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r's density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5초

Highly Complex Green Parts in Excellent Quality

  • Nies, Norbert;Peters, Detlef
    • 한국분말야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분말야금학회 2006년도 Extended Abstracts of 2006 POWDER METALLURGY World Congress Part2
    • /
    • pp.747-749
    • /
    • 2006
  • SMS Meer GmbH, formerly Mannesmann and today part of the SMS Group, has been building powder presses since the early 1950s. The patents developed here in this field have long since documented the pioneering work carried out for the PM industry. The paper focuses on the challenge of reconciling the contradictory demands in the production of highly complex and crack-free PM parts. The process employed with the patented Controlled Punch Adapter (CPA) [1] counters possible cracking reliably and directly at the source. In this way is it possible to develop new and highly complex parts to series production maturity in a minimum of time even without simulation of the press cycle [2]. The quality data achieved in the production series, almost 100% crack and micro crack-free green parts with optimum density distribution over all press levels is unrivalled and thus gives the user a clear lead over the competition.

  • PDF

대중교통 알리미 어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Guidance App for Public Transportation)

  • 이정엽;류영수;황정희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15-121
    • /
    • 2017
  • 우리나라는 수도권지역에 인구 밀집도가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나라이다. 수도권 지역의 사람들은 대중교통을 이용한 출퇴근이나 등교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를 돕고자 대중교통에 관련된 많은 어플리케이션이 출시되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대중교통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은 일반적인 시간표를 알려주거나, 사용자의 수동적인 환경에서만 알림이나 실시간 등의 기능만 제공해 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에 따른 대중교통 정보를 제공해주고, 알림기능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대중교통의 이용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며, 대중교통이 아닌 도보의 경우까지 포함하여 정보를 제공하는 앱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무선 에너지 하비스팅 인지 무선 네트워크에서 최적의 채널 선택 정책을 이용한 채널 선택 (Channel Selection Using Optimal Channel-Selection Policy in RF Energy Harvesting Cognitive Radio Networks)

  • 정준희;황유민;차경현;김진영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5
    • /
    • 2015
  • 최근 무선 에너지 하비스팅 기술이 센서와 같은 소형 IoT 디바이스들의 크기 제한으로 인한 배터리 부족 문제의 해결방법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이 기술이 기존의 인지무선 네트워크에 적용된다면 인지 유저들의 운용시간 증가로 인한 네트워크 처리량의 증가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지 유저(Cognitive User)가 근처에서 동작 중인 우선 유저(Primary User)의 특정 거리 안에 존재할 때 우선 유저가 전송한 통신 신호로부터 무선 에너지 하비스팅을 하고 특정 거리 밖에 존재할 때 비어있는 채널을 골라 통신을 하도록 한다. 이 때 우선 유저와 인지 유저는 Homogeneous Poisson Pont Process 형태로 분포되어 있고 통신을 하고 있는 수신자들과 일정한 거리로 떨어져있다. 위와 같은 네트워크 모델에서 주어진 여러 가지 조건하에 인지 유저 네트워크 처리량을 최대화할 수 있는 전송파워, 인지 유저 밀도 제안하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한다.

적응형 군집화 기반 확장 용이한 협업 필터링 기법 (Scalable Collaborative Filtering Technique based on Adaptive Clustering)

