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riable block mode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7초

H.264/AVC에서 PSNR 예측을 이용한 고속 매크로블록 모드 결정 방법 (A Fast Macroblock Mode Decision Method using PSNR Prediction for H.264/AVC)

  • 박성재;명진수;심동규;오승준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37-151
    • /
    • 2008
  • H.264/AVC는 새로운 부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기존의 비디오 표준보다 높은 압축 효율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다양한 블록 크기의 움직임 예측 방법과 비트율-왜곡 최적화 기법은 H.264/AVC에서 중요한 부호화 기술로써 높은 압축 효율을 나타내고 있지만 부호화기의 높은 복잡도를 보이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H.264/AVC 부호화기의 높은 복잡도를 줄이기 위하여 조기 SKIP 모드 결정 방법과 선택적 인터/인트라 예측 모드 결정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결과 제안방법은 JM10.2에 비해 전체적인 영상에서 평균적으로 약 30%의 부호화 시간을 감소시켰으며, 부호화 효율의 손실은 무시할 정도로 작았다. 또한 제안 방법은 이전에 제안되었던 고속의 모드 결정 방법(FCMS)[5]과 비교하여 2배 이상의 속도 이득을 나타내었다.

가변블록 기반 저복잡도 H.264/AVC 디블록킹 필터 (Low-Complexity H.264/AVC Deblocking Filter based on Variable Block Sizes)

  • 신승호;도남금;김태용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5권4호
    • /
    • pp.41-49
    • /
    • 2008
  • H.264/AVC는 기존 압축기술 대비 가변 블록 움직임 보상, 복수 참조 영상, 1/4 화소 움직임 벡터 정확도 및 인-루프 디블록킹 필터 (In-loop Deblocking Filter) 등을 지원하고 있다. 이런 부호화 기술은 압축 효율 향상의 주된 기능이면서, 동시에 높은 복잡도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저사양, 저비트율의 단말기에서 H.264 부호화 기술의 실제 응용 확대를 위해서는 속도향상 개선이 필수적이다. 동영상의 주관적 화질을 상당부분 개선할 수 있는 디블록킹 필터 (Deblocking Filter)는 현재 복잡도와 높은 계산량으로 인하여 저사양 단말기에서는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저비트율의 디지털 동영상압축 시 발생하는 블록킹 현상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디블록킹 필터의 성능개선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디블록킹 필터링 방법은 움직임 보상에서의 가변블록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의 공간적 상관관계를 추출하고, 그 특성에 맞게 4가지 필터모드(Filter Mode)로 분리하여 분리된 영역에 적응형 필터 구조를 취한다. 적용된 모드별 필터링은 블록킹 현상을 제거함은 물론 과도한 블러링 현상(Blurring Effects)을 방지하고 영상내의 세밀한 영상 성분들과 블록 경계간의 실제 에지를 보호함과 동시에 기존 방법 대비 $30{\sim}40%$의 성능향상의 개선을 이루었다.

Dual band Antenna Switch Module의 LTCC 공정변수에 따른 안정성 및 특성 개선에 관한 연구 (Improving Stability and Characteristic of Circuit and Structure with the Ceramic Process Variable of Dualband Antenna Switch Module)

