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gueness problem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초

공동주택 사용자 중심의 리모델링 방법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Remodeling Method by Focused on Apartment House User's Request)

  • 유인근;김천학;윤여완;양극영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211-222
    • /
    • 2004
  • 최근의 장기적인 건설경기의 침체와 부동산에 관련된 각종 규제의 강화로 인하여 건설회사는 신규사업에 대한 투자를 최소화하면서 동시에 많은 이익을 창출 하고자 한다 따라서 새로운 건축물에 대한 신축 보다는 기존의 건축물에 대한 리모델링을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리모델링은 기존의 건축물에 대한 철거와 신축이라는 방법과 비교해 보았을 경우 폐기물의 배출 및 사용 자원의 수량 등의 측면에서 보다 환경적 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주거용 건축물인 아파트를 대상으로 합리적인 리모델링의 방법을 결정하기 위해 실수요자의 요구조건을 고려한 리모델링의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리모델링 방법의 평가과정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고 이후 사용자의 요구조건의 수렴 과정을 정리하기 위한 가치평가 기준을 마련하고 이를 이용하여 리모델링 방법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도록 한다 리모델링의 방법은 그 자체가 매우 다양할 뿐만 아니라 요구조건 또한 매우 다양 하므로 평가과정에서 의사결정기법인 계층적 의사결정기법을 적용하도록 한다.

개선된 IAFC 모델을 이용한 영상 대비 향상 기법 (An Image Contrast Enhancement Technique Using the Improved Integrated Adaptive Fuzzy Clustering Model)

  • 이금분;김용수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777-781
    • /
    • 2001
  • 본 논문은 저대비 영상을 처리하여 보다 향상된 영상을 얻고자 펴지 함소와 개선된 IAFC 모델을 적용한 영상 대비 향상 기법을 제안한다. 저대비에 의한 영상 정보의 불확실성이 무작위성보다 명암도의 모호성과 퍼지성에 근거한다는 점에서 퍼지 집합이론을 영상 향상 기법을 개발하는데 적용한다. 영상 향상의 단계를 퍼지화, 대비 강화 연산, 비퍼지화 단계로 나눠볼 수 있으며, 퍼지화 및 비퍼지화 과정에서 적절한 교차점 선택이 요구되고 이때 개선된 IAFC 모델을 적용하여 최적의 교차점을 선택한다. 데이터 대한 정신없이 임계 파라미터를 조정함으로써 클러스터링을 할 수 있는 개선된 IAFC 모델로 두 클래스만을 형성하도록 하여 명암도의 애매성이 최대가 되는 교차점을 찾아 대비를 강화시킨다. 대비 향상의 정략적 측정을 위해 퍼지성 지수를 사용하며 히스토그램 균등화 기법을 사용한 대비 향상 결과와 비교한다. 저대비 영상에 대해 최적의 교차점의 위치를 정하는 제안한 기법의 결과가 많은 실험영상을 통해 우수함을 보여주고 있다.

  • PDF

컨테이너터미널의 온실가스 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duction of Greenhouse Gas in Container Terminal)

  • 김선구;최용석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05-122
    • /
    • 2012
  • 항만에서 운용되는 선박, 트럭, 기차, 하역장비들이 배출하는 온실가스는 현장 근로자들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민들의 건강 및 생활환경을 악화시키고 있다. 세계 주요항만 대기오염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항만 중 온실가스 배출량 비중이 가장 높은 컨테이너터미널을 대상으로 온실가스 저감방안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연구를 위해 먼저 저감대안들을 추출하였고 이에 대한 중요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계층적 의사결정 모델 제시와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컨테이너터미널 온실가스 저감대안을 선정 하는데 있어 5가지 요소 기준을 적용하였고, 실무자와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대안들을 추출하였다. 또한 선정된 온실가스 저감방안에 대한 평가영역과 요소들을 평가하는데 있어 언어척도의 애매모호하고 불확실한 상황을 고려하여 퍼지모형과 계층적분석방법(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결합한 Fuzzy-AHP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컨테이너터미널 온실가스 저감방안의 측정영역에 대한 중요도 평가는 장비영역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운영영역과 에너지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온실가스 저감대안들의 전체 우선순위를 보면 전기T/C 도입이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Y/T하이브리드 개조, AMP도입, MLS 도입 순으로 나타났다.

