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hannel Planform Change Using Aerial Photographs and Topographic Map in the Mangyoung River

영상자료를 이용한 만경강 하도변화에 관한 연구

  • Hong, Il (River & Coast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 Kang, Joon-Gu (River & Coast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 Yeo, Hong-Koo (River & Coast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홍일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해안연구실) ;
  • 강준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해안연구실) ;
  • 여홍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하천해안연구실)
  • Received : 2011.08.30
  • Accepted : 2011.11.23
  • Published : 2012.02.29

Abstract

River is able to change by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In order to conduct river restoration design,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stable channel through the analysis of past and present river channels. River evaluation requires various data, such as geometry, hydraulic and hydrology, but there is a lot of difficulty to understand topographical information of river change on time and space due to a lack of past data by domestic conditions. This study was analyzed abandoned channel formation, changes in the vertical-section and cross-section length of rivers, and micro-landform changes etc using an image analysis techniqu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s the stable channel through a river channel morphology change from past and present river channels image. Mangyoung river was conducted artificial river maintenance through straight channel consolidation form 1920 to 1930 year. In the result river maintenance, mangyoung river length was decreased by 15 km and abandoned channels of six points were made. Since then, weir was continuously increased to control bed slope and use water. Install of weir was to be the reason of changes on channel width, thalweg, vegetated bar, sand bar, water area. Present Mangyoung river show that water area was temporary increased in upper and middle reach because of weir installation. Total sand bar was only decreased in upper channel. The change of vegetated bar and sand bar was slight recently. In this result, Mangyoung river is inferred to reach stabilized channel although there is some difference to the lower reach.

하천은 다양한 환경조건에 따라 변화될 수 있는 공간으로 하천복원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현재 하도의 안정성 여부를 파악할 수 있는 하도 평가가 필요하다. 하도 평가는 대상하천의 지형 및 수리 수문 등 다양한 정보가 요구되지만 국내여건상 과거자료 미비로 인해 시 공간적으로 변화된 하천의 지형학적 정보를 파악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만경강의 과거에서 현재까지의 하도지형 변화를 평가하기 위한 방안으로 영상분석기법을 이용하여 구하도 형성, 하도 종 횡단 변화, 하도 내 미지형 변화 등을 분석하였다. 만경강의 경우1920, 30년대 직강화 공사로 하도길이가 약15 km가 줄었으며, 하도가 절단되는 과정에서 6개소의 구하도 구간이 형성되었다. 이후 만경강은 하도경사 조정과 물이용을 위해 지속적인 보의 설치가 증가되었다. 보의 설치는 저수로 폭, 최심선 길이, 식생사주, 모래사주, 전체 사주 및 수역면적 등 변화의 주요원인이 되었다. 만경강 하도는 현재 하류구간에서 안정하도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되나 중류와 상류 구간 하도는 안정하도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1976). 만경강 하천정비기본계획.
  2. 박근애, 이미선, 김현준, 김성준(2004). "항공사진을 이용한 하천형태 및 하천부지 변화추세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4권, 제5D호, pp. 815-821.
  3. 박희두(2005). "만경강과 동진강 유역의 습지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한국지형학회, 제12권, 제1호, pp. 1-12.
  4. 배선학(2007). "1910년대 지형도를 이용한 근대화 이후의 도시 변화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한국지리정보학회, 제10권, 제3호, pp. 93-103.
  5. 이근상, 이현석, 채효석, 황의호(2007). "항공영상을 이용한 도시하천의 토지이용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7권, 제3D호, pp. 351-357.
  6. 이민부, 김남신, 이광률, 한욱(2005). "위성영상을 이용한 대동강과 재령강의 하도변화 분석." 한국지형학회지, 한국지형학회, 제12권, 제1호, pp. 91-102.
  7. 조성욱(2007). "만경강의 역할과 의미 변화." 한국지역지리학회지, 한국지역지리학회, 제13권, 제2호, pp. 187-200.
  8. 홍일, 강준구, 권보애, 여홍구(2009). "영상분석기법을 이 용한 구하도 복원 대상하천의 하도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2권, 제5호, pp. 397-406.

Cited by

  1. Functional Assessment for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Wetland-type Old River Channel:Mangyoung River vol.32, pp.4B, 2012, https://doi.org/10.12652/Ksce.2012.32.4B.213
  2. A Study on Variation of Land-use in River Area caused by Levee Construction vol.15, pp.4, 2014, https://doi.org/10.5762/KAIS.2014.15.4.2419
  3. A Study on Evaluation of Ecological Function before and after River Improvement vol.47, pp.4, 2014, https://doi.org/10.3741/JKWRA.2014.47.4.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