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able cells

검색결과 768건 처리시간 0.038초

저식염 고추장 양조시 항균물질 혼합첨가의 영향 (Effect of Combined Use of various Anti-microbial Materials on Brewing of Low Salted Kochujang)

  • 박선주;김동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4호
    • /
    • pp.287-294
    • /
    • 2007
  • 소금농도를 9%에서 6%로 줄이고 항균물질로 알코올과 겨자, 키토산을 혼합첨가 하여 제조한 저식염 고추장의 숙성중의 효소활성도와 미생물상 및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숙성 중 수분활성도의 저하는 식염 9%인 대조구에서 심하였고, 숙성 중에 효모수는 증가하였으나 알코올-겨자 혼합 첨가로 효모수를 조절할 수 있었다. 고추장 숙성 중 ${\beta}-amylase$ 활성은 항균물질 첨가시 증가하였으나 ${\alpha}-amylase$와 protease 활성은 조금 감소하였다. 고추장은 숙성이 진행되면서 L차 a-, b-값이 증가하였으며 알코올 첨가 고추장이 $({\Delta}E)$값의 변화가 적었다. 적정산도는 항균물질의 첨가로 숙성 후기에 저하되었으며, 산화환원전위의 저하는 대조구에서 심하였다. 고추장 숙성 중 총당의 감소는 알코올-겨자 혼합 첨가구(EM)에서 적어 환원당량이 많았으며, 숙성 후기의 알코올의 생성은 알코올에 키토산을 혼합 첨가한 고추장(EC)에서 높았다. 고추장 숙성 중기까지 아미노태 질소는 증가하였고, 숙성중 암모니아태 질소의 생성은 알코올-겨자-키토산 혼합 첨가구(EMC)에서 적었다. 12주 숙성된 고추장을 관능 평가한 결과 색과 향기에서 알코올(E) 또는 알코올-겨자 혼합 첨가구(EM)가 좋아 저식염 고추장 제조시 알코올 또는 알코올-겨자를 혼합 첨가하는 것이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양호하였다.

수술에 사용하는 생리식염수의 오염수준 변화 (A Study on the Contamination of Saline Used in the Operation)

  • 윤혜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9-109
    • /
    • 1995
  • Post-operative wound infections have been the serious problems in nursing care in the operating room and appear to be strongly related to the infection occurring during the ope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evel of contamination in saline used in the operation and als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ntaminated saline and the length of the operation, and unclean atmospheric factor. Subjects for this study include 13 cases of operation performed at the operative theatre of a hospital in Seoul area. Test samples and related data were collected from this medical facility between Oct. 6 through Dec. 10, 1994 by the author and anurse who worked in the operating room. For the study, multiple batches of saline sample were collected at the various time intervals duringthe operation and filtered through the membrane filters. Viable microorganisms retained on the filters were cultured on the appropriate culture media and the levels of existing cells in saline were enumerated according to Koch's method. In the analyses of the dat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obtained for the examin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of operation and numbers of microorganisms existing in saline and for the comparison of the differences in numbers if microrganisms in saline sample collected at the various operative stages, e. g. pre-incision, excision and skin suturing stages, ANOVA and Scheff Test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lenth of the operation and numbers of microorganisms in the saline used in the operation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r=0.5467, P<0,001). 2) In case of saline exposed to air, but not used in the operation, the length of exposure to the air and the numbers of microorganisms present in saline also showed an apparent correlation(r=0.5087, P<0. 001). 3) The frequencies of occurrence of microorganisms in saline used in the operation and in saline exposed only to the air in the given tim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t=3.73, p=.0000). 4) In case of saline used in the operation,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s in its numbers of contained microorganisms between the operative stages ; pre-incision, excision, and skin suture (F=17.7500, p=.0000). 5) In case of saline exposed only to the air in the given time,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s in its numbers of contained microorganisms between the operative stages . pre-incision, excision, and skin suture(F=6.3807, p=.00031).

