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getation unit

검색결과 179건 처리시간 0.027초

Landsat-8 위성을 통한 토지피복 변화와 지하수 함양량 상관성 고찰 (A Study on the Corelation between the Variation of Land Cover and Groundwater Recharge Using the Analysis of Landsat-8 OLI Data)

  • 박승혁;정교철
    • 지질공학
    • /
    • 제30권3호
    • /
    • pp.347-378
    • /
    • 2020
  • SWAT-MODFLOW의 월평균 수문성분 자료를 바탕으로 지하수 함양관련 토양층의 측방유출, 침루량을 산정하는 기본자료인 수문응답단위(HRU)와 이를 구성하는 토지피복, 토지이용, 토양통에서 영향이 큰 지하수 함양량 인자를 분석하였다. 봄, 가을별 bare soil line(BSL)을 통해 PVI를 분석하고 기존의 NDVI, NDTI, NDRI와 함께 함양량 분포와 토양-식생관련 지수의 빈도분석과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비정규분포 양상을 보이는 NDVI와 NDTI에서 매우 유의한 양의 상관성이 확인되었다. 연구지역의 bare soil line 기울기는 약 1.092~1.343, 절편은 약 -0.004~-0.015이며 상대적으로 월평균강우량이 우세한 5월에는 Red밴드가 다른 시기에 비해 약 3~4배 증가하고 2012년 Singhal and Goyal의 결과와 같이 포물선 형태의 유일한 1개의 변곡점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강우를 고려하여 지하수 함양과 토양-식생관련 지수에 대한 다양한 경우의 상관성 분석이 수행된다면, 위성영상자료를 통해 토양-식생에 따른 함양량 변화도 추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ssessment of absorption ability of air pollutant on forest in Gongju-city

  • Eom, Ji-Young;Jeong, Seok-Hee;Lee, Jae-Se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1권12호
    • /
    • pp.328-335
    • /
    • 2017
  • Background: Some researchers have attempted to evaluate the ecological function of various additional services, away from the main point of view on the timber production of Korean forests. However, basic data, evaluation models, or studies on the absorption of air pollutants related to major plant communities in Korea are very rare. Therefore, we evaluated the functional value of the forest ecosystem in Gongju-city. Plantation manual for air purification, supplied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Japan, was referred to process and method for assessment of air pollutant absorption. Results: Gross primary production was calculated about average 18.2 t/ha/year. It was a relatively low value in forests mixed with deciduous broad and evergreen coniferous compared to pure coniferous forest. Net primary production was the highest value in deciduous coniferous and was the lowest value in mixed forest with deciduous broad and evergreen broad. And the mean sequestration amount of each air pollutant per unit area per year assessed from gross primary production and concentration of gas was the highest with 75.81 kg/ha/year in $O_3$ and was 16.87 and 6.04 kg/ha/year in $NO_2$ and $SO_2$, respectively. In addition, total amounts of $CO_2$ absorption and $O_2$ production were 716,045 t $CO_2$/year and 520,760 t $O_2$/year in all forest vegetation in Gongju-city.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absorption ability of air pollutant in 2014 on forest in Gongju-city area. Gongju-city has the broad mountain area about 70.3%, and area of deciduous broad leaves forest was established the broadest with 47.4% of genus Quercus. Pg was calculated about average 18.2 t/ha/year. The mean sequestration amount of each air pollutant per unit area per year assessed from Pg and $C_{gas}$ was the highest with 75.81 kg/ha/year in $O_3$ and were 16.87 and 6.04 kg/ha/year in $NO_2$ and $SO_2$, respectively. Absorption rates of $O_3$, $NO_2$, and $SO_2$ were the highest in evergreen coniferous forest about $14.87kgO_3/ha/year$, $3.30kgNO_2/ha/year$, $1.18kgSO_2/ha/year$, and the lowest were $5.95kgO_3/ha/year$, $1.32kgNO_2/ha/year$, and $0.47kgSO_2/ha/year$ in deciduous broad forest. In conclusion, it was evaluated that Japanese model is suitable for estimating air pollutants in Japan to Korean vegetation. However, in Korea, there is a very limited basic data needed to assess the ability of forests to absorption of air pollutants. In this study, the accuracy of a calculated value is not high because the basic data of trees with similar life form are used in evaluation.