  • 이오준;홍민성;이원진;이재동
    • 지능정보연구
    • /
    • 제20권2호
    • /
    • pp.73-92
    • /
    • 2014
  • 기존 협업 필터링 기법은 사용자들의 아이템에 대한 선호도를 기반으로 유사 아이템 집합 또는 유사 사용자 집합을 구성하고, 이를 이용해 예측된 사용자의 특정 아이템에 대한 선호도를 기반으로 추천을 수행한다. 이로 인해, 사용자 선호도 정보가 부족하게 되면, 유사 아이템 사용자 집합의 신뢰도가 낮아지고, 추천 서비스의 신뢰도 또한 따라서 낮아진다. 또한, 서비스의 규모가 커질수록, 유사 아이템, 사용자 집합의 생성에 걸리는 시간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추천서비스의 응답시간 또한 그에 따라 증가하게 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적응형 군집화 기법을 제안하고 이를 적용한 협업 필터링 기법을 제안하고 있다. 이 기법은 크게 네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첫째, 사용자와 아이템의 특성 벡터를 기반으로 사용자와 아이템 각각을 군집화 하여, 기존 협업 필터링 기법에서 유사 아이템, 사용자 집합을 생성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며, 사용자 선호도 정보만을 이용한 부분 집합 생성보다 추천의 신뢰도를 높이고, 초기 평가 문제와 초기 이용자 문제를 일부 해소한다. 둘째, 미리 구성된 사용자와 아이템의 군집을 기반으로 군집간의 선호도를 이용해 추천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속한 군집의 선호도가 높은 순서대로 아이템 군집을 조회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아이템 목록을 구성하여, 추천 시스템의 부하 대부분을 모델 생성 단계에서 부담하고 실제 수행 시 부하를 최소화한다. 셋째, 누락된 사용자 선호도 정보를 사용자와 아이템 군집을 이용하여 예측함으로써 협업 필터링 추천 기법의 사용자 선호도 정보 희박성으로 인한 문제를 해소한다. 넷째, 사용자와 아이템의 특성 벡터를 사용자의 피드백에 따라 학습시켜 아이템과 사용자의 정성적 특성 정량화의 어려움을 해결한다. 본 연구의 검증은 기존에 제안되었던 하이브리드 필터링 기법들과의 성능 비교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평가 방법으로는 평균 절대 오차와 응답 시간을 이용하였다.

스마트폰으로 측정된 사용자의 이동속도분포에 관한 연구 (On the Distribution of the Movement Speed of Smartphone Users)

  • 김우진;장원철;송하윤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2권11호
    • /
    • pp.567-575
    • /
    • 2016
  •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이용한 모바일 앱이 늘어나면서 위치정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치정보를 이용한 사용자의 이동속도를 나타내는 간단한 분포함수를 찾고자 한다. 스마트폰에서 제공하는 위치정보는 경우에 따라 큰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이동속도 분포의 경우 교통수단에 따라 여러 가지 다른 분포들의 혼합분포로 표현할 수 있다. 속도의 분포함수를 찾기 위하여 혼합분포를 이용하여 꼬리부분에 해당하는 분포를 찾고 이부분을 설명할 수 있는 모수 분포모형을 찾는다.

[캠퍼스 공간설계 유형에 따른 이용자의 지각반응특성에 관한 연구-안전지각과 시각선호에 대한 비교 분석- (User's responses to the type of campus layouts -Based on perceived safety and landscape visual preferences-)

  • 엄붕훈;한성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04.1-104.1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user''''s response to perceived safety and visual preferences for outdoor green spaces by the types of campus layouts. This research was investigated by color slide ratings and questionnaire survey to the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Landscape architecture in three universities locating at Taegu area. Two research sites have similarities in many ways but have differences in campus land form and design type such as ''''Closed'''' and ''''Open'''' types. Major results were summarised as follows ; 1. As a result of the slide test, the high degree of visual preference was shown in the campus that is ''''Closed'''' type. However the degree of perceived safety was lower than that of in Youngnam Univ. campus. 2.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user''''s perceived safety and visual preferences in each campus, the degree of perceived safety at ''''Closed'''' type was lower than that of ''''Open'''' type, but the degree of visual satisfactioni was higher at ''''Closed'''' type. 3. The factors affecting visual preference in campus were shown as density of wood, land form, and diverse type of the spaces. On the other hand, the factors affecting perceived safety were ''''enclosed space by wood'''' at the day time, and ''''the condition of lighting'''' at night. 4. Regarding gender differences in sensation of each space variables, female users showed higher satisfactio on the scenic beauty. 5.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general satisfation was determined by the variables such as ''''arrangement'''', familiarity'''', ''''cleanness'''', and ''''closed feeling'''', in Kyungbook Univ. And in Youngnam Univ. , the variables were ''''texture'''', ''''perceived beauty'''', ''''cleanness'''', and ''''complexity'''' respectively. 6. In conclusion, campus users wanted the outdoor spaces that have various land form and somewhat ''''open-closed'''' mixture type, which has a good ''''Edge Effect'''' to satisfy both aspects in safety and visual preferneces.

