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able cell

검색결과 1,155건 처리시간 0.032초

격막 방식에 따라 제조한 전해수의 세척 및 보관 효과 (Cleaning and Storage Effect of Electrolyzed Water Manufactured by Various Electrolytic Diaphragm)

  • 김명호;정진웅;조영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60-169
    • /
    • 2004
  • 격막 및 무격막 방식의 전해수 처리에 의한 샐러리 및 생굴의 세정처리에 따른 살균 및 저장성 효과를 조사하였다. 샐러리를 대상으로 세정처리에 따른 저장중의 품질변화를 살펴본 결과, 총균수는 전해수 처리구에서 무처리구에 비하여 약 1/200∼1/1,000 수준, 대장균군수는 약 1/100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수분함량, pH, 경도, 비타민 C 및 잔류염소 함량 등의 변화는 저장 10일째까지 처리구에 관계없이 거의 유사한 경향을 보이거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는 모든 처리구에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L값과 a값은 서서히 증가함을 보여 주었으며, 색차($\Delta$E)값은 저장 5일 경과 후부터는 처리구에 관계없이 6 수준으로 초기치와의 차이를 식별할 수 있는 정도로 나타났다. 종합적 기호도는 전해수 처리구는 저장 후 5일째까지는 수도수 및 염소계 세정제로 처리한 샐러리에 비해 다소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저장 5일째 이후는 수도수 및 염소계 세정제로 처리한 샐러리와 유사하거나 다소 떨어지는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무격막 시스템으로 제조한 약알칼리성 전해수로 처리한 생굴은 해수로 처리한 시료에 비해 보관 48시간 후 VBN은 약 3 mg%, 총균수는 약 1∼2 log cycle, 대장균은 2 log cycle 정도 낮은 값을 나타내었고 또한, 처리직후 총균수도 해수로 처리한 생굴에 비해 1 log cycle 정도 낮은 초기 수준을 보이며 보관 24∼48시간까지는 뚜렷한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다.

초고압처리에 의한 저염 멸치젓의 품질 변화 (Changes in Quality of Low Salt Fermented Anchovy by High Hydrostatic Pressure Treatment)

  • 임상빈;양문식;김수현;목철균;우건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11-116
    • /
    • 2000
  • 전통식품인 저염젓갈을 대상으로 비열처리방법인 초고압가공법을 적용하여 미생물 살균효과와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멸치젓의 생균수는 $20^{\circ}C$에서 처리압력의 증가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다가 처리압력을 400MPa로 증가시켰을때 급격히 감소하였고, 300 MPa에서 처리온도를 $50^{\circ}C$로 증가시켰을 경우에는 7배 이상 감소되었으며, 처리시간의 증가에 따라 급격히 감소되었다. 과산화물가는 처리압력, 온도, 시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그 중 처리온도가 가장 큰 영향인자였다. TBA가는 초고압 처리 전후에 약 2배 이상 증가하여 그 변화 폭은 컸으나, 처리조건에 따른 변화는 적었다. VBN은 초고압 처리 전후와 처리조건에 따라 다소 증가하거나 감소하였으나 거의 비슷하였다. 아미노태질소 함량은 온화한 초고압 처리조건에서는 변화가 적었으나, 처리온도, 압력, 시간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처리온도에 따른 증가폭이 가장 컸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젓갈의 위생적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품질 향상을 위해서는 가능한 낮은 온도와 압력 조건에서 처리시간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었는데, 이를 고려하여 볼 때 젓갈의 최적 처리조건은 $20^{\circ}C/300\;MPa/15\;min$이었다.

  • PDF

L. bulgaricus 와 S. thermophilus 의 단독 및 혼합배양에 의한 요구르트의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특성 (Pysicochemical and Bacteriological Properties of Yogurt made by Single or Mixed Cultures of L. bulgaricus and S. thermophilus)

  • 이신호;구영조;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0-147
    • /
    • 1988
  • L. bulgaricus FRI025와 S. thermophilus CH1을 Starter로 단독및 혼합 배양하여 요구르트 제조중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변화를 비교 검토한결과 단독으로 배양하였을때 보다 혼합 배양하였을때 산생성, 유산균의 성장 등이 증진되었으며 L. bulgaricus FRI025와 S. thermophilus CH1을각각 1:1, 1:2로 혼합 배양하여 요구르트를 제조한 결과 1:1로 혼합 배양한 경우가 더 효과적 이었으며 적정 배양시간은 mild yogurt의 경우 8시간 acid yogurt의 경우 $9{\sim}10$시간으로 추정되었고 배양 9시간째 pH 4.08 산도 1.14% lactose이용율 24.74, 유산균수 $2.5{\times}10^{10}/ml$ 그리고 점도는 2100CP이었다. $4^{\circ}C$에서 7일간 저장후 요구르트의 품질 변화는 pH와 생균수는 감소하였고 산도와 점도는 증가하였다. 고형분 함량 14%인 환원 탈지유에 L. bulgaricus FRI025와 S. thermophilus CH1을 1:1로 혼합한 starter와 시판 호상 요구르트에 사용되는 starter를 사용하여 산도, 유산균 성장, 기호성에 관해 비교한 결과 분리 균주인 bulgaricus FRI025와 S. thermophilus CH1을 사용한 경우가 시판 호상요구르트 starter를 사용한 경우보다 산생성이나 유산균 성장이 양호 하였으며 기호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 PDF

