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acuum freeze drying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2초

마늘의 동결건조특성(凍結乾燥特性)에 관(関)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reeze Drying of Garlic)

  • 홍성선;이희명;송현갑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13권4호
    • /
    • pp.38-45
    • /
    • 1988
  • 마늘즙의 동결건조(凍結乾燥)에 영향(影響)을 주는 주요(主要) 인자(因子)는 건조실(乾燥室)의 압력(壓力), 선반(船盤)의 온도, 시료(試料)의 두께, 시료(試料)의 농도(濃度)에 관한 영향(影響)을 시험(試驗)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가, 건조실(乾燥室)의 압력증가(壓力增加)는 건조속도(乾燥速度)를 증가(增加)시키며, 0/6Torr 부근(附近)에서 최대건조속도(最大乾燥速度)에 이르며 이보다 큰 압력하(壓力下)에서는 건조속도(乾燥速度)가 급격(急擊)하게 감소(減少) 하였으며 1.5Torr에서는 발포현상(發泡現象)을 일으키는 동결건조(凍結乾燥)는 부적합(不適合)하였다. 나. 동결온도를 높일수록 건조속도(乾燥速度)가 커지므로 선반온도를 올리는 것이 동결건조(凍結乾燥)에 유리(有利)하나 $10^{\circ}C$이상(以上)은 적절(適切)하지 않으며 선반온도를 $20^{\circ}C$로 올리면 시료(試料)가 발포(發泡)와 비산현상(飛散現象)을 일으키므로 건조(乾燥)가 불가능(不可能)하였다. 다. 고형물(固形物)을 함량(含量)이 증가할수록 건조속도(乾燥速度)는 늦어지는 경향(傾向)을 알 수 있었으나 평형수분함량(平衡水分含量)에 도달(到達)되는 시간(時間)을 기준(基準)으로 한 경제성(經濟性)을 고려(考慮)할 때 약(約) 30%의 원래(原來) 농도(濃度)가 가장 유리(有利)하다고 판단(判斷)되어진다. 라. 시료(試料) 두께가 커질수록 건조속도(乾燥速度)가 작아지며 시료(試料) 높이가 약 3.0cm에서 발포현상(發泡現象)이 관찰(觀察)되었다. 건조(乾燥)에 소요(所要)되는 시간(時間) 등(等)으로 판단(判斷)할 때 시료(試料) 높이가 약(約) 1.0cm가 가장 적절(適切)한 것으로 판단(判斷)되었다.

  • PDF

건조방법을 달리한 보리 잎의 이화학적 특성 (Chemical Properties of Barley Leaf Using Different Drying Methods)

  • 박수진;정용면;최미경;김양길;김정곤;김경호;강명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0-65
    • /
    • 2008
  • 다양한 방법으로 건조한 보리 잎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수분함량은 분석 방법에 따라 매우 큰 차이를 나타냈으며, 열처리 후 건조(HD), 음건(SD)한 보리 잎에서 동결건조(FD), 전자레인지 건조(MW)와 비교해볼 때 클로로필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갈변작용은 열의 작용을 가장 받지 않은 동결건조(FD)한 보리 잎에서 가장 적었다. 무기질 함량은 Ca, Mg, Na, P, K가 높게 함유되어 있었고, 특히 K는 다른 원소들에 비해 매우 높은 함량을 나타냈으며($2580.88{\sim}3616.20$ mg%) 음건(SD)한 보리 잎 시료에서 가장 높아 무기질 성분이 매우 우수한 알칼리성 식품이라 사료된다. 또한 보리 잎의 유기산은 oxalic acid, acetic acid, citric acid, fumaric acid가 검출되었으며, 건조방법에 따라 각각 달랐다. 비타민 C 함량은 생엽(RL) 142.56 mg%, 열처리 후 건조(HD) 629.23 mg%, 음건(SD) 598.48 mg%, 동결건조(FD) 657.62 mg%, 전자레인지 건조(MW) 724.34 mg%으로 나타났고, 보리 잎은 무기질 외에도 비타민 C의 좋은 급원 식품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의 결과 건조방법별 보리 잎의 성분에는 변화가 있었으며, 외관상 품질은 동결건조(FD)를 하였을 때 가장 좋았으나, 음건(SD)으로 시료를 처리하였을 때 각 성분의 파괴가 가장 덜 할 것으로 사료된다.