"캠퍼스" 공간설계 유형에 따른 이용자의 지각반응특성에 관한 연구-안전지각과 시각선호에 대한 비교 분석- (User's responses to the type of campus layouts -Based on perceived safety and landscape visual preferences-)

  • 엄붕훈;한성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04-116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user's response to perceived safety and visual preferences for outdoor green spaces by the types of campus layouts. This research was investigated by color slide ratings and questionnaire survey to the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Landscape architecture in three universities locating at Taegu area. Two research sites have similarities in many ways but have differences in campus land form and design type such as 'Closed' and 'Open' types. Major results were summarised as follows ; 1. As a result of the slide test, the high degree of visual preference was shown in the campus that is 'Closed' type. However the degree of perceived safety was lower than that of in Youngnam Univ. campus. 2.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user's perceived safety and visual preferences in each campus, the degree of perceived safety at 'Closed' type was lower than that of 'Open' type, but the degree of visual satisfactioni was higher at 'Closed' type. 3. The factors affecting visual preference in campus were shown as density of wood, land form, and diverse type of the spaces. On the other hand, the factors affecting perceived safety were 'enclosed space by wood' at the day time, and 'the condition of lighting' at night. 4. Regarding gender differences in sensation of each space variables, female users showed higher satisfactio on the scenic beauty. 5.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general satisfation was determined by the variables such as 'arrangement', familiarity', 'cleanness', and 'closed feeling', in Kyungbook Univ. And in Youngnam Univ. , the variables were 'texture', 'perceived beauty', 'cleanness', and 'complexity' respectively. 6. In conclusion, campus users wanted the outdoor spaces that have various land form and somewhat 'open-closed' mixture type, which has a good 'Edge Effect' to satisfy both aspects in safety and visual preferneces.

  • PDF

북한산 국립공원의 이용객이 야생조류에 미치는 영향 (User′s Effects on Avifauna in Bukhan Mountain National Park)

  • 김갑태;오구균;최영주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4-34
    • /
    • 1987
  • 본 연구는 북한산국립공원 북한산지구의 조류실태 및 조류서식에 미치는 이용객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계곡부와 중복 산악지역의 주등산로와 부등산로지역에서 각 각 1개소씩, 총 4개 조사지를 대상으로 1987년 4월-10월 동안 매 2개월마다 line transect법으로 조류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북한산지구에서 관찰된 조류는 총 34종 753개체이었으며 이중, 텃새 19종, 여름철새 11종, 나그네새 2종, 겨울철새 2종이었다. 전체적으로 우점종은 박새(22.7%)이었으며 붉은머리오목눈이(10.9%), 쇠박새(10.8%), 까치(10.0%)순으로 우점도가 높았다. 산악지역보다 계곡지역에서 종 수 및 종다양도가 높게 나타났다. 부등산로 조사지보다 이용강도가 높은 주등산로 조사지의 종 수, 개체수, 종다양성이 낮았으며 특히, 계곡부에서 이용객이 집중하는 8월에 조류감소가 현저히 나타났다. 그러나 이용강도에 따른 유사도지수변화는 없었다. 따라서 이용객이 많은 주등산로 주변의 주연부 식생의 회복 및 복구, 조류번식기에 계곡부이용객 통제 등 조류보호대책이 필요하였다.

