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deo program

검색결과 711건 처리시간 0.033초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위한 다수의 비디오 프로그램들의 선택적 화질 제어 (Selective Quality Control of Multiple Video Programs for Digital Broadcasting Service)

  • 홍성훈;유상조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48-159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PSNR 관점에서 비디오 프로그램들 사이의 상대적인 화질을 정확하게 제어하는 선택적 화질 제어 시스템을 제시한다. 제안된 화질 제어 시스템은 하나의 일정 비트율 (CBR)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모든 프로그램들의 전송 비트율의 합을 일정하게 게 유지하면서도 각 비디오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미리 설정된 상대적 화질을 유지하도록 가변 비트율 (VBR) 압축을 허용하는데, 이는 중앙 제어부에서 VBR 비디오 압축을 수행하는 비디오 부호기들을 동시에 제어하여 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부호기/복호기 버퍼와 전체 전송 비트율에 대한 제약 조건의 해석에 근거한 버퍼 제어 방법도 제시한다. 다양한 실험을 통해 제안된 화질 제어 시스템은 비디오 버퍼의 넘침과 고갈을 방지하고 화질 제어의 오차가 0.1 dB를 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대용량 비디오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하여 장면전환 검출과 샷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비디오 개요 추출 (Video Abstracting Using Scene Change Detection and Shot Clustering for Construction of Efficient Video Database)

  • 신성윤;표성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11-119
    • /
    • 2006
  • 본 대부분의 비디오는 대용량의 장시간 데이터로서 비디오 시청자들이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하기에는 충분하지 못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효율적인 장면 전환 검출 방법과 새로운 샷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비디오 개요 추출 방법을 제시한다. 장면전환 검출 방법은 컬러 히스토그램과 $\chi2$ 히스토그램을 합성한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하도록 한다. 클러스터링은 지역적 히스토그램의 차이값을 이용한 유사성 측정과 새로운 샷 병합 알고리즘을 통해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실제 TV 방송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비디오 개요 추출 실험 결과를 제시한다.

  • PDF

흡연예방을 위한 청소년 교육방향 -교육용 비디오 효과분석율 중심으로- (Development of a Smoking Prevention Video for Youth)

  • 최은진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75-85
    • /
    • 2000
  •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Law passed in 1995 was a milestone for initiating a national health promotion program in Korea, and local governments and health related organizations are developing and providing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the publ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a smoking prevention video for adolescents. There was no educational video on smoking prevention for school students in Korea. Based on funding from the National Health Promotion Fund, an educational video on smoking prevention has been developed and tested for the effectiveness. The primary subject of the video was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 of the study has shown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and post tes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udents' knowledge on the harm of smoking has been increased after the video education. In addition, more than half of the students responded that the educational video was interesting and helpful. To reduce initiation of smoking among adolescents, both policies and school health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reinforced. Policies on tobacco should focus on demand of smokers and potential smokers. So government officials should keep monitor obedience of the law on prohibition of smoking for those under age 19. School teachers should focus on social influence of smoking for adolescents.

  • PDF

대용량 비디오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비디오 개요 추출 (Video Abstracting Construction of Efficient Video Database)

  • 신성윤;표성배;이양원
    •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55-264
    • /
    • 2006
  • 대부분의 비디오는 대용량의 장시간 데이터로서 비디오 시청자들이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하기에는 충분하지 못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효율적인 장면 전환 검출 방법과 새로운 샷 클러스터링을 이용한 비디오 개요 추출 방법을 제시한다. 장면전환 검출 방법은 컬러 히스토그램과 ${\chi}^2$ 히스토그램을 합성한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하도록 한다. 클러스터링은 지역적 히스토그램의 차이값을 이용한 유사성 측정과 새로운 샷 병합 알고리즘을 통해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실제 TV 방송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비디오 개요 추출 실험 결과를 제시한다.