동결건조로 제조한 어류 알 농축물의 식품성분 특성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Fish Roe Concentrates Prepared by Freeze-drying)

  • 김형준;윤인성;박선영;강상인;김진수;허민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65-173
    • /
    • 2020
  • Fish roe is among the most valuable food resources produced by fisheries. Raw fish roe requires processing for conversion into hygienic, marketable, and consumer-acceptable forms.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food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various types of fish roe, we applied vacuum freeze-drying to prepare fish roe concentrates (FRCs) from roe of Alaska pollack Theragra chlcogramma, bastard halibut Paralichythys olivaceus, and skipjack tuna Katsuwonus pelamis. The FRC yield ranged from 22.7 to 26.7 g/100 g roe. The major constituents of FRCs were protein (65.4-79.6%), moisture (2.8-6.2%), lipids (8.5-18.3%), and ash (4.8-7.2%). Potassium, sulfur, sodium, and phosphorus were the major mineral elements of FRCs, and the major amino acids were aspartic acid (9.0-10.4 g/100 g protein), glutamic acid (13.2-14.5 g/100 g protein), lysine (8.4-8.6 g/100 g protein), and leucine (8.3-9.7 g/100 g protein). Vacuum freeze-dried FRCs differed among fish species in terms of amino acid composition and electrophoresis protein band distribution. Therefore, FRCs are an excellent source of protein nutrition and an appropriate protein fortification material in human foods or animal feed.

화성 수영리 유적 출토 수침목제유물의 과학적 분석 및 보존처리 (Scientific Analysis and Conservation of Waterlogged Woods Excavated from Suyoeng-ri Site, Hwaseong, Korea)

  • 이광희;오정은;김수철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579-58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화성시 수영리 유적에서 출토된 수침목제유물 5점을 대상으로 당시 사용된 목제의 수종과 조성시기, 가공방법 등을 확인하고, 진공동결건조법을 적용한 보존처리를 통해 원형을 유지하고자 하고자 하였다. 대형 목제 2점은 느릅나무속과 뽕나무속으로 확인되었고, 소형 목제 3점은 전나무속 1점과 소나무류 2점으로 확인되었다. 유물의 조성시기를 확인하고자 목제유물에 대해 위글매치를 이용한 방사성탄소연대측정을 실시하여 BCE 8520-8490년 또는 BCE 8470-8290년의 신석기시대로 확인되었고, 동반출토 된 종자류도 동일시기로 확인되었다. 표면에 가공흔적이 다수 관찰되었으며, 뜯겨진 흔적과 찍은 흔적이 관찰되어 석기 자귀를 주로 이용하여 목제를 가공했던 것으로 판단하였다. 보존처리는 상온(15~25℃)에서 PEG #4000 10%부터 40% 농도까지 함침 후 진공동결건조 하였다. 하지만 유물의 표면 온도 상승에 따라선반 온도를 상승시키는 일반적인 스케줄을 적용하여, 두꺼운 일부 부분에서는 내부 수분이 완벽히 제거되지 않아 대형수침목제의 진공동결건조 스케줄 방법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Effect of Starch Noodle (Dangmyeon) and Pork Intestines on the Rehydration Stability of Korean Blood Sausage (Sundae)

  • Kim, Youngmin;Jang, Hyejin;Lim, Sangdong;Hong, Sangpil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53-163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tarch noodles (dangmyeon; SNs) with different starch sources and porcine intestines (PIs) with different pH on the rehydration stability of Korean blood sausage (sundae). Mungbean SN3 and PI3 (pH 9.18)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alues of 80.69%-91.67% and 79.66%-80.98%, respectively, regardless of the drying methods (hot air, vacuum and freeze drying) (p<0.05). A number of larger pores were observed only in the cross-section of the freeze dried SN and PI through SEM. SN2 (potato starch) and PI3 (pH 9.18) showed lower expansion (⁎ΔL 6.90 mm) and higher expansion ratio (⁎ΔL 26.29 mm), respectively, after rehydration of freeze dried sample (p<0.05). From the application of SN2 (potato starch) and PI (0.5%-2.0% Na-pyrophosphate) to freeze dried sundae manufacturing, higher rehydration stability of more than 91.5% was obtaine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potato SN and treatment of PI with Na-pyrophosphate is useful for desirable rehydration stability of freeze dried sundae.

광주 신창동 저습지 유적 목제 및 칠기의 보존 (Conservation for Wooden Objects and Lacquer Wares Excavated From Sinchang-dong, Gwangju)

  • 김수철;박영만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7권
    • /
    • pp.43-51
    • /
    • 2006
  • 광주 신창동 저습지유적에서 다양한 목재유물과 더불어 목재표면에 옻칠이 된 칠기들이 다량으로 출토되었다. 칠기들은 목질부가 열화 되어 취약하며 칠층이 들떠있어 박락과 갈라짐의 발생우려가 높다. 따라서 진공 동결건조에 효과적인 PEG#4000 40%로 함침처리 하였고 동결건조의 종료온도를 0℃이하로 하였다. 동결건조 직후 목제와 칠기의 중량과 상대습도 60% 의 밀폐공간에서 방치 후 중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중량변화가 없었으므로 동결건조 중 종료 온도 조절로써 건조 후 목재함유수분조절과 대기 중 습도변화에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칠도막 분석결과 밑층에 흑색안료를 혼합하여 목재표면에 밑칠을 하고 칠층의 상부에 옻칠과 흑색안료를 혼합하여 3~4회 칠한 것과 검은 밑칠을 하지 않고 칠층에 옻칠과 흑색 안료를 혼합하여 3~4회 칠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Non-Polar 물질 수분치환에 의한 종이필터 개발 (Development of Cellulosic Fiber Filter Using Replacement Liquid in Water-Swollen Fiber with Non-Polar Solvent)

