트롤러를 제안한다.

테스트 케이스 분포 조절을 통한 IP-ART 기법의 성능 향상 정책 (Improving Performance of ART with Iterative Partitioning using Test Case Distribution Management)

  • 신승훈;박승규;최경희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6권6호
    • /
    • pp.451-461
    • /
    • 2009
  • 적응적 랜덤 테스팅(Adaptive Random Testing, ART)은 테스트 케이스의 효율적인 선택을 통해 순수 랜덤 테스팅(Random Testing, RT)보다 더 적은 수의 테스트 케이스를 이용해 입력 도메인 내의 오류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RT 기법 중 하나인 입력 도메인 반복 분할 기법(ART through Iterative Partitioning, IP-ART)은 초기 ART 기법의 단점인 많은 연산량을 입력 도메인 분할에 의해 효율적으로 개선되도록 하였으며, 입력 도메인 확장을 이용한 IP-ART(IP-ART with Enlarged Input Domain, EIP-ART)는 IP-ART의 테스트 케이스 분포 특징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성능 향상과 확장성을 제공하였다. 하지만 EIP-ART는 입력 도메인 확장에 따라 발생하는 부하로 인해 테스트 케이스 생성에 오랜 시간을 요구하기 때문에 이의 개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의 추가 부하를 유발하지 않는 테스트 케이스 분포 조절 기법을 제안하고, 이들의 성능 개선 가능성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실험 결과, 제안된 두 기법 중 입력 도메인 타일링 기법이 모든 환경에서 더 우수한 성능 및 확장성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상 착의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래글런 소매 패턴 변화에 따른 착의 시 정량적 분석 가능성 모색 (A Study on Based on the Possibility of Quantitative Analysis using Virtual Clothing Simulation according to Raglan Sleeve Pattern Types)

  • 이예진;이병철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99-31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effects of pattern alteration using a virtual clothing simulation approach in combination with 3D analysis software. Three raglan sleeves of different patterns were worn by an avatar using virtual clothing simulation with silk and cotton as the test fabrics. It was observed that the silhouette and hemline shape were affected differently based on raglan sleeve pattern and fabric type. By examining clothing pressure distribution, the cotton fabric designs and pattern shapes provided for a variety of influences on armhole and bust regions as well as the back sleeve area. For representative locations, cross section circumstance, cross section area, and volume were measured by using 3D analysis and the resulting correlation between the 2D and 3D data were investigated. Among different fabrics,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2D and 3D clothing surface area. However, when using 3D analysis, clothing volum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different fabrics and pattern types. By simultaneously adopting the virtual simulator and 3D analysis, quantitative assessment of virtual clothing simulation was successfully conducted. In light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ulting methodolog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comprehensive evaluation tool for virtual clothing simulation wear testing.

사이버 물리적 시스템의 개발 - 가상 자율적 굴삭기 (Development of a Cyber-physical System - A Virtual Autonomous Excavator)

  • 박홍석;렌곡찬
    • 한국CDE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298-311
    • /
    • 2015
  • Nowadays, automatic digging operation of an excavator is a big challenge due to the complexity of digging environment, the hardness of soil and buried obstacles into the ground. In order to achieve the maximum soil bucket volume, this paper introduces a novel engineering model that was developed as a virtual excavator in the design phase. Through this model, the designs of mechanical and control systems for autonomous excavator are executed and modified easily before developing in real testbed. Based on a concept of an autonomous excavation, a mechanical system of excavator was first designed in SOLIDWORKS, and a soil model also was modeled by finite-element analysis in ANSYS, both modeled models were then exported to ADAMS environment to investigate the digging behavior through virtual simulation. An intelligent control strategy was generated in MATLAB/Simulink to control the excavator operation. The simulation results were demonstrated by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excavator robot in testing scenarios with many soil types and obstacles.

웹 기반의 가상현실 콘텐츠 서비스를 위한 메타데이터 생성 (A Metadata design for Virtual Reality contents service on the web)

  • 홍연미;양동호;강정석;이상준;변영철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74-477
    • /
    • 2006
  • 최근 웹 기반의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가상현실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콘텐츠의 속성 정보를 파라미터 값으로 제공하고 있다. 파라미터를 관리하는 전통적인 방식은 콘텐츠 별로 정보를 저장한 방식인데, 이러한 방식에서는 시스템을 구현하고 관리하는 것을 복잡하게 만든다. 이 논문에서는 저장하고 관리되는 파라미터 정보를 JPEG 이미지의 여유 공간을 사용하여 메타데이터 기반 가상현실 서비스를 제안하고 있다. 이 제안하는 시스템의 유효성을 테스트하기 위해서 프로토타입의 가상현실 서비스 모델을 구현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