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ntricular

검색결과 2,088건 처리시간 0.023초

안지오텐신 ll 수용체 길항약 CJ-10513이 고민도 심실 pacing 천에서의 혈행동태에 미치는 영향 (Acute Hemodynamic Effects of CJ-10513, an Angiotensin IIReceptor Antahonest, in Dog Treated with High Friquency Ventricular Pacing)

  • 김영훈;정성목;신재규;최재묵;정성학;배훈;이건호;김제학;안양수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6권2호
    • /
    • pp.199-203
    • /
    • 1998
  • Acute hemodynamic effects of CJ-18513, a non-peptide angiotensin IIreceptor antagonist, were examined in mongrel dogs treated with high frequency ventricular pacing for one week. Rapid ventricular pacing reduced mean blood pressure (mBP), Lvdp/dt and cardiac output (CO), and increased the left ventricular end-diastolic pressure (LVEDP) and pulmonary capillary wedge pressure (PCWP). Continuous infusion of CJ-10513 at doses of 10 and 20$\mu$g/kg/min, respectively, for 30 minutes reduced mBP, LVEDP and myocardial oxygen consumption rate (MVO,) and shifted the cardiac function curve (CO-LVEDP ourve) to the left in this dog model. In conclusion, CJ-10513 decreased the preload and afterload and increased the cardiac function in dogs with pacing-induced heart failure.

  • PDF

히스티딘-리치 $Ca^{2+}$ 결합 단백질에 의한 심실근세포 수축 및 $Ca^{2+}$ Transient의 조절 (Regulation of Contraction and $Ca^{2+}$ Transient by Histidine-rich $Ca^{2+}$-binding Protein in Ventricular Myocytes)

  • 손민정;김준철;김성우;안종렬;우선희
    • 약학회지
    • /
    • 제56권6호
    • /
    • pp.377-381
    • /
    • 2012
  • The histidine-rich $Ca^{2+}$ binding protein (HRC) is a $Ca^{2+}$ binding protein in the sarcoplasmic reticulum (SR).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the HRC is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cardiac contraction and $Ca^{2+}$ signaling using HRC knock-out (KO) mouse ventricular myocytes. In field-stimulated single mouse ventricular myocytes, cell shortenings and $Ca^{2+}$ transients were measured using a video edge detection and a confocal $Ca^{2+}$ imaging,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wide-type (WT) myocytes, the magnitudes of cell shortenings were significantly larger in HRC KO cells (P<0.01, WT vs. KO). The rate of contraction and relaxation was significantly accelerated in HRC KO myocytes (P<0.05 and P<0.01, respectively, WT vs. KO). The magnitudes of $Ca^{2+}$ transients were increased by HRC KO (P<0.01, WT vs. KO). In addition, the decay of the $Ca^{2+}$ transient was faster in HRC KO cells than in wild-type cells P<0.01, WT vs. KO). These results suggest that HRC may suppress SR $Ca^{2+}$ releases and decay of $Ca^{2+}$ transients during action potentials, thereby attenuating ventricular contraction and relaxation.

Unsolved Questions on the Anatomy of the Ventricular Conduction System

  • Oh, Il-Young;Cha, Myung-Jin;Lee, Tae-Hui;Seo, Jeong-Wook;Oh, Seil
    • Korean Circulation Journal
    • /
    • 제48권12호
    • /
    • pp.1081-1096
    • /
    • 2018
  • We reviewed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nduction system in the ventricles of human and ungulate hearts and then raised some questions to be answered by clinical and anatomical studies in the future. The ventricular conduction system is a 3-dimensional structure as compared to the 2-dimensional character of the atrial conduction system. The proximal part consisting of the atrioventricular node, the bundle of His and fascicles are groups of conducting cells surrounded by fibrous connective tissue so as to insulate from the underlying myocardium. Their location and morphological characters are well established. The bundle of His is a cord like structure but the left and right fascicles are broad at the proximal and branching at the distal part. The more distal part of fascicles and Purkinje system are linear networks of conducting cells at the immediate subendocardium but the intra-mural network is detected at the inner half of the ventricular wall. The papillary muscle also harbors Purkinje system not in the deeper part. It is hard to recognize histologically in human hearts but conducting cells as well as Purkinje cells are easily recognized in ungulate hearts. Further observation on human and ungulate hearts with myocardial infarct, we could find preserved Purkinje system at the subendocardium in contrast to the damaged system at the deeper myocardium.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on the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is peripheral conduction system so as to correlate the clinical data on hearts with ventricular arrhythmias.

