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riable block mode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3초

깊이 화면의 평면 부호화를 위한 가변 블록 크기 결정 방법 (Method for Determining Variable-Block Size of Depth Picture for Plane Coding)

  • 권순각;이동석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39-47
    • /
    • 2017
  • 깊이 화면을 부호화함에 있어서 깊이 화면의 일부를 평면으로 추정하여 부호화하는 평면 부호화 모드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평면 부호화 모드를 통한 깊이 영상 부호화에서 가변 블록 부호화를 위해 가변 블록 크기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깊이를 통해 블록 내 화소에 대해 제일 근접한 평면을 추정하는 방법을 통해 평면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평면 부호화를 수행할 때, 가변 블록 부호화를 다음과 같이 적용할 수 있다. 먼저 최대 블록 크기에 대하여 추정 오차를 계산한 뒤 오차가 임계값 이하라면 해당 블록 크기가 선택 된다. 반면 오차가 임계값을 초과한다면 해당 블록이 분할되고 위 과정을 반복한다. 분할된 블록 크기가 최소 블록 크기 미만이 되면 해당 블록은 평면 부호화 모드로 선택되지 않는다. 제안된 방법을 실험한 결과, 부호화하여야 할 블록의 개수가 평면으로 이루어진 영상에서 고정 블록 크기를 이용한 방법에 비해 19%로 줄었다.

H.264/AVC를 위해 inter mode에 적용된 향상된 고속 모드 결정 알고리즘 (Advanced Fast Mode Decision Algorithm Applied to Inter Mode for H.264/AVC)

  • 양상봉;조상복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20-22
    • /
    • 2007
  • The H.264/AVC standard developed by the joint Video Team (JVT) provides better coding efficiency than previous standards. The new emerging H.264/AVC employs variable block size motion estimation using multiple reference frame with 1/4-pel MV(Motion Vector) accuracy. These techniques are a important feature to accomplish higher coding efficiency. However, these techniques are increased overall computational complexity. To overcome this problem, this paper proposes advanced fast mode decision suited for variable block size by classifying inter mode based on Rate Distortion Optimization(RDO) technique. Proposed algorithm is going to use to implement H/W structure for fast mode decisio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s that the proposed algorithm provides significant reduction computational complexity without any noticeable coding loss and additional computation. Entire computational complexity is decreased about 30%.

  • PDF

가변 부호율과 블록 길이를 갖는 연속 가변형 리드솔로몬 복호기 (A Continuous Versatile Reed-Solomon Decoder with Variable Code Rate and Block Length)

  • 공민한;송문규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I
    • /
    • pp.549-552
    • /
    • 2003
  • In this paper, an efficient architecture of a versatile Reed-Solomon (RS) decoder is designed, where the message length k as well as the block length n can be variable. The decoder permits 3-step pipelined processing based on the modified Euclid's algorithm(MEA). A new architecture for the MEA is designed for variable values of error correcting capability t. To maintain the throughput rate with less circuitry, the MEA block uses both the recursive and the overclocking technique. The decoder can decode a codeword received not only in a burst mode, but also in a continuous mode. It can be used in a wide range of applications due to its versatility. A versatile RS decoder over GF(2$^{8}$ ) having the error-correcting capability of up to 10 has been designed in VHDL, and successfully synthesized in an FPGA chip.

  • PDF

가변 블록 부호화에서 CBP를 이용한 고속 인터모드 결정 방법 (Fast Intermode Decision Method Using CBP on Variable Block Coding)

  • 류권열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1589-159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CBP(coded block pattern) 및 colocated-MB(macro block)의 부호화 정보를 이용하여 인터모드 결정에 소요되는 계산량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MB를 CBP 특성에 따라 best-CBP와 normal-CBP 로 나눈다. Best-CBP에서는 SKIP 모드 및 M-Type 모드일 확률이 통계적으로 96.3%이므로 인터모드 결정 과정에서 $8{\times}8$ 모드 계산을 제거한다. Normal-CBP에서는 SKIP 모드 및 M-Type 모드 결정에 colocated-MB의 부호화 정보와 MVcost(motion vector cost)를 이용하여 비트율-왜곡 치에 소요되는 계산량을 선택적으로 제거한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은 전체 부호화 시간이 평균적으로 58.44% 감소되었으며, 움직임이 적은 영상에서 계산량 감소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자동 가변 블록절단 부호화 기법 (Automatic Variable Block Truncation Coding Technique)

  • 김태균;박래홍
    • 전자공학회논문지B
    • /
    • 제30B권12호
    • /
    • pp.73-86
    • /
    • 1993
  • This paper proposes an automatic variable block truncation coding (BTC) method. It selects the block size automatically based on the mode of the discontinutiy measure of blocks. The combination of an automatic block-size determination scheme and the conventional BTC results in the proposed automatic variable BTC techniques. For color images, subsampling in I and Q chrominance components is adopted along with the variable BTC.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lgorithm, its simulation results are compared to those of the several conventional BTC algorithms for monochrome and color test images. Computer simulation shows that the proposed algorithm give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conventional ones based on the subjective and o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 PDF

H.264/AVC에서 영상 복잡도를 이용한 고속 인터 블록 모드 결정 (Fast Inter Block Mode Decision Using Image Complexity in H.264/AVC)