Multi-Criteria Group Decision Making under Imprecise Preference Judgments: Using Fuzzy Logic with Linguistic Quantifier

  • 최덕현;안병석;김성희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05년도 공동추계학술대회
    • /
    • pp.557-567
    • /
    • 2005
  • The increasing complexity of the socio-economic environments makes it less and less possible for single decision-maker to consider all relevant aspects of problem. Therefore are, many organizations employ groups in decision making. In this paper, we present a multiperson decision making method using fuzzy logic with linguistic quantifier when each of group members specifies imprecise judgments possibly both on performance evaluations of alternatives with respect to the multiperson criteria and on the criteria. Inexact or vague preferences have appeared in the decision making literatures with a view to relaxing the burdens of preference specifications imposed to the decision-makers and thus taking into account the vagueness of human judgments. Allowing for the types of imprecise judgments in the model, however, makes more difficult a clear selection of alternative(s) that a group wants to make. So, further interactions with the decision-makers may proceed to the extent to compensate for the initial comforts of preference specifications. These interaction may not however guarantee the selection of the best alternative to implement. To circumvent this deadlock situation, we present a procedure for obtaining a satisfying solution by the use of linguistic quantifier guided aggregation which implies fuzzy majority. This is an approach to combine a prescriptive decision method via a mathematical programming and a well-established approximate solution method to aggregate multiple objects.

  • PDF

유럽연합의 개방형 정책조정 (Open Method of Coordination)에 대한 이론적 기대와 현실: 빈곤정책의 사례 (Evaluation of the Open Method of Coordination in Social Inclusion: Theoretical Expectations and Reality)

  • 김승현
    • 국제지역연구
    • /
    • 제14권3호
    • /
    • pp.57-80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개방형 정책조정방법이 사회적 포용의 영역에 도입된 이후, 과정의 변화와 정책효과에 대한 평가를 시도한다. 2000년 리스본이사회에서 결정된 개방형 정책조정방법의 정책도구들은 결과지향적인 신공공관리론과 과정지향적인 숙의적 다중질서라는 거버넌스이론을 배경으로 한다고 볼 수 있다. 역사적 변화과정을 살펴볼 때 결과지향적인 신공공관리론의 정책도구인 목표설정, 수범사례의 벤치마킹, 분권적 의사결정의 경우 애매하거나 아예 거부되었고, 제도적 틀을 넘지 못함으로써 효율성을 추구할 수 없었다. 아울러 규범적인 숙의적 다중질서이론이 제시하는 것처럼 학습을 위해 숙의와 상호검토를 추구하고 있으나, 실제 운영은 성찰적인 숙의과정에 미치지 못하고, 상호검토도 제도적 한계를 보임으로써 원활한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10여 년간 개방형 정책조정방법이 집행되었지만 정책효과의 측면에서도 유의미한 결과를 찾을 수 없다. 그렇지만 빈곤문제에 대한 인식이 변하고 시민사회가 활발하게 조직되어 참여가 확대되고 있는 점은 긍정적인 효과이다.

퍼지 집합을 활용한 건물 사전 보수작업 대상 선정 지원모델 (Fuzzy-based Decision Support Model for Determining Preventive Maintenance Works Order)

  • 고태우;박문서;이현수;김현수;김수영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51-61
    • /
    • 2014
  • 건물의 사전 보수작업은 시설물이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성능을 유지하고 향후에 발생할 수 있는 결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과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효과적인 사전 보수작업 수행을 위해 보수작업이 필요한 대상을 명확히 선정해야 하며 이를 위해 작업 대상이 가지는 상태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작업 대상의 성능 측정은 하나의 평가 기준에 대한 평가 보다는 여러 개의 평가 기준들을 동시에 고려한 평가가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의사결정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측정값이 부정확한 평가 기준들이 존재할 수 있다. 이를 보완하고자 본 연구는 다양한 평가 기준을 이용한 사전 보수작업 대상의 성능 측정과 효과적인 작업 대상 선정을 위한 의사결정 지원 모델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작업 대상 선정을 위한 평가 기준을 선정하고 기준별로 측정값을 종합하여 의사결정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건물의 상태 측정 시, 평가자의 주관적인 판단의 애매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결과의 불확실성을 보완하고자 퍼지 집합을 사용하여 측정을 실시한다. 본 연구를 통해 의사결정자는 보수작업 대상 선정 과정에서 객관적인 평가를 위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모델은 의사결정자의 주관적인 의도에 따른 다양한 절충값을 얻을 수 있어, 의사결정자별 상이한 평가 방식을 반영할 수 있다.