프로폴리스 첨가 명태 연육 튀김어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Fried Fish Paste of Alaska Pollack Meat Paste Added with Propolis)

  • 김광우;김가현;김정식;안효영;허길원;박인숙;김옥선;조순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85-48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프로폴리스를 명태 연육에 각각 0.17%, 0.34%, 0.51%, 0.67% 및 0.84%로 수분함량을 조절하여 첨가한 명태 연육 튀김어묵을 제조한 다음 과산화물가, 색도, 총 균수 변화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프로폴리스 첨가 튀김어묵제품에서의 항균.항산화효능을 분석 평가하였다. 튀김어묵의 과산화물가는 저장기간이 증가됨에 따라 대조구에 비하여 프로폴리스 첨가 명태 연육 튀김어묵의 과산화물가가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프로폴리스 함량이 증가할수록 과산화물가 함량이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명태 연육튀김어묵의 겔 강도를 측정해 본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프로폴리스 첨가군에서 겔 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프로폴리스 함량이 증가할수록 겔 강도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색도에서는 명태 연육 튀김어묵의 프로폴리스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감소하였으나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 관능검사를 측정한 결과 0.17% 프로폴리스 첨가 튀김어묵에서 전체적으로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프로폴리스를 함유한 고품질 어묵의 제조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군자탕(四君子湯) 재료를 첨가한 스폰지 케이크의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 added with the ingredients of Sagoonja-Tang)

  • 남혜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1066-107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사군자탕 구성 재료의 기능성을 연구하고자 사군자탕가루를 스폰지 케이크에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케이크에 대한 한약재의 첨가량은 6%로 5개(S1(사군자탕가루), S2(인삼가루), S3(백복령가루), S4(백출가루), S5(감초가루))의 첨가군으로 구성하였다. 한약 재료의 첨가에 따라 완제품의 부피감소가 SC> S1>S3>S2>S4>S5 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제품의 저장 중 미생물학적 품질 평가에서 생균수는 S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SC는 저장 7일째에 $9{\times}10^7CFU/g$로 가장 높다가 저장 10일째에는 $2.5{\times}10^6CFU/g$으로 감소하였다. 한약재가 들어간 다른 시료에서는 낮게 나타나 특히 S5의 경우 같은 7일째에 $1.2{\times}10^2CFU/g$으로 적게 나타났다. 제품의 조직특성은 견고성, 점착성, 씹힘성이 SC에 비해 다 높은 값을 가졌다. 항산화성을 측정한 결과 과산화기질 생성억제효과의 크기는 스폰지 케이크에서 S5>S4>S3>S2>S1>SC의 순으로 나타나 한약 재료의 첨가군의 항산화효과가 나타났다. 관능검사에서는 전체적인 기호도는 SC에 비해 S3가 가장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S3>SC,S2>S1>S5>S4순으로 전체적인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어수리분말 첨가 국수의 품질특성 및 저장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helf Life of Noodles Prepared with Heracleum moellendorffii(Hogweed) Powder)

  • 남유화;홍주헌;윤광섭;노홍균;이신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02-607
    • /
    • 2010
  • 어수리의 실용적인 활용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어수리 분말을 첨가하여 생면을 제조하고. 이들 면의 품질특성과 저장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어수리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국수의 중량, 부피 및 수분흡수율이 감소하였다. 어수리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국수 국물의 탁도와 조리중 고형분 손실량이 대조구에 비해 낮았다. 어수리 분말 첨가에 의해 생면의 명도(L)와 적색도(a)는 감소하였으며, 황색도(b)는 증가하였다. 어수리 분말 첨가에 의해 국수의 기호성은 증가하였으며, 0.6%첨가 국수가 기호성 즉 맛, 조직감, 종합적기호도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어수리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전자공여능은 대조구 22%, 어수리 분말 0.6%와 0.9%첨가구는 각각 40.22%와 49.42%이었다. 저장 중 미생물의 변화는 저장 6일째까지 대조구와 첨가구(0.3 - 0.6%)간에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저장 12일째 대조구, 0.3% 그리고 0.6%첨가구는 $10^6$ CFU/mL이었으나, 어수리 분말 0.9%첨가 국수는 $10^3$ CFU/mL이었다. 저장 중 pH의 변화는 대조구와 0.3%, 0.6%첨가구는 유사하였으나 0.9% 첨가구는 전 저장기간 동안 pH의 변화가 지연되었다.