  • PDF

키위를 첨가한 막걸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Added with Kiwifruit (Actinidia deliciosa))

  • 김은경;장윤혁;고재윤;정윤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1821-182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키위를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발효 6일째의 키위 막걸리와 대조군 알코올 함량은 각각 16.6, 17.0%을 나타내어 시료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키위 막걸리와 대조군의 pH는 발효 1일째 급감한 후 완만한 증가를 보이고 발효 6일째 각각 4.38 및 4.51로 큰 차이가 없었으며, 총산은 발효 1일째 급격한 증가를 보인 후 완만히 증가하여 발효 6일째 각각 0.34 및 0.27을 나타내었다. 총 균, 유산균, 효모 수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으며 키위 막걸리의 발효 6일째 총 균, 유산균, 효모 수는 대조군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색도(L, a, b)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대조군과 키위 막걸리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리당 중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인 glucose는 발효가 진행되면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유기산 중 succinic acid 함량이 대조군과 키위 막걸리 모두 가장 높았고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키위 막걸리에서는 37종의 휘발성 화합물이 검출되었으며, 그중 3-methyl-1-butanol(33.71%), 2-methyl-1-propanol(23.81%) 및 ethyl acetate(19.94%)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 결과 막걸리 제조 시 키위의 첨가는 막걸리의 품질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어, 키위의 영양학적 효용성을 겸비한 기능성 막걸리의 제조가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국내 합성한 HMPAO 이용 $^{99m}Tc$ 표지 백혈구를 이용한 실험적 농양 스캔 ($^{99m}Tc-HMPAO$ Labelled WBC Scan in Experimental Abscess by Labelling Autologous Leukocytes With In-House-Synthesized HMPAO)

  • 이동수;신형식;안규리;정준기;이명철;최강원;고창순;정재민;정은주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52-258
    • /
    • 1991
  • With HMPAO we have synthesized in our laboratory, we labelled $^{99m}Tc$ to canine leukocytes. Experimental abscess made by subcutaneous injection with Staphylococcus aureus was imaged with these $^{99m}Tc$ labelled leukocytes. Labelling efficiency of HMPAO with $^{99m}Tc$ was $66.2%{\pm}14.6%$ (N=9). Labelling efficiency of leukocytes with $^{99m}Tc-HMPAO$ was $54%{\pm}7.7%$ (N=7). Cell bound radioactivity in $^{99m}Tc-HMPAO$ labelled leukocytes was around 80% when these cells were incubated in plasma in vitro at $37^{\circ}C$ for 5 hours. In vivo cell bound activity was over 80% at 24 hours after injection. One day and four days after inoculation, uptake at the inflammatory focus was found with $^{99m}Tc$ labelled leukocytes. Uptake showed up in 4 hour image, and the uptake at the lesion was most prominent in 24 hour image. These findings show that in-house-synthesized HMPAO could be used for labelling leukocytes with $^{99m}Tc$, and that s$^{99m}Tc-HMPAO-labelled$ leukocytes were so stable and viable that inflammatory focus could be visualized with these $^{99m}Tc-labelled$ leukocytes.

  • PDF

부원료를 혼합 첨가한 저식염 고추장의 발효 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Low Salted Kochujang Prepared with Mixture of Sub-materials)

