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getated area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3초

우리나라 해안에 서식하는 염생식물의 분포 특징 (Distribution Patterns of Halophytes in the Coastal Area in Korea)

  • 이민수;김성환;정회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4권1호
    • /
    • pp.139-159
    • /
    • 2019
  • 본 조사는 국가해양생태계종합조사의 일부로 2017년 5월부터 2018년 8월까지 이루어졌으며, 우리나라 전체 해안에 설정된 157개 정점을 중심으로 조간대 및 해안사구와 사빈지역에서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염생식물은 총 72종이 확인되었으며 분포 면적은 총 $1,813,546m^2$이었다. 서해안 권역에서는 칠면초 군락이 우점 군락이며, 남해안 권역에서는 갈대 군락이 우점 군락이고, 동해안 권역에서는 통보리사초 군락이 우점 군락이었다. 조사지역 전체로는 갈대 군락이 $1,136,643m^2$ (62.7%)으로 가장 넓었다. 상위 11개 우점 식물 군락은 갈대 군락, 칠면초 군락, 해홍나물 군락, 갯잔디 군락, 통보리사초 군락, 갯그령 군락, 기수초 군락, 모새달 군락, 지채 군락, 좀보리사초 군락, 천일사초 군락이며, 특히 갈대 군락과 칠면초 군락은 전체 면적의 75.9%를 차지하여 압도적이었다. 우리나라 해안의 염생식물 분포는 대부분 기후 차이보다는 서식처의 형태가 염생식물의 서식 형태를 결정짓는 주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같은 권역 내에서도 서식처의 다양성 정도에 띠라 염생식물의 출현종과 서식범위 등에서 차이를 보였다.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하와이 해안지역 식생 분류 (Vegetation Mapping of Hawaiian Coastal Lowland Using Remotely Sensed Data)

  • 박선엽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96-507
    • /
    • 2006
  • 본 연구는 고해상도 자료와 하이퍼스펙트럴 자료를 혼용하여 하와이 화산 국립공원 내 해안 지역의 식생을 분류하고자 하였다. 연구지역에 주로 나타나는 식생은 3종의 초본(broomsedge, natal redtop, and pili)과 작은 관목 등으로 대표되는 비초본으로 구분된다. 분류 기법으로는 unsupervised classification과 supervised classification을 결합한 하이브리드법을 이용하여 전체적으로 3단계 분류과정을 적용하였다. 첫째로는, IKONOS 고해상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식생 및 비식생지역을 unsupervised classification법을 통해 분류하였다. 두 번째로는, minimum noise fraction(MNF) transformation을 이용하여 AVIRIS하이퍼스펙트럴 자료로부터 주성분을 추출하여 자료를 압축하는 과정을 거쳤다. 20미터 해상도를 가진 AVIRIS 픽셀들은 대부분 용암면과 식생면으로부터 반사된 복사신호가 혼합되어 있기때문에, 용암과 식생의 지표피복 비율에 따른 선형모형을 적용하여 용암면이 갖는 반사 신호를 각 픽셀로부터 제거하였다. 최종적으로, 각 픽셀에 대하여, 식생피복 비율에 비례하는 AVIRIS 하이퍼스펙트럴 자료의 식생성분을 토대로 maximum likelihood algorithm에 따라 supervised classification법을 적용하여 초지 및 관목으로 대표되는 지표식생을 분류하였다.

  • PDF

시범 단지 운영을 통한 LID 기법별 물순환 및 수질개선 효과 분석 (Analysis on the Water Circulation and Water Quality Improvement Effect of Low Impact Development Techniques by Test-Bed Monitoring)

  • 고혁배;최한나;이윤규;이채영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27-36
    • /
    • 2016
  • 저영향개발(LID) 기법은 물순환을 고려한 친환경 도시계획기법으로 개발 이전의 물수지를 회복시키려는 빗물관리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역에 적용 가능한 LID 기법 중 4개(침투도랑, 식생수로, 도심형 인공습지, 측구형 침투도랑)를 선정하여 실제 적용될 지역에 시범 단지를 조성하였으며, 실제 강우와 인공강우를 이용한 모니터링을 통해 각 시설의 물순환 및 수질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다양한 강우사상에서 모니터링한 결과 LID 시설의 표면적과 유역면적비, 그리고 시설용량과 유역면적비가 클수록 모든 강우사상에서 유출이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식생수로와 침투도랑은 모든 강우(최대 17.2mm)에서 유출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도심형 인공습지와 측구형 침투도랑에서는 유출이 발생하였는데 도심형 인공습지는 10mm 이하의 강우에서 유출 저감율이 높았으며, 측구형 침투도랑은 10mm 이하 및 이상의 강우에서 유사하게 나타났다. LID 시설의 구조와 강우사상, 선행건기일수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LID의 적용으로 물수지 개선 및 비점오염원 물질의 저감이 가능하다.