  • PDF

골밀도 상태에 따른 검사자의 재현성 평가 (The Precision Test Based on States of Bone Mineral Density)

  • 유재숙;김은혜;김호성;신상기;조시만
    • 핵의학기술
    • /
    • 제13권1호
    • /
    • pp.67-72
    • /
    • 2009
  • ISCD (International Society for Clinical Densitometry)에서는 골밀도 검사자의 전문성을 키우고자 검사자의 재현성 시험을 필수 자격조건으로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재현성 시험의 대상자 선정에 대한 권고안이 불확실하여 골밀도 상태에 따른 그룹별 재현성을 시험해 골밀도 차이가 재현성 시험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2008년 1월부터 6월까지 본원에 내원한 300명(57.8세$\pm$9.02)의 여성 골밀도 수검자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4명의 검사자가 재현성을 시험하였다. A그룹의 120명은 4명(a,b,c,d)의 검사자가 골밀도 상태와 관계없이 동일한 방법으로 요추부와 대퇴부를 30명씩 두 번 측정하였고 나머지는 B그룹으로 두 명의 검사자가 골밀도 상태에 따라정상, 골다공증, 골감소증 군으로 분류하여 A그룹과 동일한 방법으로 재현성을 시험하였다. 사용된 장비는 GE Lunar Prodigy Advance (Vr11.4)이고, 수집된 자료는 ISCD에서 배포된 Precision Tool을 이용하여 각각의 변동계수율(%CV)를 알아보았으며 SPSS 14.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A그룹의 %CV는 a, b,c, d 검사자가 각각 요추부 1.08, 0.83, 0.72, 1.37%, 대퇴부 1.08, 1.04, 1.4, 0.58 %로 산출되었고 동일 골밀도 상태의 요추와 대퇴부를 비교하면 재현성이 일관되지 않았다. B그룹에서는 a의 요추부 정상군 %CV가 1.26으로 가장 높았고 대퇴부는 0.94로 골다공증 군이 가장 높게 측정됐다. b는 요추부의 정상군 %CV가 0.97로 가장높았고 대퇴부는 1.04로 골다공증 군에서 가장 높았다. 요추부의 정상군과 대퇴부의 골다공증 군은 %CV가 가장 높게 나타나 골밀도 상태에 따른 재현성이 일관되지 않았다. 본원의 골밀도검사 재현성 시험은 골다공증 상태의 수검자를 제외한다. 그 이유는 ISCD의 대상자 선정이 불확실하고, 골밀도가 낮을수록 장비의 골 인식도가 떨어져 재현성 시험을 시행할 경우, 검사자의 수작업을 요하므로 좋은 재현성을 얻기 힘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재현성 결과값은 LSC (Least Significant Change)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장비, 검사자, 수검자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오차를 반영해야 한다. 실험결과는 골밀도 상태가 재현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따라서 정상, 골감소, 골다공증의 구별 없이 대상자의 선정 폭을 넓혀 대상에 구애 받지 않고 보다 정확한 의미의 재현성 시험을 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 EDA Analysis of Seoul Metropolitan Area's Mountain Usage Patterns of Users in Their 20~30s after COVID-19 Occurrence

  • Lee, BoBae;Yeon, PoungSik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29-244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user behavior in order to cope appropriately with the increasing demand for mountain usage of those in their 20s and 30s and to allocate resources efficiently. Methods: To analyze the behavior of mountain hiking users, an exploratory data analysis (EDA) was conducted on the data which had been collected in the app Tranggle. The main target are users in their 20s and 30s who visited the mountains in the metropolitan area in 2019-2020. Among them, we have selected data on the top 13 mountains based on the frequency of visits. After data pre-processing, mountain usage patterns were analyz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and visualization. Results: Compared to 2019, the number of users in 2020 increased 1.36 times. The utilization rate of the well-established hiking trails has also increased. The usage of mountain on weekends (Saturday > Sunday) was still the highest, and the difference in the usage between the days of the week decreased. Outside of work hours, early morning usage has increased and night-time usage has decrease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usages depending on activity type, level (experience point) and exercise properties. Conclusion: Since the COVID-19 outbreak, the usage of mountains has been changing towards low user density and short-distance trip. in the post-COVID-19 era, the function and role of forests in daily life are expected to increase. To cope with this, further research needs to be carried out with consideration of the wider demographic and social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