  • 이중근;유찬세;유명재;이우성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05-109
    • /
    • 2005
  • 본 논문은 LTCC 공정에 기반을 둔 GSM/DCS dual band 의 소형화된 antenna switch module을 공정변수 따른 특성의 왜곡을 안정화시키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특히 tape thickness의 변화에 따라 패턴간의 기생 커플링이 주된 변수로 작용한다. 두께 50um인 tape으로 제작된 시편의 사이즈는 $4.5{\times}3.2{\times}0.8 mm^3$이고 insertion loss는 Rx mode와 Tx mode 각각 ldB. 1.2dB 이하이다. 공정상에서 tape thickness의 변화에 따라 개발된 모듈의 특성 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해 각 블록-다이플렉서,필터, 바이어스 회로-을 probing method을 이용, 측정하였고, 각 블록간의 상호관계는 VSWR을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회로적 관점에서 특성 개선을 위해 바이어스 회로부분의 집중소자형과 분포소자형을 구현하여 서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각 블록의 측정과 계산된 VSWR의 데이터는 공정변수에 의해 변화된 전체 module의 특성과 안정성 거동을 파악하는데 좋은 정보를 준다. Tape thickness변화에도 불구하고 다이플렉스의 matching값은 연결되는 바이어스 회로와 LPF의 matching값과 상대 matching이 되면서, 낮은 VSWR을 유지하여 전체 insertion loss가 안정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분포소자형 바이어스 회로보다는 집중소자형이 다른 회로블럭과의 관계에서 더 좋은 매칭을 이루어 loss개선에 일조하였다. Tape thickness가 6 um이상의 변화를 가져와도 집중소자형 바이어스 회로는 낮은 손실을 유지하여 더 넓은 안정 범위를 가져오기 때문에 양산에 적합한 구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probing method에 의한 안정성 특성 추출은 세라믹에 임베디드된 수동회로들의 개발에 충분히 적용될 수 있다.

  • PDF

수도(水稻) 적정시비량(適正施肥量) 결정(決定)에 대한 대체모형(代替模型) (An Alternative Model for Determining the Optimal Fertilizer Level)

  • 장석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1-32
    • /
    • 1980
  • Linear models, with and without site variables, have been investigated in order to develop an alternative methodology for determining optimal fertilizer levels. The resultant models are : (1) Model I is an ordinary quadratic response function formed by combining the simple response function estimated at each site in block diagonal form, and has parameters [${\gamma}^{(1)}_{m{\ell}}$], for m=1, 2, ${\cdots}$, n sites and degrees of polynomial, ${\ell}$=0, 1, 2. (2) Mode II is a multiple regression model with a set of site variables (including an intercept) repeated for each fertilizer level and the linear and quadratic terms of the fertilizer variables arranged in block diagonal form as in Model I. The parameters are equal to [${\beta}_h\;{\gamma}^{(2)}_{m{\ell}}$] for h=0, 1, 2, ${\cdots}$, k site variable, m=1, 2, ${\cdots}$ and ${\ell}$=1, 2. (3) Model III is a classical response surface model, I. e., a common quadratic polynomial model for the fertilizer variables augmented with site variables and interactions between site variables and the linear fertilizer terms. The parameters are equal to [${\beta}_h\;{\gamma}_{\ell}\;{\theta}_h$], for h=0, 1, ${\cdots}$, k, ${\ell}$=1, 2, and h'=1, 2, ${\cdots}$, k. (4) Model IV has the same basic structure as Mode I, but estimation procedure involves two stages. In stage 1, yields for each fertilizer level are regressed on the site variables and the resulting predicted yields for each site are then regressed on the fertilizer variables in stage 2. Each model has been evaluated under the assumption that Model III is the postulated true response function. Under this assumption, Models I, II and IV give biased estimators of the linear fertilizer response parameter which depend on the interaction between site variables and applied fertilizer variables. When the interaction is significant, Model III is the most efficient for calculation of optimal fertilizer level. It has been found that Model IV is always more efficient than Models I and II, with efficiency depending on the magnitude of ${\lambda}m$, the mth diagonal element of X (X' X)' X' where X is the site variable matrix. When the site variable by linear fertilizer interaction parameters are zero or when the estimated interactions are not important, it is demonstrated that Model IV can be a reasonable alternative model for calculation of optimal fertilizer level. The efficiencies of the models are compared us ing data from 256 fertilizer trials on rice conducted in Korea. Although Model III is usually preferred, the empirical results from the data analysis support the feasibility of using Model IV in practice when the estimated interaction term between measured soil organic matter and applied nitrogen is not important.

