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tensils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37초

식품용 생분해성 합성수지제의 안전성 조사 (Investigation on the Safety of Biodegradable Synthetic Resins for Food)

  • 윤희정;전종섭;김영수;박성희;송서현;구은정;채선영;이명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95-101
    • /
    • 2024
  • 유통 중인 생분해성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식품용 기구 및 위생용품 50건을 대상으로 '식품용 기구 및 용기·포장공전'의 기준·규격을 검사하였다. PLA 재질의 유아식기 1건에서 '과망간산칼륨소비량'이 20 mg/L으로 기준치(10 mg/L 이하)를 초과하였고, 그 외 모든 시료에서는 포름알데히드, 납, 비소 등이 기준·규격 이하로 안전한 수준이었다. 또한 가정에서 유아식기를 소독하는 방법의 안전성을 조사하기 위해, PLA 재질의 유아식기(n=21)에서 반복적인 열탕소독과 자외선 조사에 따른 이행량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반복적인 열탕소독이 자외선 조사에 비해 포름알데히드와 비소의 이행량이 많았으나, 이행량은 매우 낮은 수준이었다. 그리고 유아(만 1-3세) 기준으로 계산한 포름알데히드와 비소의 일일추정섭취량(EDI)은 최대 6.0×10-4mg/kg b.w./day 및 1.3×10-1 ㎍/kg b.w./day였으며, 이는 일일섭취한계량(TDI, 0.15 mg/kg b.w./day) 및 잠정주간섭취허용량(PTWI, 9.0 ㎍/kg b.w./week)의 0.40% 및 10.42%로 낮은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현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식품용 생분해성 합성수지제는 안전한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유통 화장품 중 내분비계 장애물질 탐색 및 규명에 관한 연구 (The analysis of endocrine distruptors in commercial cosmetics)

  • 구희수;나영란;이승주;민상기;강정미;진성현
    • 분석과학
    • /
    • 제28권3호
    • /
    • pp.212-220
    • /
    • 2015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hthalates (DMP, DEP, DBP, DEHA, BBP, DEHP, and DNOP) and heavy metals such as lead (Pb), cadmium (Cd), and mercury (Hg) in cosmetics and their containers. Phthalates and heavy metals may be endocrine distruptors. Sixty-five cosmetics were purchased from online and offline stores in Busan. This study developed a simultaneous method for the analysis of phthalates by GC-FID. The results showed that among the 65 cosmetics, DBP, DEHP, and DEP were detected at 20.0%, 7.7%, 1.5%, respectively. The amounts of DBP and DEHP detected in 18 samples were less than 100 μg/g, which satisfies the Regulations of Cosmetic Safety Standards in Korea. In order to detect phthalates in cosmetic containers, a dissolution test was conducted by extracting solutions, such as water, n-heptane, 20% ethanol, 50% ethanol and 4% acetic acid, which were prepared with different levels of pH, alcohol content, and fat content following the Korea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for Utensils, Containers, and Packaging. The results showed that DMP, DBP, DEHA, BBP, DEHP, and DNOP were not detected, DEP was detected in plastics such as PE, PP, and others, when a 50% alcohol solvent was used. Phthalates may not be detected in cosmetic containers if they are not packaged with the above 20% alcohol constituent. We also analyzed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such as Pb, Cd, and Hg, by using ICP-OES and a mercury analyzer. The ranges of concentration were ND~2.71 μg/g for Pb, ND~0.31 μg/g for Cd, and ND~0.01 μg/g for Hg, which are below the regulated level.

Development of a Screening Method and Device for the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from Agri-Food Production Environments and Fresh Produce

  • Yun, Bohyun;An, Hyun-Mi;Shim, Won-Bo;Kim, Won-Il;Hung, Nguyen Bao;Han, Sanghyun;Kim, Hyun-Ju;Lee, Seungdon;Kim, Se-Ri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12호
    • /
    • pp.2141-2150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screening method using Colilert-18 and a device for the detection of E. coli from agri-food production environments and fresh vegetables. The specificity and sensitivity of Colilert-18 by temperature ($37^{\circ}C$ and $44^{\circ}C$) were evaluated with 38 E. coli and 78 non-E. coli strains. The false-positive rate was 3.8% (3/78) and 0% (0/78) at $37^{\circ}C$ and $44^{\circ}C$, respectively. The detection limit of E. coli at $37^{\circ}C$ at <1.0 log CFU/250 ml was lower than that at $44^{\circ}C$. The efficiency of the developed device, which comprised an incubator equipped with a UV lamp to detect E. coli in the field,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UV lamp brightnes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t temperature and actual temperature of the developed device was about $1.0^{\circ}C$. When applying the developed method and device to various samples, including utensils, gloves, irrigation water, seeds, and vegetable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detection rates of E. coli compared with the Korean Food Code method. For sanitary disposal of culture samples after experiments, the sterilization effect of sodium dichloroisocyanurate (NaDCC) tablets was assessed for use as a substitute for an autoclave. The addition of one tablet of NaDCC per 50 ml was sufficient to kill E. coli cultured in Colilert-18. These results show that the developed protocol and device can efficiently detect E. coli from agri-food production environments and vegetables.