게이트심장혈액풀검사에서 딥러닝 기반 좌심실 영역 분할방법의 유용성 평가 (Evaluating Usefulness of Deep Learning Based Left Ventricle Segmentation in Cardiac Gated Blood Pool Scan)

  • 오주영;정의환;이주영;박훈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45권2호
    • /
    • pp.151-158
    • /
    • 2022
  • The Cardiac Gated Blood Pool (GBP) scintigram, a nuclear medicine imaging, calculates the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EF) by segmenting the left ventricle from the heart. However, in order to accurately segment the substructure of the heart, specialized knowledge of cardiac anatomy is required, and depending on the expert's processing, there may be a problem in which the left ventricular EF is calculated differently. In this study, using the DeepLabV3 architecture, GBP images were trained on 93 training data with a ResNet-50 backbone. Afterwards, the trained model was applied to 23 separate test sets of GBP to evaluate the reproducibility of the region of interest and left ventricular EF. Pixel accuracy, dice coefficient, and IoU for the region of interest were 99.32±0.20, 94.65±1.45, 89.89±2.62(%) at the diastolic phase, and 99.26±0.34, 90.16±4.19, and 82.33±6.69(%) at the systolic phase, respectively. Left ventricular EF was calculated to be an average of 60.37±7.32% in the ROI set by humans and 58.68±7.22% in the ROI set by the deep learning segmentation model. (p<0.05) The automated segmentation method using deep learning presented in this study similarly predicts the average human-set ROI and left ventricular EF when a random GBP image is an input. If the automatic segmentation method is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functional examination method that needs to set ROI in the field of cardiac scintigram in nuclear medicine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o greatl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efficiency and accuracy of processing and analysis by nuclear medicine specialists.

In search of subcortical and cortical morphologic alterations of a normal brain through aging: an investigation by computed tomography scan

  • Mehrdad Ghorbanlou;Fatemeh Moradi;Mohammad Hassan Kazemi-Galougahi;Maasoume Abdollahi
    • Anatomy and Cell Biology
    • /
    • 제57권1호
    • /
    • pp.45-60
    • /
    • 2024
  • Morphologic changes in the brain through aging, as a physiologic process, may involve a wide range of variables including ventricular dilation, and sulcus widening. This study reports normal ranges of these changes as standard criteria. Normal brain computed tomography scans of 400 patients (200 males, 200 females) in every decade of life (20 groups each containing 20 participants) were investigated for subcortical/cortical atrophy (bicaudate width [BCW], third ventricle width [ThVW], maximum length of lateral ventricle at cella media [MLCM], bicaudate index [BCI], third ventricle index [ThVI], and cella media index 3 [CMI3], interhemispheric sulcus width [IHSW], right hemisphere sulci diameter [RHSD], and left hemisphere sulci diameter [LHSD]), ventricular symmetry. Distribution and correlation of all the variables were demonstrated with age and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 was reported for age prediction. Among the various parameters of subcortical atrophy, BCW, ThVW, MLCM, and the corresponding indices of BCI, ThVI, and CMI3 demonstrat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ge (R2≥0.62). All the cortical atrophy parameters including IHSW, RHSD, and LHSD demonstrat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ge (R2≥0.63). This study is a thorough investigation of variables in a normal brain which can be affected by aging disclosing normal ranges of variables including major ventricular variables, derived ventricular indices, lateral ventricles asymmetry, cortical atrophy, in every decade of life introducing BW, ThVW, MLCM, BCI, ThVI, CMI3 as most significant ventricular parameters, and IHSW, RHSD, LHSD as significant cortical parameters associated with age.