거창 지역 하성퇴적층 형성환경과 화분산상 연구 (Environment of Fluvial Sedimentary Deposits and Palynological Occurrence in the Geochang Area)

  • 김주용;양동윤;봉필윤;김진관;오근창;최돈원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9-50
    • /
    • 2006
  • 거창의 정장리 유적은 거창분지에 포함되며 황강천상류 하안단구면 위에 분포한다. 정장리의 유적발굴 지내에는 하성퇴적층이 제2지구 2트랜치 북면과 남면에 잘 발달하여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장리 일대의 하성퇴적층의 산상, 입도분석 및 화분분석을 통하여 퇴적층 환경과정을 해석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하성퇴적층의 상부에는 약 $25,000{\sim}30,000$년전의 토양쐐기 구조가 발달한 고토양층이 분포하며, 하부로 가면서 적갈색 니사질층, 유기질 니층 및 사력층이 분포하고 있다. 대표단면인 남벽토층의 유기질 니층에 대한 화분연구 결과, 단면 하부에 초본식물 화분대, 상부에 오리나무-참나무-소나무 화분대가 각각 발견되었다. 형성시기로 볼 때 하부 화분대는 약 80,000 - 70,000년전의 아빙기, 상부 화분대는 약 60,000-50,000년전 사이에 형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정장리 유적에 나타나는 화분대는 활엽수/침엽수 혼유림이 우세하며, 당시에는 온냉(cool temperate) 습윤기후가 우세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 PDF

가지산도립공원 통도사지구의 식물군락과 환경요인의 상관관계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Plant Commun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Tongdosa(Temple) Area, Gajisan(Mt.) Provincial Park)

  • 이상철;강현미;김지석;유찬열;최송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715-724
    • /
    • 2014
  • 본 연구는 우리나라 3대 사찰 중 하나인 통도사를 중심으로 지정되어 있는 가지산도립공원 통도사지구의 식물군락과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식물군락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200{\sim}300m^2$ 크기의 조사구 31개소를 설치하여 조사 분석하였으며, 환경요인으로는 해발고도, 경사도 등의 물리적 환경과 토양산도, 유기물함량, 전질소함량, 치환성양이온 등의 토양특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환경요인과 식물군락과의 상관관계분석을 위해 DCCA기법을 활용하였다. 식물군락구조를 분석한 결과, 소나무-갈참나무군락, 개서어나무-참나무류군락, 소나무-개서어나무군락, 소나무-굴참나무군락, 굴참나무-신갈나무군락으로 총 5개 군락으로 분리되었다. 식생천이는 소나무에서 굴참나무와 신갈나무 등 참나무류와 개서어나무로 진행되고 있었다. DCCA분석 결과, 가지산도립공원 통도사지구 내 군락분포는 해발고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았으며, 해발고도가 비교적 낮은 곳에는 소나무-갈참나무군락, 높은 곳에는 굴참나무-신갈나무군락이 분포하였다.

부산광역시 태종대 산림생태계의 현존식생 및 식물군집구조 (Actual Vegetation and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of Forest Ecosystem in Taejongdae, Busan City, Korea)

  • 김종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26-43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난온대 기후대에 위치한 부산광역시 태종대 해안 산림생태계의 현존식생, 식물군집구조, 천이계열을 규명하여 태종대의 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현존식생은 총 35개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조사면적 $1,750,461m^2$ 중 곰솔이 우점하는 식생은 $1,413,274m^2$로 80.7%이었고, 참나무류림은 5.0%, 개서어나무가 우점하는 식생은 0.4%이었다. 조사구($20m{\times}20m$) 18개소를 설정하였으며, DCA 분석결과, 군집 I(곰솔군집), 군집 II(곰솔-졸참나무군집), 군집 III(졸참나무-곰솔군집), 군집 IV(개서어나무-곰솔군집) 등 네 개의 식물군집으로 분리되었다. 표본목 수령은 군집 I은 38~59년생, 군집 II는 35~71년생, 군집 III은 37~53년생, 군집 IV는 50~72년생으로 전체적으로 38~72년의 산림이었다. 태종대는 난온대 기후대 천이계열 초기단계에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교목층에서는 곰솔에서 졸참나무 또는 개서어나무가 우점하는 식생으로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예측되었고, 아교목층에서는 사스레피나무가 우점하고 관목층에서는 사스레피나무와 마삭줄이 우점하는 식생으로 유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단위면적 $400m^2$의 샤논의 종다양도지수 분석결과, 군집 I은 0.8640~1.3986, 군집 II는 0.1731~1.1885, 군집 III은 0.8250~1.0042, 군집 IV는 0.3436~0.6986이었다.

