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view

검색결과 21,695건 처리시간 0.054초

Supine Position에서 Modified Y-View의 제안 (Suggestion of Modified Y-View in Supine Position)

  • 신성규;백성민;이효영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5권2호
    • /
    • pp.103-107
    • /
    • 2012
  • 본 연구는 어깨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들 중 어깨충돌 증후군(SIS :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이 의심되어 진단을 위해 Y-view 검사가 필요하지만 몸이 불편하여 자세를 취하기 힘든 환자들을 위하여 편안하게 누운 자세에서 검사할 수 있는 modified Y-View를 고안하기 위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환자는 바로 누운 자세를 취하고 X선관(tube)의 각도를 내측으로 35도, 40도, 45도로 변화를 주어 검사한 영상을 비교 분석해 본 결과 X선관(tube)의 각도를 내측방향으로 40도를 주는 것이 견봉(acromion)과 쇄골(clavicle)의 공간(space), 오훼견봉궁(coracoacromial arch)의 모양을 잘 묘출 할 수 있어 진단에 가장 유용한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환자가 Y-View 검사를 할 수 없을 경우, 이를 대체하기 위한 유용한 수단으로 modified Y-View를 활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어깨충돌 증후군뿐만 아니라 견관절 질환에서의 다양한 적용을 기대해 본다.

다시점 준지도 학습 기반 3차원 휴먼 자세 추정 (Multi-view Semi-supervised Learning-based 3D Human Pose Estimation)

  • 김도엽;장주용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174-184
    • /
    • 2022
  • 3차원 휴먼 자세 추정 모델은 다시점 모델과 단시점 모델로 분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다시점 모델은 단시점 모델에 비하여 뛰어난 자세 추정 성능을 보인다. 단시점 모델의 경우 3차원 자세 추정 성능의 향상은 많은 양의 학습 데이터를 필요로 한다. 하지만 3차원 자세에 대한 참값을 획득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러한 문제를 다루기 위해, 우리는 다시점 모델로부터 다시점 휴먼 자세 데이터에 대한 의사 참값을 생성하고, 이를 단시점 모델의 학습에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우리는 각각의 다시점 영상으로부터 추정된 자세의 일관성을 고려하는 다시점 일관성 손실함수를 제안하여, 이것이 단시점 모델의 효과적인 학습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보인다. Human3.6M과 MPI-INF-3DHP 데이터셋을 사용한 실험은 제안하는 방법이 3차원 휴먼 자세 추정을 위한 단시점 모델의 학습에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조망경관계획에서 조망점 설정 특성에 관한 연구 -전라남도 중소도시 사례를 대상으로-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View point Setting in Urban scape Plan -In the case of the Regional Small & Medium Cities in Jeollanamdo-)

  • 박정현;김윤학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9-20
    • /
    • 2011
  •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basic landscape design established by 7 local governments in Jeollanam-do and its availability as the index of landscape administration and present a guideline with view landscape plan of local govern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escribed below. In case of view landscape, while Korean cities have not many historical assets like landmark, they have locational characteristics with mountain or coast in the center or surroundings of downtown. Therefore, since view landscape has many cases of restricting individual property rights as well as having a value as public property of city which makes recognition of sharing city, it is very sensitive problem and establishing guideline of it is needed. But, it was found that view landscape plan of local governments established location of view spot with the nature of relief viewing downtown or coast from high spot. Selection of viewing objects in view plan require deciding an object as the public property of city and big cities require selection from the zone and small cities must select 1~2 spots from the viewpoint of whole downtown. 3~4 view spots of middle and distant views which makes city community centering around the subject of view must be selected through enough discussion and in case of natural landscape, View shaft or visible rays require setting of range that 30% of viewing objects is seen. View spot or viewing objects should be selected over twice as extra spots through public hearing and civil participation as the process.

3차원 비디오 압축에서의 다시점 부호화를 위한 적응적 시공간적 예측 부호화 (Adaptive Spatio-Temporal Prediction for Multi-view Coding in 3D-Video)

  • 성우철;이영렬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214-224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실감형 3차원 영상 처리와 3차원 TV 3차원 화상회의 등과 같은 3차원 실감 미디어의 부호화에 적합한 H.264 기반의 적응적 시공간적 예측 부호화를 제안한다. 첫 번째로, 두 가지의 IPPP와 IBBP GOP(group of picture) 구조에서 기존의 동시방송(simulcast) 방식과 다르게 same-view와 inter-view 영상의 적응적 시공간적 예측 부호화를 제안한다. 두 번째로, GOP 구조가 IBBP에서 제안된 inter-view 방식의 예측 부호화시 B(hi-predictive) 화면이 MB(macroblock) 모드중 하나인 시간적 직접방식(temporal direct mode)을 수행하려고 할 때 참조 화면이 inter-view 영상을 참조하는 경우 현재의 시간적 직접 방식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2차원 inter-view 직접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식은 실험결과에서 기존의 동시방송 방식과 비교되었으며 각각의 GOP 구조 모두 화질 면에서 우수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시점 간 비선형 움직임 블록 예측에 기초한 적응적 다시점 비디오 보상 보간 기법 (Adaptive Multi-view Video Interpolation Method Based on Inter-view Nonlinear Moving Blocks Estimation)