  • 김광수;안광호;박재로;김현정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743-74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수분이 함유된 한지의 수분을 에탄올, 메탄올, 펜탄 등과 같은 비극성물질로 치환하여 한지 여과지를 만드는데 있다. 실험은 적정 비극성물질의 선택 및 적정 건조방법 그리고 제조된 한지여과지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한지 종이필터를 제조하기 위하여 한지에 함유된 수분을 치환하기 위한 최적 물질은 에탄올이었으며 적정한 건조방법은 냉동 후 진공에 의해 수분을 건조하는 냉동건조방법이었다. 냉동건조에 의해 제조된 필터의 겉보기 밀도는 0.11-0.13 g/mL 으로 자연건조방법의 절반 이었으며 공극율은 약 90%로서 다공성을 나타내었다. 전자현미경 관찰결과 자연건조 및 열건조에 의해 제조된 여과지의 섬유는 섬유끼리 매우 가깝게 밀착되어 있었으나 냉동건조에 의해 제조된 섬유는 섬유간에 간격이 이격되어 있었다. 제조된 여과지의 압력손실은 자연건조 및 열건조 여과지보다 냉동건조에 의해 제조된 한지가 매우 낮았으며 BTEX제거효율은 한지의 수분을 비극성 물질에 의해 치환한 것보다 자연건조시킨 한지가 우수하였다.

세틸알콜을 이용한 광주 신창동 저습지 출토 목제 빗의 동결건조 (Freeze drying of a Wooden Comb Excavated at Shinchang-dong Wetland Site with Cetylalcohol)

  • 박영만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11권
    • /
    • pp.49-52
    • /
    • 2010
  • 광주 신창동 저습지 출토 목제 빗은 강화제로서 세틸알콜을 이용하여 보존처리되었다. 보존처리 과정은 목제유물을 제3가부틸 알콜로 치환하고 세틸알콜을 40% 농도까지 함침시킨 후 진공동결건조하여 처리하였다. 그 결과 주목할 만한 표면결함은 없었다. 또한 54%의 중량잔존율과 길이방향 3.3%, 폭방향 2.1%, 두께방향 3.1%의 수축률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세틸알콜을 이용한 수침고목재의 보존처리가 치수안정화와 중량 잔존율 면에서 효과적이었다.

전처리 농축 정도에 따른 Aloe Vera gel의 동결건조분말의 물성 (Physical Properties of Freeze-Dried Powder of Aloe Vera Gel with Respect to the Concentrating Degree as Pre-Treatment)

  • 이남재;이승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2-36
    • /
    • 2009
  • 농축시킨 Aloe vera gel을 동결건조하였을 때 그 농축도 차이에 의한 최종 건조분말의 물성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분말의 최종 수분함량은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점성 측정에서는 높은 농축 조건의 경우 전형적인 shear thinning 현상과 non-Newtonian 유체의 속성을 나타냈다. 이에 비하여 낮은 농축 조건의 경우 Newtonian 액체의 성질과 고형분이 입자가 아닌 풀린 형태로 존재할 때 나타나는 현상을 보였다. 분말이 물에 용해되는 동안 전기전도도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한 결과 평형상태에 도달하였을 때, 가장 높은 농축 조건에서 전기전도도가 가장 낮게 나타나, 비전해질성 물질의 용해도가 가장 큰 것으로 해석되었다. 분말의 등온흡습성에서는 농축이 증가할수록 수분 흡착과 결합수의 양이 작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Aloe vera gel을 농축하여 동결건조할 때는 그 농축도에 따라 점성, 현탁시 전기전도도에 따른 용해성, 등온흡습성이 변하는 것으로 나타나, 특정 품질의 동결건조제품을 얻기 위해서는 그에 대한 농축의 최적화가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즉석 추어탕을 냉동 건조미꾸라지의 저장성 (Storage Stability of Freeze Dried Loach for Instant Choo-o-tang)

  • 류홍수;문숙임;이수정;문갑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53-160
    • /
    • 1999
  • Storage stability of boiled and freeze dried loach and antioxidative effect of Zanthoxylum schinifolium were studied to confirm the possibility in development of instant choo o tang(Korean traditional loach soup). Packaging and storage temperature did not cause a measurable change in in vitro protein digestibility and trypsin indigestible substrate within 45 days of storage but remarkable quality changes were occurred in all samples stored after 60 days. Vacuum packaging and low temperature storage(4 oC) had some effect in retarding protein quality deterioration due to delaying polyunsaturated fatty acid oxidation. Maximum peroxide value and TBA value were reached in 15 days, and there were a slow(TBA value) and rapid reduction(POV) after peaks were reached. In contrast, increasing brown pigment development and fluorescence intensity continued until 90 days of storage. Treatment of ethanolic extracts from Zanthoxylum schinifolium prior to freeze drying could protect against lipid oxidation of freeze dried loach produc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