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tilitarian and hedonic shopping objectiv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결정적 사건 기법을 이용한 소비자의 블랙 프라이데이 쇼핑 경험에 관한 연구 - 미국 대학생 소비자의 응답을 중심으로 - (Understanding the consumer shopping experiences on Black Friday using critical incident technique - Focused on the response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

  • 심수인
    • 복식문화연구
    • /
    • 제22권2호
    • /
    • pp.346-359
    • /
    • 2014
  • Black Friday, a biggest holiday shopping season in the United States, has been regarded as a great opportunity that fashion retailers can dramatically increase their sales. However, there has been a lack of attention to consumers' shopping experiences on Black Friday from the consumer persp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onsumer shopping experiences on Black Friday, in terms of consumer responses toward the experiences, shopping values, and any possible factors influencing the experiences. The method of critical incident technique was used with 198 critical incidents extracted from 165 response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As results, the shopping experiences on Black Friday were categorized into positive vs. negative shopping experiences. After that, the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were respectively divided into two common themes: utilitarian shopping value vs. hedonic shopping value. In addition to the common themes, 12 categories were also emerged. Among positive experiences, utilitarian shopping experiences includes two categories of off-price shopping and shopping for expensive products, whereas hedonic shopping experiences includes three categories of impulse buying, holiday atmosphere, and shopping for the latest or luxury brand products. Among negative experiences, utilitarian shopping experiences includes four categories of modest discounts, out of stock, time-consuming queues, and fatigue of holiday shopping, while hedonic shopping experiences includes three categories of crowded environments, compulsive buying, and poorly managed stores. In conclusion, it is notable that consumer can undergo negative as well as positive shopping experiences on Black Frida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also discussed.

쇼핑가치 추구집단에 따른 의류제품 구매후 만족에 관안 연구 (A Study on the Post-Purchase Satisfaction of Clothing related to Shopping Value)

  • 김지영;박재옥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3_4호
    • /
    • pp.548-55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측면에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인 소비자 특성에 따라 소비후 과정이 달라지는 점에 주목하여 쇼핑가치에 따라 만족을 판단하는 과정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 응답방식을 수집하였으며, 총 614부를 최종 자료분석에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하여 군집분석,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제시된 인과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공변량구조모형분석을 이용하였다.

쇼핑가치에 따른 무인패션점포 이용의도 -기술수용모형의 적용- (The Effects of Shopping Value on the Usage Intention of Unmanned Fashion Stores -Application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서상우
    • 패션비즈니스
    • /
    • 제23권2호
    • /
    • pp.140-155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usage intention of unmanned fashion stores through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to verify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cluding the shopping value as consumers' characteristic. An online survey, consisting of 626 consumers as participants, was conducted from March 13 to 19.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is study used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urthermore, a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using the maximum likelihood was conducted for hypothesis testing. According to the results, perceived ease of use affects perceived usefulness, which thereby affects the usage intention of unmanned fashion stores through attitude. Moreover, the analysis of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cluding the shopping value as the intrinsic motivation of the consumers showed that the hedonic shopping valu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usefulness influenced the usage intention of unmanned fashion stores through attitude.

소비자의 쇼핑가치와 사용목적 및 사회적 상황에 따른 가격민감도 비교 (Comparison of Price Sensitivity based on the Shopping Value, Purpose of Use and Social Situation)

  • 남은하;이진화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452-1462
    • /
    • 2009
  •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factors influencing price sensitivity in fashion products. This study incorporates three essential variables, which were likely to influence price sensitivity: the subjective shopping value of consumers, objective purpose of use, and social situation according to the shopping companions of consumers. A sample of young adult consumers (who had purchase experience of fashion products during the last six-months) was survey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A 3-way ANOVA was used to evaluate the data. The results show that the utilitarian shopping value of consumers was more sensitive in price than the hedonic shopping value and a self-using purchase was more sensitive in price than a gift-giving purchase. In addition, a correlation effect was significant between the purpose of use and social situation. In addition, the correlation effect among all of the three variables was also significant.