IoT 적용 대장균 검출기 개발과 농식품 및 생산환경에 적용 (Development of an IoT Device for Detecting Escherichia coli from Various Agri-Foods and Production Environments)

  • 웅웬바오훙;추현진;김원일;황인준;김현주;김황용;류경열;김세리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542-550
    • /
    • 2019
  • 농식품과 생산환경에서 대장균 오염여부를 휴대 전화에서 실시간으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IoT 기반 스마트 대장균 검출 장치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대장균 검출기는 온도 조절부, UV 램프, 고해상도 카메라 및 검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로 구성된 장치이다. 검출기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온도, 대장균 검출 시간 및 검출한계를 측정하였는데, 개발 된 장치의 설정 온도와 실제 온도의 차이는 약 1.0℃ 이내 였다. 또한 검출시간은 1CFU / 100 mL일 때 15 시간이었고, 대장균 오염농도가 증가할수록 검출시간이 감소하였다. 개발된 스마트 대장균 검출기를 기구, 장갑, 관개 수, 종자 및 채소를 포함한 다양한 시료에 적용했을 때, 대장균의 검출율은 식품공전법으로 분석하였을 때보다 높았다. 따라서 개발된 대장균 검출기술은 농식품 및 생산환경에서 대장균을 효율적으로 검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조리 종사원의 위생 지식과 위생 관리 수행도간의 관계에서 위생 교육의 조절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derating Effect of Sanitation Education in Relationship between Sanitation Knowledge and Sanitation Management Performance of Culinary Employees)

  • 김동진;김기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91-307
    • /
    • 2010
  • 본 연구는 국내 단체급식의 위생 및 식품안전에 질적 향상을 위해 단체급식 조리 종사원의 위생 지식 정도를 알아보고 이러한 조리 종사원의 위생 지식이 위생 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위생 지식과 위생 관리 수행도의 관계에서 위생 교육의 필요성, 이해도, 만족도, 적용도의 조절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는 대구 경북 지역의 36개소 단체급식소(중 고등학교, 대학교, 기업체, 병원) 등의 각 업체마다 100부의 설문지를 각각 배포하였고, 361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그 결과, 조리 종사원의 위생 지식은 개인 위생 지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위생 지식과 위생 관리 수행도 간은 유의한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 위생 지식이 위생 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위생 교육의 필요성은 긍정적인 조절 효과를 보였다. 하지만, 위생 교육의 이해도, 만족도, 적용도는 유의한 조절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그렇지만, 개인 위생 지식을 제외한 식품 보관 지식, 식품 취급 지식, 기기 및 기구 취급 지식이 위생 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는 4개 조절변수가 유의한 조절 효과를 보였다.

  • PDF

잡채를 중심으로 한 단체급식시설의 위생개선을 위한 HACCP 적용에 관한 연구 (Application of HACCP for Hygiene Control to Jabchae in Team Foodservice Facility)

  • 이선애;박경준;강성태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81-97
    • /
    • 2003
  • 서울시내에 위치한 위탁급식을 실시하는 중학교에서 제공하는 음식 중 잡채의 생산공정별 각 단계에서 HACCP을 적용하여 시간, 온도, 미생물 분석을 통하여 위해 요소를 분석하고 통제하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잡채의 음식의 생산단계에서 음식의 위해 요인의 발생은 온도, 소요시간, 미생물 증식, 용기의 위생 등 복합적 요인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거의 모든 원재료, 전처리 및 저장단계, 배식단계가 CCP로 설정되었다. 잡체 원재료의 미생물학적 품질은 검수단계에서 총균수($10^2$$10^{5}$ ), 대장균군수(0∼$10^3$)으로 검출되었으나 세척이나 살균과정을 거치면서 총균수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며 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아니하였다. 잡채 제조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3시간만에 총균수가 5.1${\times}$$10^2$/g으로 증가되었다. 원재료의 철저한 검수, 전처리 과정시 교차오염의 방지와 생야채의 소독이 필수적이었고 조리과정시 세균사멸에 필요한 열장 온도를 지키며 저장과정과 조리후 급식까지 방치되는 시간을 최대한 줄여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급식되는 음식의 안전을 위해서는 최상의 원료구입과 음식생산단계에서의 시간단축, 적절한 온도에서의 보관, 위생적 기구사용을 통해 미생물의 증식방지 및 위생관리, 그리고 조리 종사원의 위생상태에 대한 습관화에 노력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HACCP제도를 활용한 피자 전문 패스트푸드 업체의 자체 위생관리기준 설정 - 샐러드를 중심으로 - (Application of HACCP System on Establishing Hygienic Standards in Pizza Specialty Restaurant - Focused on Salad Items -)