결핵후 폐기종과 원발성 폐기종에서 우심질 기능의 차이 (Difference in Right Ventricular Function between Post-tuberculosis Emphysema and Primary Emphysema)

  • 김명아;김상현;정희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2호
    • /
    • pp.97-107
    • /
    • 2001
  • 연구배경 : 결핵에 의해 폐실질의 손상과 혈관 자체의 손상이 발생하고, 폐결핵의 만성 후유증으로 병발하는 이차성 폐기종에 의해 추가적인 폐혈관상의 손상이 초래된다. 그러므로 폐의 관류장애는 원발성 폐기종보다 결핵후 폐기종에서 더 심한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결핵후 폐기종에서 우심의 기능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되나,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결핵후 폐기종과 원발성 폐기종에서 우심 기능의 차이를 알아보고, 유의한 차이가 있다면 그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병력 및 HRCT 결과, 폐기능검사 소견을 종합하여, 결핵후 폐기종 또는 원발성 폐기종을 진단하였다. 1초시 강제호기량과 노력성폐활량이 서로 비슷한 결핵 후 폐기종 환자와 원발성 폐기종 환자 20명을 선정하였다. 이들 환자를 대상으로 안정 시와 증상한계 운동부하 후 동맥혈가스분석과 심초음파검사들 시행하였다. 우심의 기능은 변형된 Simpson씨 법으로 박출계수를 산정하여 평가하였다. 결 과:대상환자들의 임상적 특성이나 폐기능검사 지표 상 두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동맥혈 가스분석 상 결핵후 폐기종군에서 안정 시와 운동 후 모두 이산화탄소압이 높고(안정 시 $42.9{\pm}4.7$ vs $38.8{\pm}3.1\;mmHg$, p<0.05 ; 운동 후 $47.9{\pm}7.0$ vs $41.1{\pm}5.9$, p<0.01) 우심실기능은 낮았다(안정 시 $57.6{\pm}6.5$ vs $61.4{\pm}4.7\;%$, p<0.01 ; 운동 후 $51.1{\pm}10.8$ vs $59.8{\pm}6.6\;%$, p<0.01). 또 운동 후 산소분압 역시 낮았으며($65.7{\pm}12.6$ vs $80.2{\pm}14.4\;mmHg$, p<0.01), 안정 시 산소분압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82.9{\pm}12.0$ vs $87{\pm}7.5$, p>0.05). 양군 모두에서 우심의 박출계수는 운동 후의 산소분압(결핵후 폐기종 r=0.536, 원발성 폐기종 r=0.557), 그리고 안정 시(결핵후 폐기종 r=-0.576, 원발생 폐기종 r=-0.588) 및 운동 후(결핵후 폐기종 r=-0.764, 원발성 폐기종 r=-0.619)의 이산화탄소분압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 환기기능이 비슷한 경우 결핵후 폐기종에서는 원발성 폐기종에 비해 우심의 기능과 가스교환능이 현저히 떨어져 있어, 결핵후 폐기종에서 폐의 가스교환은 우심실 기능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심실중격결손 교정술 전후의 심실 수축기 시간 간격 (Ventricular Systolic Time Interval)의 변화 (Effect of Surgical Closure of Ventricular Septal Defect on Ventricular Systolic Time Intervals)

