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able cells

검색결과 768건 처리시간 0.02초

Streptococcus mutans의 자당 대사에 미치는 과당의 영향 (THE EFFECT OF FRUCTOSE ON THE METABOLISM OF SUCROSE BY STREPTOCOCCUS MUTANS)

  • 심직현;방몽숙;양홍서;박상원;박하옥;오종석;이재봉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24-134
    • /
    • 2006
  • Statement of problem: Streptococcus produces energy and forms extracellular polysaccharides by metabolizing sucrose. Insoluble glucan, a kind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is the important material of dental plaque. Fructose affects the metabolism of sucrose.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fructose on the metabolism of sucrose in Streptococcus mutans. Materials and methods: To determine the effect of fructose on the formation of artificial plaque by Streptococcus mutans Ingbritt, S. mutans and fructose were placed in beakers containing M17 broth and sucrose. The wires were hung on frameworks inserted into cork stoppers, and then immersed in each of the beakers. After the incubation with gentle shaking, each wire was weighed. To analyze the effect of fructose on the sucrose metabolism by S. mutans or glucosyltransferase, S. mutans and fructose were placed in M17 broth containing sucrose. After the incubation. the remaining sucrose and polymers were analysed by thin layer chromatography. Resul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When Streptococcus mutans was cultured in the media containing 3% sucrose for 8 hours, the mean weight of formed artificial plaque on the wires was $124.3{\pm}3.0mg$, whereas being reduced to $20.7{\pm}10.2mg$ in the media added with 3% sucrose and 4% fructose(p<0.05) 2. When the control containing glucose was added with sucrose, the optical density of Streptococcus mutans solution cultured for 24 hours was not increased compared with the control, while being increased by adding with fructose. 3. When Streptococcus mutans was incubated in the media added with sucrose and fructose for 8 hours, the number of viable cells was increased compared with the media added with sucrose. 4. The amount of remained sucrose was increased in Streptococcus mutans culture supernatant of media added with sucrose and fructose than with sucrose only. but the amount of produced insoluble glucan was decreased. 5. The amounts of remained sucrose and produced soluble glucan were increased in the culture of glucosyltransferase-contained media added with sucrose and fructose than with sucrose only, but the amount of produced insoluble glucan was decreased .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ucrose metabolism and the production of insoluble glucan were inhibited in Streptococcus mutans by adding fructose in the media containing sucrose.

삼백초를 첨가한 요구르트의 제조와 품질 특성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Added with Saururus chinensis (Lour.) Bail)

  • 이인선;이승욱;김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11-416
    • /
    • 2002
  • 요구르트 제조시 고형분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첨가하고 있는 탈지분유의 일부를 삼백초 열수추출물로 대계하여 삼백초가 젖산균의 생육과 산 생성에 미치는 영향 및 요구르트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삼백초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젖산균의 산 생성은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생균수 또한 같은 경향이었다. 발효 24시간 후 대조군과 삼백초 1.0% 첨가군의 적정산도는 각각 1.04%와 1.38%였으며, 생균수는 모든 구간에서 5.5$\times$$10^{8}$~1.0$\times$$10^{9}$ CFU/mL를 보였다. pH 또한 삼백초 1.0% 첨가군이 발효 24시간 후 3.60의 가장 낮은 pH를 보였으며, 대조군은 3.97의 pH를 나타냈다. 요구르트의 점도는 6~12시간 구간에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그 이후에도 약간의 증가를 보였다. 또한 삼백초 첨가량에 비례하여 높은 점도를 보여 발효 24시간 후 대조군과 1.0% 삼백초 첨가군의 점도가 각각 1,650 cp과 1,930 cp(g/100 cm.sec)를 나타냈다. 관능평가 결과 0.6% 이상의 삼백초 첨가군들은 삼백초가 가지는 익숙치 못한 향과 색으로 인해 모든 항목에서 대체로 낮은 평가를 받았으나 0.4% 삼백초 첨가 요구르트는 맛과 전체적 인기호도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다른 항목에 있어서도 비교적 우수한 평가를 받아 관능적으로 가장 적당한 첨가량을 나타냈다. 삼백초 첨가로 요구르트의 젖산 함량이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되었으며 그 밖에 구연산, 주석산, 초산 및 옥살산은 모든 구간에서 발효 후 약간 낮은 함량을 보였다. 발효가 완료된 요구르트의 저장성은 4$^{\circ}C$에서 15일간 산 생성과 pH및 생균수 변화가 미미한것으로 나타나 저장성이 비교적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삼백초는 젖산균의 생육 및 산 생성을 촉진시키며, 요구르트의 관능적인 면에서도 좋은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여러 가지 유용한 생리효과를 가진 삼백초는 새로운 기능성을 가지는 요구르트의 개발에 있어 좋은 천연물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가지며 신제품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치태형성과 혐기성 세균의 황화합물 생성에 대한 Lactobacillus salivarius의 억제효과 및 동정 (Identification and inhibiting effect of Lactobacillus salivarius the formation of plaque and the production of volatile sulfur compounds by anaerobic bacteria)