  • 이복희;김인호;허경숙;조경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1권10호
    • /
    • pp.101-116
    • /
    • 2003
  • The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hygienic standards of salad items for pizza restaurant located in Seoul by applying HACCP system during the summer of 2000. The study measured temperature, time, pH, Aw and microbial assessments. The hygienic conditions of the kitchen and workers were on the average(1.21, 1.0 out of 3 pts.), but some improvement should be made: separate use of trash can and leftover disposal, separate use of knives and cutting boards, habits for hand washing and wearing hygienic gloves. For salad production, all procedures were peformed under food safety danger zone ($5{\~}60^{\circ}C$). The ingredients were mostly above pH 5.0 and high in Aw($0.94{\~}0.99$). Microbial assessments for salad production revealed that TPC($1.8{\times}10^3{\~}1.0{\times}10^{10}CFU/g$) and coliforms($1.5{\times}10{\~}5.2{\times}10^5 CFU/g$) exceeded the standards by Solberg et al.(TPC: $10^6CFU/g$, coliforms: $10^3CFU/g$). S. aureus was not detected but Salmonella was found in three food items(egg, macaroni and macaroni salad). Moreover, the workers' hands contained 3.1 104 CFU/g of TPC and 4.2 102 CFU/g of S. aureus requiring further remedy since it exceeded the safety standards suggested by Harrigan and McCance (500 CFU/g of TPC per $100cm^2$ and 10 CFU/g of coliforms per $100cm^2$). According to the critical control point(CCP) decision tree analysis, vegetable receiving, vegetable holding, mixing, display on coleslaw, macaroni draining, display on macaroni salad, egg peeling & cutting, apple cutting, and display on salad bar were determined as CCPs. From the findings it would be suggested that purchase of Quality materials, short holding and display time, storing food at right temperature, using sanitary cooking utensils, and improvement of workers' food handing practices are needed to ensure the safe salad production in this specific pizza restaurant.

위탁급식을 실시하고 있는 고등학교 급식음식의 품질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Quality Control of Food Served by Contracted Management in High School Foodservice Centre)

  • 김혜영;김희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04-314
    • /
    • 2000
  • 최근 고등학교 급식 전면 실시 방침에 따른 학교급식의 확대와 더불어 급식의 위탁화가 가속되고 있는 실정으로 급식의 규모는 점차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단기간에 성장한 국내급식 산업은 위탁급식업체간 수준차이가 많으며, 그 위생관리 수준은 선진 외국의 수준과 비교하였을 때 아직은 초보적인 단계에 지나지 않는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서을 시내에 위치한 위탁급식을 실시하는 C고등학교에서 제공되는 음식 중 카레갈치튀김, 미역오이냉채,돈가스의 생산 공정별 각 단계에서 HACCP를 적용하여 시간, 온도, pH, Aw, 미생물 분석을 통하여 위해요소를 분석하고 통제방법을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국내 급식과정에서 볼 수 있는 각 계절별 상온방치를 예상하여 모의실험을 한 후의 미생물적 안전성을 조사하였다. 각 음식의 생산 단계에서 음식의 위해요인 발생은 온도, 소요시간, pH, Aw, 기구 및 용기의 위생 등의 복합적 요인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레갈치튀김의 경우 조리, 급식 전 보관단계, 미역 오이냉체는 전처리, 조리 급식 전 보관단계, 돈가스·소스는 조리, 급식전 보관단계가 중점관리점(Critical Control Point)로 나타났다. 또한 음식이 급식때까지 실온에 지연되는 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미생물 증식이 상당히 억제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 PDF

공동관리 초등학교의 안전한 오징어덮밥 생산을 위한 HACCP적용 (Implementation of HACCP Model for Steamed Rice with Squid Served from Elementary School with Joint-Lunch Management System)