  • 이현경;이영환;이장훈;김도형;백종현;이동협;이정철;한승세;정태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7호
    • /
    • pp.511-516
    • /
    • 2002
  • 배경: 단순 심실중격결손증의 수술적 교정이 심실 수행능력의 지표로 사용되는 심실 수축기 시간 간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심초음파를 이용하여 심실 수축기 시간 간격을 측정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상 환아는 비제한성 심실중격결손을 가진 30명으로 수술 당시 환자들의 평균 나이는 6.5$\pm$3.2개월이었다. 심초음파를 이용한 추적 평가 항목은 좌심방/대동맥 내경비, 좌심실 구축율, 좌심실 수축기 시간간격 및 우심실 수축기 시간 간격을 조사하였다. 심초음파는 술 전과 술 후(술 후 첫 번째: 수술 후 2주이내, 술 후 두 번째: 수술 후 4~6개월, 술 후 세 번째: 수술 후 1~2년)에 실시하였다. 결과: 좌심방/대동맥 비는 수술 직후 감소하였으나(1.74$\pm$0.37 to 1.36$\pm$0.24*, 1.32$\pm$0.22*, and 1.27$\pm$0.19*, p<0.01:술 전과 비교), 좌심실 구축률은 추적 기간 동안 유의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65.1$\pm$7.0 to 62.3$\pm$$\pm$9.5, 62.8$\pm$5.7, and 64.1$\pm$6.9 단위 %). 좌심실 수축기 시간 간격(LVPEP/LVET)은 술 후 두 번째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지속적으로 유의한 감소 추세를 보였다(0.46$\pm$0.13 to 0.46$\pm$0.11, 0.37$\pm$0.08*, and 0.34$\pm$0.07*, p<0.01:술 전과 비교). 우심실 수축기 시간 간격(RVPEP/RVET)은 술 후 1년이 경과 한 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0.33$\pm$0.08 to 0.32$\pm$0.08, 0.31$\pm$0.07, and 0.27$\pm$0.05*, p<0.01:술 전과 비교). 결론: 심실중격결손증 수술 후 심실의 수축기 시간 간격은 술 후 1년 후까지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이 기간동안에는 추적관찰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토끼에서 Myocardial Infarction 후 Left Ventricular Remodeling에 대한 Matrix Metalloproteinase의 차단 효과 (The Effect of Matrix Metalloproteinase Inhibitor for Left Ventricular Remodeling after Myocardial Infarction in a Rabbit Model)

  • 김수현;정태은;홍그루;한승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5호
    • /
    • pp.329-340
    • /
    • 2007
  • 배경: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차단은 심근경색 후 좌심실 확장에 대한 가능한 치료 전략으로 대두되고 있다. 선택적 MMP 차단제의 투여가 심근경색 후 초기 단계에 MMP가 대량으로 분비되는 짧은 기간을 차단하는 것이 좋을 것인지, 초기 전체 기간 동안 차단하여야 할 것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토끼를 이용하여 기관 삽관 하에 전신 마취를 하고 흉골 정중절개한 다음 좌전 하행지 관상동맥을 결찰하여 심근경색을 만들었다. 실험군은 3군으로 나누었다. 심근경색 단독(MI only 군)군은 7예, MMP 차단제 5일 투여군(MMPI 5d 군)은 6예, MMP 차단제 9일 투여군(MMPI 9d 군)은 5예이었다. MMP 차단제로는 MMP-2와 MMP-9에 대한 선택적 차단제인 CG2300을 사용하였다. 각 군은 심장초음파도 검사를 4회 시행하였는데, 술 전, 술 후 1주, 2주 및 3주에 하였다. 검사는 2D 심초음파도를 사용하여 EDD, ESD 및 EF를 측정하였다. 술 후 4주에 희생한 토끼의 심장을 western blotting과 zymography를 하여 MMP-2와 MMP-9의 단백질과 활성의 변화를 조사하였고, 경색부위를 병리학적 조직검사를 하였다. 결과: 심초음파도 검사상, MI only군에서는 대체로 술 전에 비하여 술 후 EDD와 ESD가 증가한 추세로 좌심실이 확장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MMP 차단제 9일 투여군에서는 심근경색 단독군과 MMP 차단제 5일 투여군에 비해 좌심실의 확장이 감소한 경향을 보였다. EF는 MMP 차단제 9일 투여군에서 술 후에 술 전과 큰 변동이 없었으며, 다른 군들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MMP 단백질의 발현과 활성 변화를 보면, 심근경색 단독군, MMP 차단제 5일 및 9일 투여군 등 3군을 정상 심장군과 비교하였을 때 MMP-2 단백질 발현과 활성 변화는 일어나지 않았다. 그리고 MMP-9의 단백 발현 및 활성은 검출되지 않았다. 병리학적 조직 소견을 보면 심근경색 단독군에서 심한 교원질 침착이 있었다. MMP 차단제 5일 투여군과 9일 투여군에서는 교원질 축적이 감소된 경향을 보였다. MMP 9일 투여군에서는 모세혈관의 수가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 관상동맥을 결찰하여 심근경색을 유도하면 술 후 빠른 시간 내에 심실이 확장되며 MMP 차단제를 투여할 경우 심실의 확장이 완화됨을 알 수 있었다. MMP 차단제의 효과는 초기의 대부분 기간을 차단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된다. MMP 차단제가 혈관신생을 증가시켜 심실 재형성을 완화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Biomedicus pump를 이용한 개심술후 심실보조 (Postcardiotomy Ventricular Support with Biomedicus Pump)