  • 김미형;선금주;안연준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1-145
    • /
    • 2005
  • There are normal inhabitants doing medically useful functions in the body. There are many kinds of bacteria performing specific functions in the oral cavity. Two strains of lactic ad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normal inhabitants of children's oral cavity, which inhibited the production of volatile sulfur compounds by anaerobic bacteria. The authors identified the isolates by 16S rDNA partial sequencing. 1. Two isolates were Gram-positive bacilli and produced hydrogen peroxide. 2. When Streptococcus mutans was cultured in the media, the mean weight of formed artificial plaque on the orthodontic wires was $124.4{\pm}30.4$ mg, whereas being reduced to $5.2{\pm}2.0$ mg and $10.6{\pm}6.6$ mg in the media cultured with Streptococcus mutans and each isolate, respectively(p<0.05). 3. The number of viable cells of Streptococcus mutans was $3.4{\times}10^9$ per ml in the cultured solution, whereas those of Streptococcus mutans in the combined culture with each of isolates were $4.6{\times}10^8$ and $2.4{\times}10^8$ per ml. 4. The optical density was 1.286 in the supernatant of Fusoacterium nucleatum after vortexing for 30 minutes, whereas in the supernatant of combined Fusoacterium nucleatum and each isolate, they were reduced to 0.628 and 00497, which the percentages of coaggregation between them were 2904% and 57.8%, respectively. 5. The optical density of Fusoacterium nucleatum precipitate was 1.794 in the culture media containing cysteine and $FeSO_4$ being reduced to 1.144 and 0.915 in the coaggregated precipitates of Fusoacterium nucleatum and each isolate. 6. The similarity values of 16S rDNA sequence between each of isolates and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cinius were 99.60% and 99.73%, respectively, meaning that isolates were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ciniu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wo strains isolated from children's saliva, which inhibited the formation of plaque and the production of volatile sulfur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Lactobacillus salivarius subsp. salicinius.

  • PDF

감마선 이용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품질이 우수한 아이스크림의 개발 (Development of Ice Cream with Improved Microbiological Safety and Acceptable Organoleptic Quality Using Irradiation)

  • 김현주;장애라;함준상;정석근;안종남;변명우;조철훈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4호
    • /
    • pp.515-522
    • /
    • 2007
  • 감마선을 이용하여 미생물학적으로 안전하면서 관능적 품질이 우수한 아이스크림을 개발하기 위해 감마선에 안정적인 spearmint, mint 및 citrus향을 선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감마선 조사에 의한 특유의 냄새변화가 없는 아이스크림을 제조한 후 품질을 비교하였다. 일반적인 조성은 향 무첨가 대조구와 처리구 사이에 차이가 없었으며, 총균수는 향 무첨가 대조구, spearmint, mint 및 citrus향 첨가구가 각각 2.38, 1.23, 1.38 및 1.15 log CFU/g 수준에서 검출되었다. 그러나 대조구는 3 kGy, 그 외 처리구는 1 kGy 선량에서 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 mint향을 첨가하고 1 kGy 감마선 처리한 아이스크림과 citrus향을 첨가하고 3 kGy에서 감마선 처리한 아이스크림이 유의적으로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따라서 3 kGy 이하의 감마선 조사와 mint 또는 citrus향의 선택적 첨가는 관능적으로 문제가 없으면서 유아, 노약자, 환자 등 민감한 소비자들에 대한 미생물학적 안전성을 확보하는 기술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붕장어 부산물로 제조한 붕장어탕의 식품학적 특성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Tang from Conger Eel By-products)

  • 허민수;이택상;김혜숙;지성준;이재형;김형준;윤민석;박신호;김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77-484
    • /
    • 2008
  • 붕장어 가공부산물인 머리와 frame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일련의 연구로 붕장어 부산물을 이용한 붕장어탕의 개발을 시도하였고, 아울러 이의 식품성분 특성에 대하여도 살펴보았다. 살균조건 및 가온일수에 따른 붕장어탕의 저장성 부여를 위한 최적 살균조건은 $F_0$ value=8분으로 판단되었다. 붕장어탕의 일반성분은 수분의 경우 90.7%, 조단백질의 경우 4.8%, 조지방의 경우 2.6%, 조회분의 경우 1.5%를 나타내었다. 붕장어탕의 엑스분 질소 함량은 243.1 mg/100g으로 시판 추어탕의 208.0 mg/100 g보다 높았다. 붕장어탕의 총 아미노산 함량은 4,310 mg/100 g이었고, 주요 구성아미노산은 glutamic acid(637.3 mg/100 g, 14.8%), glycine(409.1 mg/100 g, 9.5%) 및 alanine(404.4 mg/100 g, 9.3%)등이었다. 붕장어탕은 관능적인 비린내는 거의 감지되지 않았고, 맛은 우수하였으며, 항산화능이 인정되었으나 ACE 저해능은 크게 기대할 수 없었다.