  • 박금순;이인숙;금경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365-372
    • /
    • 2004
  • 본 연구는 공동관리 급식을 시행하는 초등학교의 안전한 급식을 위하여 HACCP 시스템 적용 지침을 개발하고자 경북 경산지역에 위치한 W와 D초등학교의 급식메뉴를 선정하여 2002년 12월∼2003년 2월에 실시하였다. 급식 메뉴에서 학생들의 편식을 교정하데 도움이 되며, 미생물에 의한 오염 가능성이 높은 냉동 해산물을 사용하는 오징어덮밥을 HACCP 적용메뉴로 결정하였다. 오징어 덮밥의 생산 단계에 따라 공정흐름도를 작성하여 생산단계에서 반드시 점검해야 할 HACCP을 적용 지침를 제시하였다 (1) 해동 및 세정: 냉동 오징어는 흐르는 수도물로 해동하여 손질한 후 조리직전까지 식품의 내부온도는 가능한 1$0^{\circ}C$ 이하로 유지 또는 냉장보관하고, 소요시 간은 30분을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채소는 3구 세정대에서 세정하고, 지하수 사용은 배제해야 하며 작업은 20분 이내에 완료되도록 한다. (2) 썰기: 오징어와 채소를 사용하는 칼과 도마는 구별하여 사용하며, 조리원의 개인위생을 점검하고, 칼과 도마를 포함한 조리기구의 사용 전 후의 세정 및 소독상태를 확인한다. (3)조리: 오징어와 채소는 각각 조리(데치기와 볶기)한 후 함께 섞어 끓인다. 오징어는 완전히 익혀야 하며, 완성된 음식의 내부온도는 94$^{\circ}C$ 이상이어야 하며, 21분 이상 가열한다. 맛보기 는 올바른 방법으로 실시해야 한다. (4) 배식: 조리원의 위생습관(마스크, 머리수건 및 일회용 장갑착용)을 확인하고, 음식 (오징어덮밥)의 내부온도(84.4$^{\circ}C$이상)와 조리실의 이상적 실내온도(15∼18$^{\circ}C$), 조리기구 취급이 위생적으로 이루어지는지 확인한다. 공동관리교의 안전한 급식은 표준화된 메뉴에 따라 공정 흐름도를 작성해야 하며, HACCP이 적용된 지침서가 모든 메뉴에 따라 갖추어 져야 비로소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정확한 온도를 측정하고 HACCP을 이해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과 다양한 종류의 식단을 생산할 수 있는 기본적인 시설과 기구를 갖춘 조리실, 전문 영양사와 고용 조리원 확보 및 안전한 식수공급이 이루어 져야 하며 이를 뒷받침하는 국가차원의 지원과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2020년 충남지역 집단급식소에서 발생한 대형 식중독의 사례 보고 (Case Report for a Large-Scale Food Poisoning Outbreak that Occurred in a Group Food Service Center in Chungnam, Korea)

  • 이현아;김준영;남해성;최지혜;이다연;박성민;임지애;천영희;최진하;박준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25-531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epidemiological features of a food poisoning outbreak in a company cafeteria located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Korea in June of 2020 and to suggest preventive measures for a similar incidence. Methods: A total of 84 patients with acute gastroenteritis were examined. Environmental samples were obtained from 16 food handlers, six food utensils, 135 preserved foods served over three days and nine menus, and six drinking water samples. These are analyzed to detect viruses and bacteria. Results: Ninety-four out of the 402 people who were served meals (23.4%) predominantly showed symptoms of diarrhea, and the number was over 3 times. Among the 84 patients under investigation, 17 cases (20.2%) were positive for Enteropathogenic E. coli (EPEC) and 18 cases were positive for Clostridium (C.) perfringens (21.4%). Based on the investigation, it was concluded that the main pathogens were EPEC and C. perfringens. For EPEC, it was detected in three of the food service employees and in the preserved food and curry rice. The results of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 indicate that all EPEC cases are closely related except for one food service employee. Assuming that isolated EPEC originated from the preserved food, the incubation period is about 25 hours. The origin of the C. perfringens was not determined as it was not detected in the food service employees or environmental samples. Conclusions: This case suggests that food provided in group food service centers must be thoroughly managed. In addition, identifying the pathogens in preserved food is very important for tracing the causes of food poisoning, so food must be preserved in an appropriate condition. To prevent similar food poisoning cases, analyzing cases based on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and sharing the results is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