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riable optical attenuator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34초

In-line Variable Attenuator Based on the Evanescent Wave Coupling Between a Side-polished Single-mode Fiber and an Index Matched Dielectric Plate

  • Kim, Kwang-Taek;Kim, Hyo-Kyeom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8권1호
    • /
    • pp.17-20
    • /
    • 2004
  • An in-line variable attenuator has been proposed and demonstrated exploiting a side-polished single-mode (SM) fiber evanescently coupled with an index matched dielectric plate. The attenuation can be controlled by fine mechanical sliding of the index matched dielectric plate. We have achieved 49 ㏈ dynamic range and very low excess loss of 0.2 ㏈ at 1550 nm wavelength. The measured polarization dependent losses (PDL) were 0.1, 0.2, and 0.4 ㏈ at 10, 20, and 30 ㏈ attenuation, respectively. Wavelength sensitivity was measured to be -0.017/nm ㏈ at 20 ㏈ attenuation.

측면 연마된 광섬유와 굴절률 정합액사이의 광결합을 이용한 가변 광 감쇠기 (Variable Optical Attenuator using Optical Coupling between a Side Polished Fiber and Refractive Index Matching Liquid)

  • 김광탁;송재원
    • 전자공학회논문지D
    • /
    • 제36D권9호
    • /
    • pp.50-55
    • /
    • 1999
  • 단일모드 광섬유의 한쪽 측면을 코어 가까이 연마한 광섬유와 그 위에 덮혀진 정합액 사이의 광결합을 이용한 가변 광 감쇠기를 제안하였다. 광섬유모드와 방사모드사이의 결합으로 인하여 정합액의 미세한 굴절률 변화는 큰 광손실의 변화를 발생시킨다. 정합액의 열광학 효과를 이용하여 광손실을 제어하였다. 실리콘 V홈을 이용하여 측면 연마된 광섬유 블록(block)을 제작하였다. 실험결과 $5^{\circ}C$ 정도의 온도변화로서 감쇠량을 최대와 최소사이에서 제어 할 수 있었다. 제작된 소자의 편광의존성 손실은 0.5 dB이었고, 삽입 손실은 0.2dB 이었다.

  • PDF

Polarization Independent, Figure-Eight Birefringent Sagnac Variable Comb-Filter/Attenuator

  • Kim, Sung-Won;Kang, Jin-U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4년도 제15회 정기총회 및 동계학술발표회
    • /
    • pp.298-299
    • /
    • 2004
  • We propose and theoretically analyze multi-functional integrated optical device based on figure-eight shaped birefringent Sagnac loops. Our analysis shows that the propose device exhibit many unique features which allows it to operate as a tunable high-Q comb filter with a good channel isolation, and the intensity transmission of the filter can be varied from zero to 100 percent.

  • PDF

열절연 구조를 이용한 가변광감쇠기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Variable Optical Attenuators Using Heat Insulating Structures)

  • 양동평;김정근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4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1)
    • /
    • pp.321-324
    • /
    • 2004
  • In this paper, attenuation characteristics of silica-based variable optical attenuator (VOA) with heat insulating structures are investigated by variations of structural parameters and heating power at wavelength 1.55${\mu}m$. The characteristics of power dissipation and attenuation at this VOA was optimized in terms of heating insulating width, under-cladding height and over-cladding height. The optimized maximum attenuation of this VOA was achieved about 31dB at heating power 150mW.

  • PDF

DWDM 채널 레벨 컨트롤러 설계 및 구현 (DWDM Channel Level Controller Design and Implementation)

  • 염진수;이규정;허창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4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655-657
    • /
    • 2004
  • 채널 레벨 컨트롤러는 DWDM(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의 OXC(Optical Cross Connect), OADM(Optical Add/Drop Multiplexer), 광 증폭기(EDFA : Erbium Doped Fiber Amplifier) 둥의 시스템에서 채널별 광신호의 세기를 조절하여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이는 중요한 제어기다. 본 논문에서는 12채널 VOA(Variable Optical Attenuator) 4개를 사용하여 40채널의 광 신호 레벨을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를 구현하였다. 각 채널의 광 신호 레벨을 제어하는데 하나의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5개의 채널을 제어하고 총 8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40채널을 분산 제어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외부와 통신을 하고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을 각각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전달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추가하였으며, 출력되는 광 신호의 세기를 측정하여 VOA를 제어하는데 있어서 VOA 출력에서 바로 PD(Photo Detector)로 입력하여 AWC(Arrayed Waveguide Grating) 출력에서 광 신호를 다시 분파하여 PD에 입력하는 번거로움을 개선하였다.