메주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JBE245를 이용한 사과 발효 음료 제조 (Production of fermented apple juice using Lactobacillus plantarum JBE245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Meju)

  • 허준;박해석;엄태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445-453
    • /
    • 2016
  • 젖산세균을 이용한 사과 발효 음료는 건강 증진을 위한 기능성 식품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젖산세균을 선발하여 발효 음료 제조를 시도하였다. 국내 전통 발효 식품에서 분리된 84종의 젖산세균 가운데 사과 음료에서 생육이 가장 우수하고 항당뇨 활성이 우수한 JBE245 균주를 최종 선발하였다. 메주에서 분리된 JBE245 균주는 Lactobacillus plantarum으로 동정되었으며 사과 발효 음료의 생균수는 24시간 배양 후 $3.6{\times}10^8CFU/mL$로 이후 생균수를 유지하였다. 항당뇨 활성의 지표인 알파 글루코시데이스 저해능은 발효전 18.5%에서 증가하여 최대 40.4%까지 증가하였다. 산화방지 활성 지표인 총 폴리페놀 함량은 583.6 mg GAE/mL로 발효 전(424.5 mg GAE/mL)보다 증가하였으며, DPPH 소거활성은 52.0%로 발효 전(43.5%) 보다 높았다. 발효 음료의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발효 전후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종합적 선호도는 각각 4.72, 4.22로 나타났다(p<0.05).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JBE245 균주를 이용한 발효 음료가 산화방지 및 항당뇨 기능이 향상된 프로바이오틱 발효 식품이라는 점에서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가속실험을 이용한 상업적 멸균처리 한식 탕반류의 유통기한 평가 (The prediction of shelf-life of Commercially Sterilized Korean Soups using accelerated experiment)

  • 한경수;이은정;홍상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9-154
    • /
    • 2005
  • 육개장, 사골우거지탕, 갈비탕 및 설렁탕을 진공포장하고 $121^{\circ}C$, 30분 멸균 처리하여 $37^{\circ}C$에서 21일간 저장하면서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품질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shelf-life를 설정하고자 하였다. 탕반류의 가속저장실험에서 $37^{\circ}C$ 저장 중 표준평판균 수가 나타나지 않고 pH, TBA가 및 색도에 큰 변화가 없으며 관능평가 점수가 7점 이상인 저장일수는 육개장 7일, 사골우거지탕 14일, 갈비탕 7일, 설렁탕은 21 일로 평가되었고 $Q_10$값을 2.5로 가정시, $5^{\circ}C$ 냉장저장 에서는 육개장과 갈비탕은 109일, 사골우거지탕은 219 일, 설렁탕은 328일 유통이 가능하고, $10^{\circ}C$에서는 육개장, 갈비탕은 69일, 사골우거지탕은 138일, 설렁탕은 207일, $25^{\circ}C$에서는 육개장, 갈비탕은 18일, 사골우거지탕은 35일, 설렁탕은 53일로 계산되어 진공포장하여 멸균($121^{\circ}C$, 30분)된 탕반류는 $10^{\circ}C$ 이하에서 상업적인 유통이 가능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자일리톨 첨가가 동치미의 맛과 발효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xylitol on the taste and fermentation of Dongchimi)

  • 문성원;장명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2-48
    • /
    • 2004
  • 천연소재 감미료인 당알코올류의 자일리톨을 동치미에 첨가하였을 때 동치미의 맛과 발효숙성에 자일리톨이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동치미 국물에 대한 자일리톨 첨가량을 0, 1, 2, 3, 4%(w/v)로 하였고, 1$0^{\circ}C$에서 30일 동안 발효시키면서 관능적,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보았다. 관능적 평가 결과 냄새, 단맛, 숙성도, 조직감과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자일리톨 1% 첨가구가 높은 점수를 받아 가장 선호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자일리톨 2% 첨가구를 좋아하는 것으로 보였다. 발효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pH는 점차로 낮아졌고, 총산함량은 모든 첨가구에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일리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는 낮게 총산함량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원당은 발효기간 동안 자일리톨 1% 첨가구가 다른 첨가구에 비해 비교적 많은 함량을 유지하였다 총 비타민 C는 발효초기에 증가하였다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고, 자일리톨 2% 첨가구가 많은 총 비타민 C함량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1% 첨가구였다. 총균수와 젖산균수는 발효 2일과 5일에 모든 첨가구에서 크게 증가하였다가 그 이후로 서서히 감소하였고, 자일리톨 1% 첨가구의 총균수와 젖산균수가 많은 균수를 유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대조구에 비해 자일리톨 1% 첨가 동치미가 맛과 조직감을 향상시켜 전반적인 기호도를 좋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활용 절임수로 제조한 배추 김치의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echu Kimchi Salted with Recycled Wastebrine)