백운산의 삼림식생과 토양환경 (Forest Vegetation and Soil Environment on Mt. Paekun)

  • 이호준;배병호;정흥락;전영문;홍문표
    • 환경생물
    • /
    • 제17권1호
    • /
    • pp.35-50
    • /
    • 1999
  • 백운산의 삼림식생과 토양환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식물사회학적 조사방법에 의하여 삼림식생을 분류하고, 각 군락의 구조적 특성을 밝혔으며, 토양환경을 조사하였다. 삼림식생은 신갈나무군락(전형 하위군락, 철쭉꽃하위군락), 굴참나무군락, 물푸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등 4개의 자연군락과 일본잎갈나무식재림, 잣나무식재림 등 2개의 식재림으로 분류되었다. 식생의 계층구조는 매우 발달한 편으로 신갈 나무군락은 백운산의 거의 전역에 걸쳐 표고 500m이상부터 분포하고, 굴참나무군락은 주로 남동-남서 사면의 고도 325~700 m, 소나무군락은 표고 290~700 m, 물푸레나무군락은 표고 600 m 이상의 계곡 주연부에 주로 분포하였다. DBH분포는 신갈나무가 6~10cm급, 굴참나무가 11~15cm급, 소나무가 26~30 cm급, 물푸레나무가 2~5 cm급, 일본잎갈나무가 11~15 cm급, 잣나무가 11~15 cm급에서 각각 가장 높게 나타났다. 토양환경은 비교적 양호한 편이었으며 신갈나무군락, 소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일본잎갈나무군락의 토양함수량은 17.81~51.20%, 16.24~25.41%, 16.17%, 19.16~39.26%로 각각 나타나 신갈나무군락의 토양함수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신갈나무군락의 유기물함량은 5.51~14.90%로 다른 군락보다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N, P, K에서도 유사하였으나 Ca, Mg, CEC는 다른 군락보다 낮게 측정되었으며, 양이온치환능과 pH는 $Y_{CEC}$=15.855X$_{ph}$ -56.037의 상관으로 유의성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백운산의 대부분의 면적을 점유하고 있는 신갈나무림은 2차림으로써 인위적인 방해로부터 점차 식생이 회복되고 있으며 소나무림-굴참나무림-신갈나무림으로의 천이경로를 보일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강원도 대관령 목장 현존식생 및 식물군집구조 (Actual Vegetation and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in Daegwallyeong Ranch, Gangwon-do (Province))

  • 노태환;한봉호;김종엽;이민영;유기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79-591
    • /
    • 2013
  • 본 연구는 온대 북부 기후대에 위치한 강원도 대관령 목장 산림생태계의 현존식생, 식물군집구조, 천이계열 특성과 보전가치를 밝히고, 향후 복원 및 관리계획 수립 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현존식생은 총 56개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조사면적 $19,397,361m^2$ 중 신갈나무가 우점하는 지역은 $7,669,593m^2$(39.1%), 1차 초지 지역은 $4,785,417m^2$(24.7%), 신갈나무-낙엽활엽수군집이 우점하는 지역은 $2,182,276m^2$(11.3%)이었다. 조사구는 $20m{\times}20m$($400m^2$) 28개소를 설정하였으며, DCA분석 결과 군집 I(소나무-신갈나무군집), 군집 II(신갈나무-소나무군집), 군집 III(신갈나무군집), 군집 IV(신갈나무-낙엽활엽수군집), 군집 V(낙엽활엽수군집), 군집 VI(팥배나무군집) 등 6개의 식물군집으로 분류되었다. 표본목 수령은 군집 I은 57~62년생, 군집 II는 41~77년생, 군집 III은 47~108년생, 군집 IV는 47~82년생, 군집 V는 47년생, 군집 VI은 55년생으로 전체적으로 41~108년생이었다. 대관령 목장의 생태적 천이는 소나무군집에서 신갈나무군집으로 발달하고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계곡부를 중심으로 낙엽활엽수군집도 분포하고 있었다. 단위면적 $400m^2$당 샤논의 종다양도지수를 분석한 결과, 군집 IV(0.8203~1.1439) ${\rightarrow}$ 군집 III(0.8019~1.1375) ${\rightarrow}$ 군집 V(1.0993) ${\rightarrow}$ 군집 I(0.9475~1.0797) ${\rightarrow}$ 군집 II(0.6896~1.0324) ${\rightarrow}$ 군집 VI(0.9909) 순으로 높았다.