  • PDF

변환영역에서의 에지활동도에 기반한 H.264/AVC 고속 인트라모드 선택 방법 (Fast Intra Mode Selection Algorithm Based on Edge Activity in Transform Domain for H.264/AVC Video)

  • 서재성;김동형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8C호
    • /
    • pp.790-800
    • /
    • 2009
  • H.264/AVC 부호화 표준은 부호화 효율을 높이기 위해 1/4 화소 단위의 움직임 추정, 다중 참조 프레임, 인트라 예측, 루프 필터, 다양한 블록 크기의 지원 등과 같은 새로운 부호화 도구들을 사용한다. 이를 통해 이전의 비디오 부호화 표준들에 비해 율-왜곡(率-歪曲) 관점에서 높은 성능을 보이지만 그로 인해 부호기의 복잡도는 크게 증가하였다. 본 논문은 부호기 복잡도의 증가를 초래하는 주요 부호화 도구들 중 인트라 매크로블록 모드 선택의 복잡도 감소에 주안(主眼)점을 두며, 이에 대한 복잡도 감소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고속 인트라 모드 선택을 위한 제안하는 방법은 변환 영역에서 에지 활동도를 산출효과 이를 이용하여 intra4x4 및 색차블록에 대한 예측모드를 고속으로 선택함으로써 H.264/AVC 인트라프레임에 대한 고속 부호화를 수행한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참조소프트웨어와 비교하여 QCIF 및 CIF 영상에 대해서 각각 59.76% 및 65.03%의 속도향상을 가져오는 반면 비트율 증가 및 PSNR 감소는 매우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변 블록 움직임 보상을 위한 개선된 고속 모드 결정법 (Enhanced East Mode Decision toy Variable Block Motion Compensation)

  • 이제윤;최웅일;전병우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Ⅳ
    • /
    • pp.2068-2071
    • /
    • 2003
  • 최근 표준화가 완성된 H.264 는 가변 블록 움직임 보상, 복수 참조 영상, 그리고 1/4 화소 움직임 벡터 정확도를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새로운 부호화기술은 부호화 효율 향상의 주된 요인이면서, 동시에 높은 복잡도의 요인이기도 하다 따라서 H.264 비디오 표준의 실제 응용 확대를 위해서는 이러한 기술의 속도향상이 필수적이다. [1]에서 제안한 고속 모드 결정법은 조기에 모드 결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움직임 벡터 탐색과 비트율-왜곡치 (Rate-Distortion cost) 계산 과정을 효율적으로 생략할 수 있는 방법이다. 하지만 [1]에서 제안된 측정치 r은 주변 블록의 정보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모드 결정 에러를 좀 더 효과적으로 줄이지 못했다. 본 논문에서는 주변 블록의 정보를 이용하여 [1]의 방법을 개선시킨 것으로 실험 결과 큰 부호화 손실 없이 계산 량 감소에 있어 매우 높은 효율을 제공함을 확인하였다.

  • PDF

적응적인 블록 모드를 이용한 집적 영상의 효율적인 압축 방법 (An Efficient Compression Method of Integral Images Using Adaptive Block Modes)

  • 전주일;강현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7권6호
    • /
    • pp.1-9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집적 영상을 효율적으로 압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집적 영상은 3차원 영상을 기록하고 표현하는 대표적인 기술이다. 제안된 방법은 3D 이산 코사인 변환(3D-DCT)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집적 영상 부호화에서 3D-DCT는 인접요소 영상간의 중복성을 줄이는 효율적인 압축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제안방법은 3D-DCT에 기반 하면서 적응적인 블록 모드를 이용한 효과적인 집적영상 압축 방법으로서, 영상의 특성에 따라 적응적으로 3D-DCT 블록을 구성함으로써 가변블록 크기 3D-DCT 블록을 생성하고, 이 가변블록 크기의 3D 블록에 대해 3D-DCT를 수행한다. 실험 결과를 보면 제안방법이 기존 방법과 비교해서 더욱 높은 압축 효율을 보여주었다. 특히 영상이 복잡하여 많은 비트량이 발생하는 영상이 오버헤드 비트의 영향이 적기 때문에 더 좋은 압축 효율을 보여주었다.