  • 윤혜현;이숙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09-615
    • /
    • 2003
  • 배추김치 제조 과정에서 절임염수를 재활용하기위해 5회 반복 사용 폐절임수(F), 5회 사용한 염수를 가는 모래로 처리한 1차 처리수(F1) 및 1차 처리수를 활성탄으로 여과한 2차 처리수(F2)를 절임염수로 김치를 제조하여 김치 숙성 중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염도와 가용성고형물의 김치 숙성 중 변화 양상은 시료사이에 큰 차이는 없었지만 5회 사용염수김치(F)의 염도와 가용성고형물이 다른 시료나 대조군에 비해 약간 높았다. 김치 숙성 동안의 pH와 적정산도는 대조군과 F1김치는 비슷한 pH와 산도 변화를 보였고, F김치는 가장 빠르게 숙성되는 변화를 나타낸 반면 F2는 가장 느린 숙성속도를 나타내었다. 총균수는 F시료가 가장 높았고, F2시료가 가장 낮았으며, 젖산균수는 F시료에서 가장 낮은 수를 나타내었고 대조군과 F1시료는 비슷하였다. 숙성적기의 관능평가 결과 외관, 냄새(신냄새, 부패냄새), 맛(신맛, 전체적 맛)과 질감(질긴정도, 아삭함)에서 F시료에 대하여 가장 바람직하지 않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F1과 대조군은 유사한 점수를 받았으며 F2는 가장 신냄새와 신맛이 약하고 질긴정도가 높은 김치로 평가되었다. 김치의 특성과 관능평가 결과 반복 사용한 폐염수는 재사용할 경우 김치 품질이 나빠질 것으로 판단되는 반면 가는 모래나 활성탄으로 여과처리한 후 절임염수로 재활용하는 경우는 대조군 김치와 품질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절임염수로서의 재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열, 살균소독제, 항생제에 의한 분리 Cronobacter spp. (Enterobacter sakazakii) 제어 (Biocontrol of Isolated Cronobacter spp. (Enterobacter sakazakii) by Heat, Sanitizer, and Antibiotic)

  • 이은진;박종현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79-486
    • /
    • 2010
  • 국내의 건조분말 식품에서 분리한 Cronobacter spp.의 건조내성에 따른 열, 살균소독제, 항생제에 대한 내성특성 분석하여 Cronobacter spp.을 제어하는 효과적인 방법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분리된 37개의 건조저항 균주, 7개의 건조민감 균주, 그리고 68개의 중간그룹의 균주 총 112개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건조내성을 가지고 있는 Cronobacter spp.는 열에 대해서도 저항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제분유등의 건조 스트레스에 노출되어 살아남은 Cronobacter spp.는 열 스트레스에서도 높은 내성을 보일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살균소독제를 이용한 Cronobacter spp.의 제어효능은 sodium hypochlorite는 15-25 ppm와 benzalkonium chloride는 5-15 ppm 농도에서 5 log CFU/mL 살균 효과가 있었다. Albumin으로 3%(w/v)오염시킨 부유세균의 살균력은 건조내성 균주와 건조민감 균주 모두에서 오염전과 비슷하여 유기물 오염상태에서도 살균소독제 효능에는 큰 영향을 주고 있지 않음을 알 수가 있었다. 그리고 항생제 내성은 $\beta$-lactam 계열의 ampicillin에 대하여 약 90% 분리주가 64-128 ppm의 농도에서 최소저해 농도를 보여 주었다. Aminoglycoside 계열의 kanamycin과 Gram(-) spectrum의 nalidixic acid에서 4 ppm의 가장 낮은 내성을 보였다. 건조민감 균주과 건조내성 균주의 최소저해농도 경우 전반적으로 모든 항생제에 대해서 건조 내성이 높은 균주가 더 큰 항생제 내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분리 Cronobacter spp.의 건조내성이 열과 항생제의 저항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조제분유와 같은 분말식품과 그 원료의 오염 Cronobacter spp.의 살균제어에 더 강력한 처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