초지의 지표면 흐름을 추적하기 위한 Kinematic Wave Model의 개발(II) - 포장실험과 모형의 응용 - (Development of a Kinematic Wave Model to Route Overland Flow in Vegetated Area (II) -Runoff Plot Experiments and Model Application-)

  • 최중대;;최예환;유능환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74-80
    • /
    • 1993
  • Runoff simulation tests to investigate the flow mechanics of nonsuomerged overland flow in a natural grass intervening land system were condueted and a modified kinematic wave overland runoff model developed by Choi et al. (1993) was verified. Non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of the soil, slope, local topography, infiltration, grass density, and the density and activity of the soil microhes and wild animals were the major factors affecting the flow. Streamlines were disturbed by grass stems and small concentrated flows due to the disturbed streamlines and local topography were observed a lot. Relatively larger concentrated flows were observed where bundles of grass were dominant than where individual grasses were growing. Predicted hydrographs were agreed verv well with measured hydrographs. Since the modified model considers grass density in computing flow depth and hydraulic radius, it can be better than existing kinematic wave model if it were used to route nonpoint source pollutant attenuation processes in many grass intervening land systems.

  • PDF

AN ASSESSMENT OF LAND COVER CHANGES AND ASSOCIATED URBANIZATION IMPACTS ON AIR QUALITY IN NAWABSHAH, PAKISTAN: A REMOTE SENSING PERSPECTIVE

  • Shaikh, Asif Ahmed;Gotoh, Keinosuke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555-558
    • /
    • 2006
  • In recent years, urban development has expanded rapidly in Nawabshah City of Pakistan. A major effect associated with this population trend is transformation of the landscape from natural cover types to increasingly impervious urban land. The core objective of this study are to provide time-series information to define and measure the urban land cover changes of Nawabshah, Pakistan between the years 1992 and 2002, and to examine related urbanization impacts on air quality of the study area. Two multi-temporal Landsat images acquired in 1992 and 2002 together with standard topographical maps to measure land cover change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image processing and data manipulation were conducted using algorithms supplied with the ERDAS Imagine software. An unsupervised classification approach, which uses a minimum spectral distance to assign pixels to clusters, was used with the overall accuracy ranging from 84 percent to 92 percent. Land cover statistics demonstrate that during the study period (1992-2002) extensive transformation of barren and vegetated lands into urban land have taken place in Nawabshah City. Results revealed that land cover changes due to urbanization has not only contaminated the air quality of the study area but also raised the health concerns for the local residents.

  • PDF

MONITORING OF BAR TRANSFORMATION IN THE HAN RIVER ESTUARY USING RADARSAT/SAR IMAGES

  • Yang, Chan-Su;Han, Hee-Jeong;Park, Jin-Kyu;Ouchi, Kazu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856-859
    • /
    • 2006
  • In river with bar, the characteristics of its physical conditions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bar morphology. In this paper, a monitoring approach of bar transformation in the Han River Estuary is presented using RADARSAT/SAR Images. The estuary is divided into North and South Korea and its area is blocked by CCL(Civil Control Line). Satellite remote sensing, therefore, is uniquely suited to monitoring bar transformation. Based on SAR signatures for bars, bar transformation is investigated from 2000 to 2005, and monitoring of suspended-silt transportations from terrestrial runoff is tried to understand the morphology during the events of severe rain storm. SAR data did not reveal clearly the bar locations because of most of data acquisitions during high tides from 6.8 m to 9.0 m. Even though the problem, it could be said that in the estuary vegetated area and natural levees are developed well, but bars and shifted after an event like a flood. It is also showed that suspended solids such as silt transported through the estuary could contribute highly to a sedimentation environment around Incheon.

  • PDF

Surface Temperature Retrieval from MASTER Mid-wave Infrared Single Channel Data Using Radiative Transfer Model

  • Kim, Yongseung;Malakar, Nabin;Hulley, Glynn;Hook, Simo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51-162
    • /
    • 2019
  • Surface temperature has been derived from the MODIS/ASTER airborne simulator (MASTER) mid-wave infrared single channel data using the MODerate resolution atmospheric TRANsmission (MODTRAN) radiative transfer model with input data including the University of Wisconsin (UW) emissivity, the National Centers for Environmental Prediction (NCEP) atmospheric profiles, and solar and line-of-sight geometry. We have selected the study area that covers some surface types such as water, sand, agricultural (vegetated) land, and clouds.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how the reasonabl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surface temperature over land and water similar to the pattern of the MASTER L2 surface temperature. The thorough quantitative validation of surface temperature retrieved from this study is somehow limited due to the lack of in-situ measurements. One point comparison at the Salton Sea buoy shows that the present estimate is 1.8 K higher than the field data. Further comparison with the MASTER L2 surface temperature over the study area reveals statistically good agreement with mean differences of 4.6 K between two estimates. We further analyze the surface temperature differences between two estimates and find primary factors to be emissivity and atmospheric correction.