프로바이오틱 제품 개발 동향과 과제 (Development of Probiotic Products and Challenges)

  • 서재구;이과수;김진응;정명준
    • KSBB Journal
    • /
    • 제25권4호
    • /
    • pp.303-310
    • /
    • 2010
  • 프로바이오틱스는 위장관에서 고유의 생리활성을 발휘하기 때문에 섭취 후 최대한 장까지 사멸하지 않고 도달하도록 하는 코팅이나 encapsulation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이와 함께 제품의 형태도 여러 종류의 유산균이 포함된 multispecies probiotics가 선호되는 추세이며 높은 생균수를 가지는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프로바이오토틱 시장은 현재까지 생균 중심의 제품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사균체 제품 또는 박테리오신과 같은 항균물질을 포함하는 제품 또한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고 생균제와 비교하여 여러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어 관련 제품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프로바이오틱 제품들은 살아 있는 생균제로서 질환특이적 효능을 바탕으로 개발되고 있으나 질환개선 효능 표시에 대한 규제가 강화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제품에 사용된 strain의 동정, 안전성 및 기능성에 대한 과학적 증거가 제시되어야 할 것이며 임상을 통한 안전성과 효능에 대한 검증 자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프로바이오틱스 제품의 헬스클레임에 대한 엄격해진 검증은 앞으로 프로바이오틱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High cell density cultivation of Bacillus sp.

  • 이백석;채원복;조재희;최기현;김영범;최성원;김은기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90-293
    • /
    • 2001
  • 본 연구는 Bacillus sp.의 고농도 생산을 위한 최적배지 조건의 확립과 배양중 발생하는 foam control에 대해 알아보았다. PBD와 “one factor at a time", BBD로 이여지는 배지 최적화 과정을 통해 최초 생산 배지에서의 균체량보다 100% 이상의 향상된 균사체량을 볼 수 있었다. 또한 scale-up 과정에서 발생하는 foam control를 위해 각기 다른 type의 antifoam을 사용하였는데, 적당한 농도에서 좋은 생장을 보이고 있었고, vegetable oil은 foam control과 값비싼 탄소원인 soluble starch을 대신할 수 있는 좋은 기질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배양액 내의 산소를 잡고 있으면서 좋은 전달자의 역학을 하여 급격한 DO의 감소를 막아주었다.

  • PDF

태양전지-연료전지 복합 전력시스템에 대한 환경평가에 관한 연구 (Environmental Evaluation for a Photovoltaic-Fuel Cell Hybrid Power System)

  • 노경수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83-88
    • /
    • 1998
  • 본 논문은 태양전지 연료전지 복합 전력시스랩에 대한 환경평가를 다목적함수의해 선정 보조시스템의 하나언 이상점 기법올 통하여 다루고자 한다. 그에 대한 평가는 발전소 건설에 필요한 부지량과 건설에서 해체때까지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관점에서 이루어지며 그 결과는 기존의 화석연료 발전시스템들과 비교되어진다. 연료전지 발전은 이미 변덕스러운 날씨하에서 극심한 태양전지의 출력량 변회를 보상하기 위한 적절한 발전기술엄이 증명 되었다. 가장 적은 부지량을 필요로 하는 연료전지 발전은 태양전지 발전시스템의 과도한 부지 펼요량올 경감시 킬 수 있으며 그 태양전지-연료전지 복합 전력시스템은 건셜에서 해체때까지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면에서도 가장 적은 영향올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

  • PDF

Comparison of Various Transfection Methods in Human and Bovine Cultured Cells

  • Jin, Longxun;Kim, Daehwan;Roh, Sangho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9권4호
    • /
    • pp.177-185
    • /
    • 2014
  • Transfection is a gene delivery tool that is a popular means of manipulating cellular properties, such as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 generation by reprogramming factors (Yamanaka factors). However, the efficiency of transfection needs to be improved. In the present study, three transfection protocols - non-liposomal transfection (NLT), magnetofection and electroporation - were compared by analysis of their transfection efficiencies and cell viabilities using human dental pulp cells (hDPC) and bovine fetal fibroblasts (bFF) as cell sources. Enhanced green fluorescent protein gene was used as the delivery indicator. For magnetofection, Polymag reagent was administrated. NLT, FuGENE-HD and X-treme GENE 9 DNA transfection reagents were used for NLT. For electroporation, the $Neon^{TM}$ and $NEPA21^{TM}$ electroporators were tested. $Neon^{TM}$ electroporation showed highest transfection efficiency when compared with NLT, magnetofection, and $NEPA21^{TM}$ electroporation, with transfection efficiency of about 33% in hDPC and 50% in bFF, based on viable cell population in each cell typ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ransfection by $Neon^{TM}$ electroporation can be used to deliver foreign genes efficiently in human and bovine somatic cel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