  • 김동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49-455
    • /
    • 2005
  • 저식염 고추장을 제조하기 위하여 고추장의 소금농도를 9%에서 6%로 줄이고 알콜과 겨자, 키토산을 혼합첨가 하여 숙성중의 효소활성도와 미생물상 및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고추장의 ${\beta}$-amylase와 protease 활성은 알콜-겨자-키토산 혼합 첨가 고추장(EMC)에서 낮았으나 ${\alpha}$-amylase는 시험구간의 차이가 없었다. 고추장 숙성 후기의 효모수는 겨자의 혼합 첨가로 현저히 감소하였고 혐기성 세균수도 부원료의 첨가로 감소되었다. 고추장의 점조성은 부원료의 첨가로 증가되었으나 ORP는 키토산 첨가구에서 낮았다. 고추장의 색도는 알콜의 혼합 첨가로 숙성이 진행되면서 L, a, b 값 모두 저하되나 겨자-키토산 혼합 첨가(MC)로 증가되어 ${\Delta}E$의 변화가 적었다. 겨자-키토산 첨가 고추장은 숙성 중에 수분활성도의 저하는 적었으나, pH의 저하가 심하여 적정산도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고추장의 환원당은 부원료의 첨가로 증가하였으며, 알콜의 생성은 겨자-키토산 혼합 첨가로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고추장의 아미노태질소는 겨자-키토산 혼합 첨가로 증가되었으나 암모니아태 질소의 생성은 알콜-겨자 첨가구(EM)에서 낮았다. 고추장의 맛과 전체적인 기호도는 알콜-겨자를 혼합 첨가한 고추장에서 양호하여 저식염 고추장의 제조는 소금의 일부를 알코올과 겨자를 혼용하여 첨가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Aflatoxin B1에 대한 유산균의 결합력에 영향을 미치는 배양조건과 물리화학적 인자 (Incubation Conditions and Physico-Chemical Factors Affecting Aflatoxin B1 Binding of Lactic Acid Bacteria)

  • 임성미;안동현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53-26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숙성된 된장으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에 의한 aflatoxin $B_1$의 결합 정도를 배양조건에 따라 측정하였고, 물리화학적 처리조건이 aflatoxin $B_1$에 대한 유산균 세포의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Enterococcus faecium DJ22, Lactobacillus fermentum DJ35, Lactobacillus rhamnosus DJ42 및 Lactobacillus pentosus DJ47는 19.3-52.1% 정도의 aflatoxin $B_1$ 결합 효과를 나타내어 균종에 따라 결합력에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E. faecalis DJ14, Lactobacillus panis DJ29 및 Pediococcus halophilus DJ50 균주는 aflatoxin $B_1$에 대한 결합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Aflatoxin $B_1$에 대한 유산균의 결합력과 결합속도는 독소의 농도, 반응시간 및 온도와 초기 세포수 등의 배양 조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Aflatoxin $B_1$의 결합력은 세척 횟수에 따라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감소율은 살아있는 세포와 가열 처리한 세포에서 비슷하게 나타났다. 가열, 산성 pH, ${\alpha}$-amylase, protease, lysozyme 혹은 sodium metaperiodate의 처리에 의해 결합력이 유의하게 감소된 것으로 보아 주로 세포벽에 존재하는 당이나 단백질에 aflatoxin $B_1$이 결합되며, urea의 처리에 의해 결합력에 낮아지는 것은 이들 사이에는 소수성 결합이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오미자첨가 연근정과의 제조와 저장중 품질 변화 (Developm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tus Root Jeonggwa Admixed with Omija (the Medicinal Herb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Extract during Storage)