  • 김진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9-18
    • /
    • 2014
  • 최근에 무선 비디오 감사, 무선 비디오 센서 네트워크 그리고 무선 모바일 비디오와 같은 다시점 비디오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시점 비디오 신호처리에서 다수 개의 다른 카메라에서 획득되는 영상 사이에 존재하는 높은 상관성을 이용하는 것은 매우 핵심적인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카메라들 사이에 상호작용을 요구하지 않고, 다시점 분산 비디오 부호화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적응적인 다시점 보간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비선형적인 블록 예측, 시차 보상 시점 예측 그리고 비신뢰 블록에 대한 채우기 기법 등으로 구성된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방식은 기존의 방식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웹 기반 VOD 시스템을 위한 익명성이 제공되는 Pay-Per-View 서비스 (Anonymous Pay-Per-View Service for Web-Based Video-on-Demand Systems)

  • 주한규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69-75
    • /
    • 2008
  • VOD (Video-on-Demand) 서비스는 사용자가 원하는 비디오를 언제든지 볼 수 있도록 해 준다. 고속의 컴퓨터 네트워크의 발달로 웹 기반 VOD 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었다. VOD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요금 부과 기법이 필요하다. VOD 요금 부과 기법으로 사용자가 시청한 분량에 따라 요금을 부과하는 pay-per-view를 생각할 수 있다. VOD에서 사용자의 사생활 보호 또한 중요한 이슈가 된다. 사용자는 자신의 시청 정보를 타인에게 노출시키고 싶지 않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 VOD 서비스에 익명성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익명성 제공은 VOD 서비스 요금 계산을 복잡하게 한다. 익명성 제공과 요금 계산을 함께 지원하는 VOD 기법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익명성이 제공되는 웹 기반 VOD 서비스가 제안된다. 제안된 기법은 사용자의 시청 분량에 따라 요금을 부과하는 pay-per-view 기능을 지원한다.

  • PDF

물품관리를 위한 VMDC(View, Model, Dispatcher, Controller) 아키텍처 (The VMDC(View, Model, Dispatcher, Controller) Architecture for Products Management)

  • 김다정;이은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6D권6호
    • /
    • pp.881-88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물품관리를 하기 위한 VMDC(View, Model, Dispatcher, Controller) 아키텍처를 제안한다. 물품을 인력이 아닌 소프트웨어로 관리하기 위하여 여러 아키텍처들이 존재한다. MVC와 기존 아키텍처의 경우, 공통된 객체의 전달로 불필요한 데이터가 이동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VMDC(View, Model, Dispatcher, Controller) 아키텍처를 제시하고자 한다. VMDC(View, Model, Dispatcher, Controller) 아키텍처의 Dispatcher(사령부)는 각 Controller(컨트롤러)가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파악하고 그것을 기반으로 하여 객체를 재구성함으로서 효율적인 데이터 이동을 하도록 한다. 또한 VMDC(View, Model, Dispatcher, Controller) 아키텍처를 이용하여 개발된 식품관리 프로그램으로 사용사례를 보이고, 효율성을 제시 후 향후 연구방향 또한 제시한다.

생활가로 유형별 경관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ew evaluation by each patterns of the life street)

  • 김성호;김한수;김재홍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0년도 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115-122
    • /
    • 2000
  • This study was inverstigated on that a street view is the important point of the town planning. Until now, the street view has formed with senseless and coarse town planning because of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street view during the urbanization in the same way and total lack of a consistent plan. On the sight of having a critical mind about the street view,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esent the analyses of the current problems of the street formation as the vivid directions of development for the future city view of the visual quality and the development of comfort.

  • PDF

생활가로 유형별 경관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ew evaluation by each patterns of the life street)

  • 김성호;김한수;정준현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117-124
    • /
    • 2001
  • This study was inverstgated on that a street view is the important point of the town planning. Until now, the street view has formed with senseless and coarse town planning because of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street view during the urbanization in the same way and total lack of a consistent plan. On the sight of having a critical mind about the street view,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esent the analyses of the current problems of the street formation as the vivid directions of development for the future city view of the visual quality and the development of comfort.

  • PDF

조망 시점 위치에 따른 아파트 단위세대 조망 경관 선호 특성 (Preference of the View from Apartment Units regarding View Points)

  • 문지원;이상복;하재명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42-247
    • /
    • 2006
  •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ference according to the locations of view points, which are the current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the view. To this end, a total of fifty one test cases according to view point locations were sampled based on the picture data collected in previous studies, and preference assessment was conducted on these cases to identify preference characteristics, where a five-point Lickert-scale evaluation was performed for each test case, and three test cases for each type were comparatively evaluated. It is deemed that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may be used to finally derive qualitative assesment scale for the view seen from apartment uni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