Fusion of Blockchain-IoT network to improve supply chain traceability using Ethermint Smart chain: A Review

  • George, Geethu Mary;Jayashree, LS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6권11호
    • /
    • pp.3694-3722
    • /
    • 2022
  • In today's globalized world, there is no transparency in exchanging data and information between producers and consumers. However, these tasks experience many challenges, such as administrative barriers, confidential data leakage, and extensive time delays. To overcome these challenges, we propose a decentralized, secured, and verified smart chain framework using Ethereum Smart Contract which employs Inter Planetary File Systems (IPFS) and MongoDB as storage systems to automate the process and exchange information into blocks using the Tendermint algorithm. The proposed work promotes complete traceability of the product, ensures data integrity and transparency in addition to providing security to their personal information using the Lelantos mode of shipping. The Tendermint algorithm helps to speed up the process of validating and authenticating the transaction quickly. More so in this time of pandemic, it is easier to meet the needs of customers through the Ethermint Smart Chain, which increases customer satisfaction, thus boosting their confidence. Moreover, Smart contracts help to exploit more international transaction services and provide an instant block time finality of around 5 sec using Ethermint. The paper concludes with a description of product storage and distribution adopting the Ethermint technique. The proposed system was executed based on the Ethereum-Tendermint Smart chain.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variable block sizes and the number of transactions.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system seems to perform better than existing blockchain-based systems. Two configuration files were used, the first one was to describe the storage part, including its topology. The second one was a modified file to include the test rounds that Caliper should execute, including the running time and the workload content. Our findings indicate this is a promising technology for food supply chain storage and distribution.

H.264/AVC의 실시간 압축을 위한 고속 인터 예측 부호화 기술 (A Fast Inter Prediction Encoding Technique for Real-time Compression of H.264/AVC)

  • 김영현;최현준;서영호;김동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11C호
    • /
    • pp.1077-108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H.264/AVC에서 가장 많은 연산량을 차지하는 인터 예측(inter prediction)을 고속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율-왜곡 최적화 기법(Rate-Distortion Optimization, RDO)이 적용된 JM(Joint Model)의 FME(Fast Motion Estimation)를 대상으로 예측된 움직임 벡터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탐색영역을 결정한 후 적응적인 후보 나선형 탐색을 수행한다. 동시에 가변 블록 크기에 대하여 비용함수의 임계값(threshold)을 결정한 후 가변 구간 움직임 탐색을 수행함으로써 인터 예측의 부호화 복잡도를 감소시킨다. 다양한 영상들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기존의 예측 방식에 최대 80%의 연산량을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른 화질 열화는 평균 $0.05dB{\sim}0.19dB$에 불과하며, 압축률은 평균 0.58%의 미미한 감소를 보임으로써, 제안한 방법이 고속 인터 예측 알고리즘으로 매우 효율적인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HEVC 고속 부호화를 위한 PU 탐색 조기 종료 기법 (An Early Termination Algorithm of Prediction Unit (PU) Search for Fast HEVC Encoding)

  • 김재욱;김동현;김재곤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627-630
    • /
    • 2014
  • 최신 비디오 부호화 표준인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에서는 재귀적으로 동일한 4개의 블록으로 분할될 수 있는 쿼드 트리 기반의 부호화단위(CU: Coding Unit) 구조를 적용하여 높은 부호화 효율을 얻는다. 각 깊이(depth) 레벨에서 각 CU는 가변 크기의 예측단위(PU: Prediction Unit)로 분할된다. 하지만 각 부호화트리단위(CTU: Coding Tree Unit) 마다 최적의 CU 분할구조와 각 CU 마다 최적의 PU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상당한 계산 복잡도 증가를 야기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계산 복잡도를 줄이기 위하여 PU 탐색을 조기 종료하는 고속 PU 결정 기법을 제시한다. 제한 기법은 상위 깊이 CU의 최적 모드와 부호화 율-왜곡 비용을 이용해서 현재 깊이 CU에서의 특정 모드의 율-왜곡 비용 계산을 생략함으로써 PU 탐색을 조기 종료한다. 실험결과 제안기법은 HM 12.0 대비 0.2%의 비트 증가에 18.1%의 계산시간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