자연경관 경관도의 국외사례 및 국내 적용가능성 연구 - 거시적 경관관리도를 중심으로 - (The Case Study of Foreign Scenery Inventory Map and the Applicability of Domestic - focused on macro inventory map -)

  • 주신하;이송희
    • 농촌계획
    • /
    • 제17권3호
    • /
    • pp.103-11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foreign scenic inventory map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natural scenic resources. Several foreign cases were surveyed and analyzed to apply the scenery inventory map in domestic, such as Visual Resource Management(VRM) from United States Bureau of Land Management, Scenery Management System(SMS) from USDA Forest Service and Visual Landscape Inventory(VLI) from British Columbia Ministry of Forest's, that were already established scenery inventory ma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landscape is quite a different from those of north american's, which is much smaller and more complex in topography and land use. So, it would be difficult to apply foreign system directly and we need more researches to our own system. The multi-stepped landscape unit system is highly recommended. Second, scenic quality could be estimated by the pre-built database, such as land forms, vegetation, hydrology and land uses. Historical and cultural attributes should be complemented. Third, existing scenic integrity could be grasped by scenic damage, landscape alteration caused by human activities and land exfoliation. Also, subjective evaluation method should be supplemented by objective criteria through further detailed studies. Finally, about landscape view conditions, landscape control points should be surveyed and established in advance, and viewing distance, viewing frequency, amount of observers and public interests should be considered.

Seasonal Distribution of Ticks in Four Habitats near the Demilitarized Zone, Gyeonggi-do (Province), Republic of Korea

  • Chong, Sung Tae;Kim, Heung Chul;Lee, In-Yong;Kollars, Thomas M. Jr.;Sancho, Alfredo R.;Sames, William J.;Chae, Joon-Seok;Klein, Terry A.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1권3호
    • /
    • pp.319-325
    • /
    • 2013
  • This study describes the seasonal distribution of larvae, nymph, and adult life stages for 3 species of ixodid ticks collected by tick drag and sweep methods from various habitats in the Republic of Korea (ROK). Grasses less than 0.5 m in height, including herbaceous and crawling vegetation, and deciduous, conifer, and mixed forests with abundant leaf/needle litter were surveyed at United States (US) and ROK operated military training sites and privately owned lands near the demilitarized zone from April-October, 2004 and 2005. Haemaphysalis longicornis Neumann adults and nymphs were more frequently collected from April-August, while those of Haemaphysalis flava Neumann and Ixodes nipponensis Kitaoka and Saito were collected more frequently from April-July and again during October. H. longicornis was the most frequently collected tick in grass habitats (98.9%), while H. flava was more frequently collected in deciduous (60.2%) and conifer (57.4%) forest habitats. While more H. flava (54.1%) were collected in mixed forest habitats than H. longicornis (35.2%), the differences were not significant. I. nipponensis was more frequently collected from conifer (mean 8.8) compared to deciduous (3.2) and mixed (2.4) forests.

Comparison of Remote Sensing and Crop Growth Models for Estimating Within-Field LAI Variability

  • Hong, Suk-Young;Sudduth, Kenneth-A.;Kitchen, Newell-R.;Fraisse, Clyde-W.;Palm, Harlan-L.;Wiebold, William-J.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75-188
    • /
    • 2004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stimate leaf area index (LAI) as a function of image-derived vegetation indices, and to compare measured and estimated LAI to the results of crop model simulation. Soil moisture, crop phenology, and LAI data were obtained several times during the 2001 growing season at monitoring sites established in two central Missouri experimental fields, one planted to com (Zea mays L.) and the other planted to soybean (Glycine max L.). Hyper- and multi-spectral images at varying spatial. and spectral resolutions were acquired from both airborne and satellite platforms, and data were extracted to calculate standard vegetative indices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ve index, NDVI; ratio vegetative index, RVI; and soil-adjusted vegetative index, SAVI). When comparing these three indices, regressions for measured LAI were of similar quality $(r^2$ =0.59 to 0.61 for com; $r^2$ =0.66 to 0.68 for soybean) in this single-year dataset. CERES(Crop Environment Resource Synthesis)-Maize and CROPGRO-Soybean models were calibrated to measured soil moisture and yield data and used to simulate LAI over the growing season. The CERES-Maize model over-predicted LAI at all corn monitoring sites. Simulated LAI from CROPGRO-Soybean was similar to observed and image-estimated LA! for most soybean monitoring sites. These results suggest crop growth model predictions might be improved by incorporating image-estimated LAI. Greater improvements might be expected with com than with soyb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