  • PDF

Dependence of the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Photonic Crystal Fiber on the Macrobending Radius and the Mechanically Induced Microbending

  • Lee, Byeong-Ha;Moon, Dae-Seung;Eom, Joo-Beom;Kim, Jin-Chae;Kim, Hok-Young;Paek, Un-Chul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7권2호
    • /
    • pp.72-78
    • /
    • 2003
  • It is reported that the spectral loss of photonic crystal fiber (PCF) having a large hole-to-hole distance (~ 10 ${\mu}{\textrm}{m}$) is sensitive to micro- and macrobending whe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ingle-mode fiber. In this paper, we will present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macro- and microbending characteristics of fabricated PCF with large hole-to-hole distance (> 10 ${\mu}{\textrm}{m}$) . For the macrobending experiment, the fiber was simply wound around a circular structure with variable diameter that could be reduced to a few centimeters. For the microbending case, regularly spaced silica rods were attached on a slide glass and pressed against the fiber by loading a stack of metal plates of known weight on the glass. The transmission loss spectrum shows a rather flat response to the to microbending, and this makes the PCF a good candidate for a wideband variable optical attenuator.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 Using a Polymer Integrated Photonic Lightwave Circuit

  • Shin, Jang-Uk;Han, Young-Tak;Han, Sang-Pil;Park, Sang-Ho;Baek, Yong-Soon;Noh, Young-Ouk;Park, Kang-Hee
    • ETRI Journal
    • /
    • 제31권6호
    • /
    • pp.770-777
    • /
    • 2009
  • We have developed a fully functional 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 (ROADM) switch module using a polymer integrated photonic lightwave circuit technology. The polymer variable optical attenuator (VOA) array and digital optical switch array are integrated into one polymer PLC chip and packaged to form a 10-channel VOA integrated optical switch module. Four of these optical switch modules are used in the ROADM switch module to execute 40-channel switching and power equalization. As a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er (WDM) filter device, two C-band 40-channel athermal arrayed waveguide grating WDMs are used in the ROADM module. Optical power monitoring of each channel is carried out using a 5% tap PD. A controller and firmware having the functions of a 40-channel switch and VOA control, optical power monitoring, as well as TEC temperature control, and data communication interfaces are also developed in this study.

극미세선폭 단일모드 FBG 고리구조 공동 DFB 레이저 (Ultra-narrow linewidth single frequency DFB laser with FBG ring cavity)

  • 김준원;진용옥;최규남
    • 한국광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35-239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고리구조 FBG공동과 DFB 레이저를 결합하여 kHz대의 극미세선폭 레이저광을 발생시키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외부 FBG와 DFB 레이저내의 Bragg격자로 이루어진 긴 공동내에 고리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레이저 선폭을 압축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손실을 최대화하면서 모드홉핑이 일어나지 않는 최대 광궤환량을 유지하기 위하여 광회전기와 가변광감쇄기를 사용하였다. 이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63km의 광섬유 지연선로를 사용한 자기헤테로다인 측정장치를 사용하여 레이저 선폭을 측정한 결과 자기헤테로다인 측정장치의 해상도 한계인 3kHz 이하의 선폭을 얻었다. 이는 2$\times$$10^{-8}$ nm의 선폭에 해당한다

대형 코어 폴리머 광도파로를 이용한 가변 광감쇠기 설계 (Design of Variable Optical Attenuators Incorporating Large Core Polymer Waveguides)

  • 조수홍;오민철
    • 한국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54-260
    • /
    • 2005
  • 높은 재현성과 함께 효율적인 수동 정렬을 위하여 제안된 대형코어 단일모드 폴리머 광도파로를 이용하여 제작 가능한 폴리머 광도파로 소자인 가변 광감쇠기를 제안하고 삼차원 빔전파 방법을 이용하여 소자의 동작 특성을 파악하고 최적 구조를 설계하였다. 소자의 표면에 집적된 박막 전극 히터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폴리머 광도파로에서 발생하는 굴절률 분포 변화를 수치해석적으로 구하였으며 이 결과를 이용하여 삼차원 빔전파 해석을 수행하였다. 대형코어 광도파로가 가지는 작은 굴절률 대비로 인해 효과적인 광감쇠 현상을 작은 온도 변화로부터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일반 광도파로 VOA에서 섭씨 150도 이상의 온도 변화가 필요한 반면 대형 코아 광도파로 VOA는 섭씨 70도 정도의 온도 변화 만으로도 20 dB 이상의 감쇠를 얻을 수 있었다. 대형코아 광도파로가 가지는 장점인 높은 정렬오차 허용범위와 더불어 낮은 구동전압으로 동작하는 장점을 함께 가지는 가변 광감쇠기 설계를 완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