  • PDF

수술 전 수술실간호사의 동영상 프로그램을 활용한 지지간호중재가 자궁적출술 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 Using Video-Program of Operating Room Nurses before Operation on Laparoscopic Hysterectomy Patient's Anxiety)

  • 어용숙;이내영;이지원;차현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639-2646
    • /
    • 2015
  • 본 연구는 수술 전 수술실 간호사의 지지간호중재가 자궁적출술 환자의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유사실험 연구이다. 2013년 5월 1일부터 6월 20일까지 불안, 혈압, 맥박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통계 검정은 SPSS 20.0을 이용하여 $x^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를 수행하였다. 대조군 25명은 기존의 간호중재를 받았고 실험군 25명은 지지간호중재를 받은 자궁적출술 환자이다. 불안(p=.002), 이완기혈압(p=.012), 수축기 혈압(p=.045)은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이 유의하게 낮았고 맥박수는 대조군과 실험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수술 전 지지간호중재가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동영상 촬영과 피드백을 이용한 실습교육이 보건의료전공 대학생의 술기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Effectiveness of Education Program Using Video Recording and Feedback on Skill Competency for Students of Majors in Health Care: A Meta-Analysis)

  • 신윤희;김선경;김현주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0-133
    • /
    • 2018
  • Purpose: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effectiveness of education programs using video recording and feedback in the improvement of competency in clinical skills for health care majors. Methods: Six databases were searched and inclusion criteria wer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RCTs) or non-randomized controlled trials (NRTs) reporting level of skill competency using numerical measurements. Data analysis and synthesis were performed using Comprehensive Meta-Analysis software and Revman program. Results: Of 1,568 records, 11 studies met inclusion criteri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iveness of education programs using video recording and feedback was identified. A low risk of bias was detected among both RCTs and NRTs. Meta-analysis showed that the intervention groups had more effective improvements in skill competency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SMD]: 0.74; 95% CI: 0.33~1.16). Results of subgroup analysis showed higher effects when interventions dealt with one skill, used self-reflection with expert feedback, and included instruction from instructor in the education programs. Conclusion: Findings suggest that schools for health care majors should actively adopt video and feedback based skill training allowing educators to design effective programs. Potential is higher for students to achieve higher competency when they train with one skill at a time, use of instruction and receive feedback from experts.

CogTV를 위한 생체신호기반 시청자 선호도 모델 (A Viewer Preference Model Based on Physiological Feedback)

  • 박태서;김병희;장병탁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316-322
    • /
    • 2014
  • 본 논문은 TV를 이용한 영화시청 환경에서 해당 컨텐트에 대한 시청자의 암묵적 반응과 컨텐트의 멀티모달 피쳐를 실시간으로 측정 및 동기화하여 이를 기반으로 동영상 선호모델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필요시 영화추천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에선 이미지, 소리, 자막 스트림으로부터 실시간 추출되는 저수준 피쳐들과 동기화되어 측정된 얼굴표정, 자세 및 생체신호로부터 해당 동영상이 유발한 시청자의 감정상태를 추정하여 선호모델 학습에 사용한다. 제안한 컨텐트-시청자 연계 추천모델의 일례로서 컨텐트의 오디오 및 자막 정보를 이용하여 시청자의 피부전기활성도로 측정된 arousal반응을 예측할 수 있음을 보인다.

숨겨진 오디오 비디오 시간 인덱스 신호를 사용한 DTV 립싱크 테스트 (DTV Lip-Sync Test Using Embedded Audio-Video Time Indexed Signals)

  • 한찬호;송규익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1권3호
    • /
    • pp.155-162
    • /
    • 2004
  • 본 논문은 오디오 비디오 신호에 대한 유한한 DTV 디지털 스트림을 사용한 립싱크 테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램 시청이 가능하면서, 과도 효과 영역 테스트 신호(transient effect area test signals, TATS) 및 오디오 비디오 시간 인덱스 립싱크 테스트 신호를 이용한 새로운 립싱크 테스트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에서 제안된 방법은 오실로스코프의 비디오 트리거 모드를 사용하여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간의 시간차를 쉽게 측정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동적계획법을 이용한 다계층 VOD 망의 저장량 결정 (Storage Allocation in Multi-level VOD Network Using Dynamic Programming)

  • 김여근;조명래;김재윤
    • 산업공학
    • /
    • 제9권3호
    • /
    • pp.202-213
    • /
    • 1996
  • Video-on-demand is an interactive service that provides programs (movie, home shopping, etc.) to users connected to a network. This service will require high bandwidth network and video servers with a large amount of storage capacity. From the viewpoint of system analysis, there are optimization problems to be solved. In this paper, we present a dynamic programming method for allocating the storage for programs being served in a multi-level video-on-demand network. In the optimization of the network resource, we consider the three kinds of costs: installation cost for video servers, program storage cost, and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cost. The factors related to the costs are investigated. An example is shown to illustrate the proposed metho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