영상자료를 이용한 만경강 하도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nel Planform Change Using Aerial Photographs and Topographic Map in the Mangyoung River)

  • 홍일;강준구;여홍구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5권2호
    • /
    • pp.127-136
    • /
    • 2012
  • 하천은 다양한 환경조건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공간으로 하천복원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현재 하도의 안정성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하도 평가가 필요하다. 하도 평가는 대상하천의 지형 및 수리 수문 등 다양한 정보가 요구되지만 국내여건상 과거자료 미비로 인해 시 공간적으로 변화된 하천의 지형학적 정보를 파악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만경강의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하도지형 변화를 평가하기 위한 방안으로 영상분석기법을 이용하여 구하도 형성, 하도 종 횡단 변화, 하도 내 미지형 변화 등을 분석하였다. 만경강의 경우1920, 30년대 직강화 공사로 하도길이가 약15 km가 줄었으며, 하도가 절단되는 과정에서 6개소의 구하도 구간이 형성되었다. 이후 만경강은 하도경사 조정과 물이용을 위해 지속적인 보의 설치가 증가되었다. 보의 설치는 저수로 폭, 최심선 길이, 식생사주, 모래사주, 전체 사주 및 수역면적 등 변화의 주요원인이 되었다. 만경강 하도는 현재 하류구간에서 안정하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되나 중류와 상류 구간 하도는 안정하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저수형 잔디블록 저수조 내 충진재료에 따른 저수량 및 초종별 증발산량 (Volume of Water Storage and Evapotranspiration by Inserted Materials at a Reservoir of Porous Grass Block)

  • 한승호;최준수;양근모;양병이;강진형;김원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76-8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formance of porous grass block. For the investigation, Festuca arundinacea and Zoysia japonica 'Zenith' were planted, and the volume of evapotranspiration and remains were examined based on different materials in the water tank in the experiment of Festuca arundinacea, the volume of water storage of treatment with perlite ($10.84{\iota}/m^2$) was higher than that with drainage ($7l/m^2$).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was $3.84/m^2$. The drainage treatment without water storage capacity showed the higher degree of dryness in turf grass. The volume of evapo-transpiration of treatment with perlite was the highest (21.57mm/week). The volume of evapotranspiration of treatment with sand was 19.57mm/week, and with treatment with drainage was 18.24mm/week. Based on the measured volume of daily evapotranspiration of $2.60{\sim}3.08mm\;d^{-1}$, it was determined that the unit with water storage capacity would store water of one to two days usage compared to unite without such storage capacity. In the experiment of Zoysia japonica 'Zenith', the volume of water storage of treatment with perlite was $10.77l/m^2$ which was similar to the former experiment. The volume of evapotranspiration of treatment with perlite and sand were 21.64mm/week and 20.64mm/week, respectively. In case of airtight water tank, the volume was measured as 22.06mm/week. Each treatment has no notable difference in the volume of evapotranspiration. In conclusion, from the investigation in this study, porous grass block with water tank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plant growth under low irrigation. As the ecological area ratio and vegetated porous pavement have became more emphasized, additional study of rain infiltration and reservoir effect are needed in the future.

서울의 두 도시 근린공원에서 평가된 탄소수지 (Carbon Budget Evaluated in Two Urban Parks of Seoul)

  • 김경순;피정훈;안지홍;임치홍;정성희;주승진;이창석
    • 생태와환경
    • /
    • 제49권1호
    • /
    • pp.51-61
    • /
    • 2016
  • 본 연구는 서울시 노원구에 위치한 두 도시공원 (노해근린공원, 상계근린공원)의 탄소수지를 정량하고 인접한 자연공원인 불암산 신갈나무림을 대상으로 동일한 조사를 수행하여 그 개선방안을 찾기 위해 수행하였다. 순생산량(NPP)은 상대생장법을 적용하여 측정하였고, 토양호흡량은 EGM-4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노해근린공원과 상계근린공원에 조성된 식생의 순생산량은 각각 $5.4\;ton\;C\;ha^{-1}yr^{-1}$$4.8\;ton\;C\;ha^{-1}yr^{-1}$로 나타났고, 불암산 신갈나무군락의 순생산량은 $6.3\;ton\;C\;ha^{-1}yr^{-1}$로 나타났다. 연간 종속영양생물 토양호흡량은 노해근린공원과 상계근린공원에서 각각 $5.3\;ton\;C\;ha^{-1}yr^{-1}$$3.4\;ton\;C\;ha^{-1}yr^{-1}$로 측정되었고, 불암산 신갈나무군락의 토양호흡량은 $4.1\;ton\;C\;ha^{-1}\;yr^{-1}$로 측정되었다. 공원구역에서 나지가 차지하는 면적을 반영하여 산정한 노해근린공원과 상계근린공원의 순생태계생산량은 각각 $-1.0\;ton\;C\;ha^{-1}yr^{-1}$$0.6\;ton\;C\;ha^{-1}yr^{-1}$로 나타났고, 불암산 신갈나무군락의 순생태계생산량은 $2.3\;ton\;C\;ha^{-1}yr^{-1}$로 나타났다. 순생태계생산량 정보에 근거하면 노해근린공원은 탄소배출원으로 분류되었다. 반면에 상계근린공원은 탄소흡수원으로 구분되었지만 그 역할은 자연식생과 비교해 크게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도시공원의 낮은 순생태계생산량은 자연림과 비교해 낮은 순생산량과 탄소배출 기능이 있는 나지를 넓게 배정한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