  • 권후자;최미애;박찬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57-465
    • /
    • 2010
  • 다양한 건강 기능성을 가진 오미자 추출물을 첨가하여 맛과 색상이 우수한 정과를 개발할 목적으로 연근 정과를 제조한 후 $25^{\circ}C$에 12주간 저장하면서 종합적인 품질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연근 정과의 pH와 산도는 오미자 첨가량이 많을수록 pH가 낮고 산도가 높았다. 저장초기의 수분함량은 약 8%였으며, 저장 2주까지 수분함량이 14-17%까지 증가한 후, 저장말기까지 큰 변화가 없었으며 대조군은 오미자 첨가구보다 수분함량이 낮았다. 연근 정과의 총균수는 저장 초기에 2.4~3.2 log CFU/g이었으며 저장 말기까지 4 log CFU/g에 미달되었으며 오미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총균수와 효모 곰팡이수는 낮은 균수를 유지하여 저장성이 향상되었다. 연근 정과의 저장중 색상은 오미자 첨가량이 많을수록 명도(L), 적색도(a), 황색도(b) 모두 대조군이 가장 높았으며 오미자 첨가량이 많을수록 유의적으로 낮은 색도를 유지하였다(p<0.001). 연근 정과의 저장중 물성은 저장초기에 오미자 첨가농도에 따른 차이가 컸으나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각 시료간의 물성 차이가 감소하였으며, 오미자 첨가량이 많을수록 견고성(hardness)과 강도(strength)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연근 정과의 저장중 기호도는 색상(color), 단맛(sweet taste), 신맛(sour taste), 씹힘성(chewiness), 뒷맛(after taste)과 종합적인 기호도(overall preference)에서 2~4%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기호성을 나타내어, 연근 정과 제조시에 오미자의 최적 첨가농도는 2~4%가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항균작용을 가진 수종 한약재의 구취억제 효과 (Deodorizing Effect of Several Antibacterial Medicinal Herbs on Oral Malodor)

  • 김현경;박재우;윤성우;류봉하;김진성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51-163
    • /
    • 2010
  • Objective: We investigated the oral malodor inhibitory effect of Scutellariae Radix (SR), Phellodendri Cortex (PC), Moutan Cortex (MTC) and Magnoliae Cortex (MGC) for the development of a gargle solution. Methods: 1. Against P. gingivalis and Pr. intermedia, the minimal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 and the change of viable cells that were exposed to 1% each herbal extract were observed. 2. Deodorizing activity of 2% herbal extract and Garglin $Mint^{(R)}$ against methyl mercaptan were evaluated by gas chromatography (GC). 3. We used the salivary sediment system (SSS) as the malodor model. 4. The clinical examination was repeated 3 times by 2 subjects by $Halimeter^{(R)}$. Baseline VSC of each subject was measured. Then, the control subject gargled with cysteine for 30 sec. After 4 min, subjects would gargle for 30 seconds with herbal extracts (2%) and Garglin $Mint^{(R)}$. Subsequently, the concentration of VSC was measured at 0, 4, 8, 12, 16, 20, 40 and 60 minutes. Results: 1. Against P. gingivalis, MBC of SR, PC and MTC was 0.1%, and MBC of MGC was 1%. Removal time of P. gingivalis was as follows; 5 hr in MGC, 24 hr in SR and PC, and 48 hr in MTC. Against Pr. intermedia, MBC of SR and PC was 0.5%, and MBC of MTC, MGC was 1%. Removal time of Pr. intermedia was as follows; 5 hr in MTC and 24 hr in SR, PC and MGC. 2. Deodorizing effect of herbal extracts against methyl mercaptan was as follows; MGC and MTC had 100%, SR had 82.22%, PC had 66.60%, Garglin $Mint^{(R)}$ had 40.54%. 3. In the experiment using SSS, PC and MTC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malodor-inhibitory effects (p<.05). 4. In the clinical examination, PC and MGC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s at every elapsed time compared to the control subject. MTC had that until 40 min. SR had that at 0, 4, 8, 20, and 60 min. Conclusions: SR, PC, MTC and MGC have an antibacterial effect and the chemical removable activity of the oral malodor caused by VSC. These four herbs could have potential as effective anti-malodor agents.