  • 김성희;오정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11C호
    • /
    • pp.925-931
    • /
    • 2008
  • 동영상 표준안 H.264/AVC에서 가변 블록 모드 알고리즘은 압축 성능을 향상시키나 다양한 블록 모드와 모드 결정을 위해 방대한 계산을 필요로 한다. 한편, 결정된 인터 블록 모드들은 블록 영상의 복잡도에 의존하여 복잡한 매크로블록일수록 블록 크기는 더 작아지고 있다. 본 논문은 고속 인터 블록 모드 결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영상 복잡도를 이용해 유효 인터 블록 모드를 결정 가능성이 큰 블록 모드로 제한하고, 유효블록 모드들에서만 움직임 추정 및 율-왜곡 최적화를 수행한다. 거기에 $16{\times}16$ 블록 모드만을 갖는 유효 블록 모드들에는 고속 움직임 추정 알고리즘인 PDE (partial difference elimination)를 적용시키고 있다. 제안된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를 위해 참조 소프트웨어 JM 9.5에서 화질, 비트율, 부호화 시간이 기존 알고리즘과 비교되었다. 실험 결과는 제안된 알고리즘이 평균 움직임 추정 시간의 약 24.12%를 감소시키며 화질과 비트량을 각각 -0.02dB와 -0.12% 정도로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을 보여주었다.

H.264의 가변 블록 크기 움직임 추정 및 공간 예측 부호화 생략에 의한 고속 모드 결정법 (Fast mode decision by skipping variable block-based motion estimation and spatial predictive coding in H.264)

  • 한기훈;이영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0권5호
    • /
    • pp.417-425
    • /
    • 2003
  • ITU-T(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와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에 의해서 최근 표준화가 완성된 H.264는 가변 블록 크기 움직임 추정, 복수참조영상, 1/4화소 움직임 예측/보상, 4×4 정수 DCT(Integer Discrete Cosine Transform), 율-왜곡 최적화(Rate-Distortion Optimization) 등의 새로운 부호화 기술로 H.263, MPEG-4 등 기존 비디오 표준에 비해 더 좋은 부호화 효율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부호화 기술들은 H.264 의 전반적인 복잡도를 심화시키는 주된 요인이기도 하다. 따라서, H.254 의 실제 응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기술에 대한 고속 알고리즘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율-왜곡 최적화를 통한 부호화 모드 결정시 부호화기의 복잡도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가변 블록 크기 움직임 추정 및 공간예측 부호화를 효율적으로 생략하여 부호화 모드 결정을 빠르게 수행하는 고속 모드 결정법을 제안한다. 실험결과, 제안된 방법은 부호화 효율의 손실이 거의 없으면서도 계산법을 약 4배 향상시킨다.

Enhanced Inter Mode Decision Based on Contextual Prediction for P-Slices in H.264/AVC Video Coding

  • Kim, Byung-Gyu;Song, Suk-Kyu
    • ETRI Journal
    • /
    • 제28권4호
    • /
    • pp.425-434
    • /
    • 2006
  • We propose a fast macroblock mode prediction and decision algorithm based on contextual information for Pslices in the H.264/AVC video standard, in which the mode prediction part is composed of intra and inter modes. There are nine $4{\times}4$ and four $16{\times}16$ modes in the intra mode prediction, and seven block types exist for the best coding gain based on rate-distortion optimization. This scheme gives rise to exhaustive computations (search) in the coding procedure. To overcome this problem, a fast inter mode prediction scheme is applied that uses contextual mode information for P-slices. We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experimental results. The suggested mode search procedure increased more than 57% in speed compared to a full mode search and more than 20% compared to the other methods.

  • PDF

H.264의 가변 블록 움직임 보상을 위한 고속 움직임 벡터 탐색 및 모드 결정법 (Fast motion estimation and mode decision for variable block sizes motion compensation in H.264)

  • 이제윤;최웅일;전병우;석민수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0권4호
    • /
    • pp.275-285
    • /
    • 2003
  • 최근 표준화가 완성된 H.264는 가변 크기 블록 움직임 보상, 복수 참조 영상, 그러고 1/4 화소 움직임 벡터 정확도를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새로운 부호화 기술은 부호화 효율 향상의 주된 요인이 되긴 하지만 동시에 높은 복잡도의 요인이기도 하다. 따라서 H.264 비디오 표준의 실제 응용 확대를 위해서는 이러한 기술에 대한 속도 향상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부호화 복잡도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움직임 벡터 추정을 고속화하기 위해 가변 크기 블록 움직임 보상에 적합한 고속 움직임 벡터 탐색법을 제안한다. 또한 H.264가 갖는 다양한 부호화 모두 중 최적치를 빠르게 결정한 수 있는 고속 결정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고속 움직임 벡터 탐색법은 기존 MVFAST/sup [8-10]/에 비해 SAD 계산 수가 4.5배, SATD 계산수는 2.6배 감소하였으며, 고속 모드 결정법의 사용으로 비트율­왜곡 계산치인 RDcost 계산 수는 45%가 감소되었다. 따라서 제안된 방법은 큰 부호화 손실 없이 계산량 감소에 있어서 매우 높은 효율을 제공함을 확인하였다.

Variable Sub-pixel Motion Vector Resolution Based on Block Mode Motion Estimation for H.264/AVC

  • Tran, Trung-Kien;Kim, Dae-Yeon;Lee, Yung-Lyul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807-808
    • /
    • 2008
  • In H.264, sub-pel motion estimation (ME) has strong effect when coding video sequences. 1/4-pel performs better at low bitrate while 1/8-pel gives better results at high bitrate. In this paper, a variable sub-pixel motion vector resolution based on block mode motion estimation method is proposed.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take the advantage of 1/4-pel at low bitrate and 1/8-pel at high bitrate. In addition to that, time is reduced from 14% to 53% compared to KTA1.3 with 1/8-pel motion vector (MV) resolu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