소비자 세분시장 특성에 따른 인터넷 판매 제품분석 (The Analysis of On-line Product Categories Based on Consumer Segmentation Characteristics)

  • 박성용;이진용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0권1호
    • /
    • pp.59-84
    • /
    • 2005
  • '어떤 제품들이 인터넷에서 잘 팔릴 것인가?' 이를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쇼핑에서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쇼핑에서의 소비자들의 쇼핑 목적, 온라인에 대한 인식 및 지식, 쇼핑에 대한 선호 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인터넷 쇼핑과 오프라인 쇼핑 성장들 통합하여 소비자들을 분류하고, 각 집단 소비자 간에 제품군에 따라서 구매장소(온라인 vs, 오프라인), 가격에 대한 강조(가격 vs, 비가격)에 따라 차이가 나타난 것인가를 살펴보았다. 즉 어떤 유형의 소비자들이 인터넷에서 어떤 유형의 제품군에 대하여 구매를 고려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를 가격 및 비가격 요인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실증분석 결과에 의하면 인터넷 쇼핑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쇼핑의 소비자 인식 및 행동을 반영할 때에 소비자들의 온라인에 대한 전반적 선호도 및 제품별 유통채널 의존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소비자 제품군을 고려하여 보면 '온라인에 대한 혜택요인을 더욱 더 크게 느끼는 소비자들의 경우에는 온라인에서 구매하려는 제품군의 수가 크다' 또는 '온라인에 대한 위험요인을 더욱 더 크게 느끼는 소비자들의 경우에는 인터넷에서 구매하려는 제품군의 수가 작다'를 간접적으로 보여주었다.

  • PDF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쇼핑 경험가치 지각과 브랜드자산 및 점포충성도의 관계에 관한 비교 연구: 대형 할인점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Shopping Values, Brand Equity, and Store Loyalty of Korean and Chinese Consumers: A Case of Large Discount Store)

  • 황순호;오종철;윤성준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4권2호
    • /
    • pp.209-237
    • /
    • 2012
  • 오늘날의 소비자들은 가격, 제품의 품질 등 실용적 가치 보다 쇼핑의 즐거움, 라이프스타일의 구현, 매력적인 점포쇼핑환경, 브랜드 애착심 등의 정서적 가치를 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이처럼 소비자들은 단순히 상품만을 구매하기보다는 다양한 가치를 얻기 위해 쇼핑을 한다는 사실은 여러 연구에서 제안되었다(안광호와 이하늘 2011; Mathwick 등 2001). 이렇듯 소매점포 선택과 관련한 소비자행동차원의 쇼핑경험가치와 브랜드자산에 대한 중요성과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관련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며 이와 관련한 비교문화적 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황순호 2010).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소비자들의 소매점포 선택과 관련한 소비자행동연구의 필요에 의해 시작되었다. 또한 소비자행동분야에서 소비자 경험이 중시되면서 소매점내 쇼핑경험가치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으로 서로 다른 한국과 중국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대형할인점 소매점포에서 고객들이 지각하는 쇼핑 경험가치와 브랜드자산과의 관계를 밝혀내고 이를 통해 점포 충성도와의 관계를 찾아내어 소매점의 쇼핑 경험가치와 관련된 시사점을 찾아내기 위한 국가 간 비교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으로 쇼핑가치와 유통브랜드 자산, 그리고 점포 충성도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소개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한 자료 수집을 위하여 한국과 중국의 대형할인점 고객들을 대상으로 한국과 중국의 대도시 (서울 과 북경) 소비자들을 표본프레임으로 설정하고, 대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한중간 소비성향 차이 비교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소비자와 중국 소비자 간의 소비성향차이를 검정한 결과 중국 소비자들은 심미적 소비성향과 상징적 소비성향의 평균값이 한국 소비자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한국 소비자들은 쾌락적 소비성향이 중국소비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형할인점에 대한 한국과 중국의 브랜드 자산 지각에 대한 연구결과 중국에 비해 한국 소비자들이 브랜드 인지와 브랜드 이미지를 모두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과 중국에서 편의점과 할인점 이용 고객들이 지각하는 소매점에서의 쇼핑경험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각각의 국가에 따라 각기 다른 쇼핑경험가치가 나타났다. 한국의 할인점에서는 소비자이익 가치, 심미성가치, 유희성 가치가 중요한 쇼핑가치로 도출되었다. 또한 중국의 할인점에서는 유희성 가치, 심미성 가치, 소비자이익 가치, 서비스우수 가치가 중요한 쇼핑경험가치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과 중국의 대형할인점 소비자들의 쇼핑경험가치과 브랜드자산을 바탕으로 한국의 대형할인점에 있어서 경험가치의 이론적 중요성에 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여 주며 충성도 제고에 있어서 브랜드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하여 준다. 이와 더불어 유통의 국제화 시대에 있어서 대형할인점의 국제화에 요구되는 한국과 중국 간의 고객 가치의 차이점에 대한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중요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즉, 해외유통전략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쇼핑가치에 기반한 현지화 전략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여 주며 국가차원에서의 차별적 유통전략의 개발 필요성을 제안하여 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