불명료한 선호정보 하의 다기준 그룹의사결정 : Linguistic Quantifier를 통한 퍼지논리 활용 (Multi-Criteria Group Decision Making under Imprecise Preference Judgments : Using Fuzzy Logic with Linguistic Quantifier)

  • 최덕현;안병석;김성희
    • 지능정보연구
    • /
    • 제12권3호
    • /
    • pp.15-32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각 대안의 속성 평가와 속성 자체의 중요도에 대한 평가에 있어 불명료한 선호정보 형태로 주어진 경우, linguistic quantifier를 통한 퍼지논리를 활용하여 그룹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불명료한 선호정보는 의사결정 관련 문헌에서 의사결정자에게 요구되는 선호정보 명시의 부담을 줄여주고, 판단의 모호성을 받아들이고자 하는 시각으로서 다뤄져 왔다. 그러나 불명료한 유형의 선호정보를 허용할 경우 의사결정그룹이 원하는 대안의 명확한 선택이 보다 어려워진다. 따라서 추가적인 정보획득을 위한 의사결정자들과의 상호작용이 요구되지만, 이는 불명료한 선호정보를 허용하였던 초기의 취지를 반감시킬 뿐더러, 반드시 최적의 대안을 보장하는 것도 아니다. 이러한 상황을 타계하기 위하여, fuzzy majority의 의미를 반영하고 있는 linguistic quantifier를 활용함으로써 satisfying solution을 구하는 절차를 제시하였다. 이는 mathematical programming을 활용한 의사결정 기법과 다수의 객체를 집성하기 위한 개략적 해법을 결합한 접근방식이다.

  • PDF

Moire' 영상무늬를 통한 근골격계질환의 진단과 현가장치를 이용한 치료방안 (Diagnosi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 through Moire Image Pattern and Treatment Measure using a Sling System)

  • 이상용;이은경;권소희;정혜경;김삼태;정명수;이기남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1-130
    • /
    • 2003
  • The Musculoskeletal Disease has been ignored or turned away due to the difficulty of diagnosis and the vagueness of judgement up to now. Contrary to other diseases, there were many cases where the character of the Musculoskeletal Disease wasn't revealed through the objective inspection. And that's because the Musculoskeletal Disease appears for the most part due to muscular defect so it is impossible to diagnose the muscle by X-ray diagnosing the bone and it is also impossible to diagnose the fine damage of the muscle or tendon even by advanced device like MRI. As the nervous blood vessels or acupunctures pass through or are next to the muscle, the tension of the muscle put pressure on these so can become the direct or indirect causes of various kinds of pains or intern diseases. But in spite of that, for lack of proper equipment diagnosing the state of the muscle(Shortened.. Relaxed... or Hardened...) the muscle has been disregarded or neglected intentionally or unintentionally. While many people think themselves to be a muscular expert, if they don't see the shape of the muscle, that is just like blind treatment. But as now the equipment diagnosing the state of the muscle is developed, it seems that this problem can be settled. It was attempted in this study that the muscle or skeleton of the Musculoskeletal disease patients was diagno the treatment order and method were decided by a questionnaire survey and simple inspection, and the Musculoskeletal correction exercise using the muscle management and sling system made them escape from the Musculoskeletal disease, turning their muscle into more flexible and stronger muscle. As a result notwithstanding the limited treatment period '12 times', the improvement rate was as high as 74%, which showed that the muscle management and Musculoskeletal correction exercise had a great effect on the symptom improvement of the patients. If the treatment times had increased, the improvement rate also would have increased more.

  • PDF

Fuzzy-AHP를 활용한 인도 물류시장 진출사업 우선순위 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termining the Priority of Investment Projects for India's Logistics Market using Fuzzy-AHP)

  • 고현정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8
    • /
    • 2010
  • 우리나라는 자국 물류시장의 성숙과 이로 인한 치열한 경쟁을 극복하고, 급성장하는 세계 물류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코자 2006년부터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글로벌 물류시장 진출을 위한 의욕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인도는 인구가 11억에 달하고 제2의 중국으로 인식되면서 글로벌 물류기업들의 관심과 진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글로벌 물류기업들이 진출해 있는 인도 물류시장에서 성공적인 해외투자를 위해 유망한 물류사업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투자의 우선순위를 평가하는 Fuzzy-AHP 의사결정 모델을 제시하였다. Fuzzy-AHP 기법은 가용한 정보의 부족으로 인한 의사결정자의 애매모호한 정도를 정량적으로 반영하여 의사결정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모델은 우선순위 평가요소 및 대안들을 선정하고 문제를 구조화 한 후, 해운, 항만, 3PL의 전문가 집단으로 나누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종합하여 대 인도 투자사업의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투자대안의 우선순위는 항만터미널 운영, ODCY 운영, 도로운송업, 포워더업, 내륙창고 운영의 순으로 나타났다. 즉 현 시점에서 항만터미널 운영이 인도 물류시장 진출 시 가장 관심을 가져야 할 사업이며, 다음으로 항만 인근의 ODCY 확보가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인도 진출 시 성공 가능성이 낮은 사업은 내륙창고 운영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