  • 김원곤;이창하;김기봉;안혁;노준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1호
    • /
    • pp.1218-1222
    • /
    • 1996
  • 근래에 와서 심장수술 기법 및 심근보호법의 현저한 향상에도 불구하고 심장수술 환자들의 약 0.1~0.8 % 에서는 여전히 심장수술후 약물 치료나 대동맥 풍선펌프 등의 전통적인 치료법에 반응하지 않는 급성 심부전증이 발생하고 있다. 이런 환자들에서는 보다 적극적인 순환보조법으로 심실보조를 시행할 필요가 있는데, 현재 이런 목적으로 원심성 펌프가 비용이 비교적 저렴하고 사용하기 편리하다는 점에서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국내에서는 이러한 심실보조장치로서의 원심성펌프의 사용에 관한 문헌 보고가 매우 드문 실정이다. 1992년 1월 부터 1996년 1월 까지 서울대학병원에서는 총 2986례의 개심술이 시행되었는데, 이들 환자 중 모두 10명에서 심장수술후 전통적인 치료법에 반응하지 않는 심부전증이 발생하여 Biomedicus 원심성 펌프를 이용한 심실보조를 시행하였다. 10명의 환자중 남자가 8명 여자는 2명이였으며 평균 연령은 50$\pm$20세였다(범위; 9세~77세). 환자들이 받은 수술로는 6명의 환자가 관상동맥우회수술을 받았으며 이중2명의 환자는 관상동맥우회수술과 함께 대동맥판막치환수술을 시행받았다. 그밖에 대동맥박리증 수술 2례, 그리고 폐색전제거술 및 심장이식수술이 각각 1례씩 있었다. 심실보조 형태로는 전체 환자 중 5명의 환자에서 좌심실 보조를 시행하였으며 1명에서 우심실보조 그리고 4명에서 양심실보조를 시행하였다. 심실보조 기간은 평균 76$\pm$51시간이였다(범위; 24시간~175 시간). 10명중 7명에서 심실보조 장치 이탈이 가능하였고 이중4명이 생존하여 퇴원하였다. 사망 환자들의 사망 원인으로는 진행성 심부전증 2례, 그리고 다장기 부전증, 심실세동, 비가역적 뇌손상, 기계적 문제가 각각 1례씩이였다. 사망환자와 생존 퇴원환자간의 심폐바이패스시간, 대동맥차단시간, 심실보조시간에서 통계학적인 차이는 없었다. 원심성 심실보조장치 삽입에 연관된 주된 합병증으로는 출혈(7), 급성 신부전증(6), 감염(3), 그리고 신경학적 합병증(2)등이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원심성 펌프는 단기 순환보조용으로 비교적 만족한 결과로 사용될 수 있었다.

  • PDF

Suction Detection in Left Ventricular Assist System: Data Fusion Approach

  • Park, Seong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rol, Automation, and Systems
    • /
    • 제1권3호
    • /
    • pp.368-375
    • /
    • 2003
  • Data fusion approach is investigated to avoid suction in the left ventricular assist system (LVAS) using a nonpulsatile pump. LVAS requires careful control of pump speed to support the heart while preventing suction in the left ventricle and providing proper cardiac output at adequate perfusion pressure to the body. Since the implanted sensors are usually unreliable for long-term use, a sensorless approach is adopted to detect suction. The pump model is developed to provide the load coefficient as a necessary signal to the data fusion system without the implanted sensors. The load coefficient of the pump mimics the pulsatility property of the actual pump flow and provides more comparable information than the pump flow after suction occurs. Four signals are generated from the load coefficient as inputs to the data fusion system for suction detection and a neural fuzzy method is implemented to construct the data fusion system. The data fusion approach has a good ability to classify suction status and it can also be used to design a controller for LV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