구강함수제 개발을 위한 오매, 비파엽, 오가피, 백지의 구취억제효과 연구 (Study on Deodorizing Effects of Mume Fructus, Eriobotryae Folium, Acanthopanacis Cortex and Angelicae Dahuricae Radix for the Development of a Gargle Solution)

  • 장선영;박재우;윤성우;류봉하;김진성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15-128
    • /
    • 2010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eodorizing effectsof medicinal herbs (Mume Fructus, Eriobotryae Folium, Acanthopanacis Cortex, Angelicae Dahuricae Radix) for development of a gargle solution. Methods: 1.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medicinal herbs were evaluated with the minimal bactericidal concentration (MBC) and the change of the number of viable cells in the herb extracts(1%) for 48 hrs against P. gingivalis 2561 and Pr. intermedia ATCC 25611. 2. Deodorizing activity of each herb and Garglin $Mint^{(R)}$gainst methyl mercaptan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GC). 3. We used the malodor modeling of the salivary sediment system with a Halimeter. 4. In the preliminary clinical study, the baseline concentration of VSC in the oral cavity of each subject was measured by Halimeter. Subjects would gargle for 30 seconds with cysteine. After 4 minutes subjects would gargle for 30 seconds with Garglin and herb extracts (2%). Subsequently, concentration of VSC were measured at 0, 4, 8, 12 and 20 minutes. Results: 1. MBC of Mume Fructusfor P. gingivalis 2561 was determined to be <1% and MBCs of Eriobotryae Folium for P. gingivalis 2561 and Pr. intermedia ATCC 25611 were determined to be <2% and <1%, respectively. Mume Fructus (1%) completely suppressed the P. gingivalis cell viability from 5 hrs and Eriobotryae Folium (1%) completely suppressed the Pr. intermedia cell viability from 48 hrs. 2. In GC analysis, deodorizing activities were 91.54% with Mume Fructus, 87.97% with Eriobotryae Folium, 100% with Acanthopanacis Cortex, 72.36% with Angelicae Dahuricae Radix and 40.54% with Garglin $Mint^{(R)}$. 3. In malodor modeling of the salivary sediment system, each of the medicinal herbs had significantly inhibitory effect on malodor formation (p<0.05). 4. In the preliminary clinical study, the concentration of VSC of the herb group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of the control group, but not in Garglin $Mint^{(R)}$. Conclusions: Mume Fructus, Eriobotryae Folium, Acanthopanacis Cortex and Angelicae Dahuricae Radixhave deodorizing activities and potential as an effective mouthwash against oral malodor.

시판 양념갈비에 오염된 병원성 미생물의 감마선 감수성 및 감마선 조사된 갈비의 관능적 품질특성 (Radio-sensitivity of Contaminated Pathogens in Marinated Beef Rib (Galbi) Treated with ${\gamma}-Irradiation$ and Its Sensory Properties)

  • 이나영;조철훈;강호진;김동수;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68-173
    • /
    • 2004
  • 시중에서 판매되는 양념갈비의 식품매개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정도를 확인하였으며, 포장방법을 달리하여 포장하여 감마선 조사한 후 저장기간에 따른 갈비의 미생물 안전성 및 조사선량에 따른 소비자 기호도를 조사하였다. 식품매개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은 B. cereus, S. typhimurium, E. coli 및 S. aureus는 모두 3-4 log cycle정도로 검출되어 시중에서 판매되는 갈비의 식품매개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정도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갈비의 조사선량에 따른 변화는 7.5 kGy로 감마선 조사할 경우 B. cereus를 제외하고 S. typhimurium 및 S. aureus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E. coli는 0일째에 1.47 log cycle정도 검출되었으나 $4^{\circ}C$ 저장 중에는 검출되지 않았다. 멸균된 갈비와 양념갈비의 방사선 감수성은 B. cereus가 방사선 조사에 대한 내성이 가장 강한 균주로 나타났다. 감마선 조사에 따른 갈비의 관능 특성은 조리되지 않은 갈비의 경우 항은 비조사구가 높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색은 조사구가 높은 평가를 받았다. 조리된 갈비의 경우 함기포장한 갈비는 조직감, 맛 및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고, 진공포장한 시료의 경우 맛은 7.5kGy로 조사한 갈비를 제외한 0. 2.5 및 5.0kGy로 조사된 갈비는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전체적인 기호도는 0 및 2.5kGy로 조사된 갈비가 가장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