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ability evaluation index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6초

통합정보검색시스템의 인터페이스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face Evaluation Guidelines for Integrated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 이두영;윤대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77-197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객관적으로 측정가능한 이용자 중심의 통합정보검색시스템의 인터페이스 평가영역과 세부평가지표를 설정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인터페이스 평가모델을 종합하여 인터페이스 평가영역 및 지표를 도출하고 전무가 집단의 설문조사를 통해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한 인터페이스 평가지표를 설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합정보검색시스템의 인터페이스의 평가영역을 페이지 디자인, 컨텐츠 디자인, 사이트 디자인, 정보검색 및 출력, 사용편리성, 미적 표현 그리고 일반 및 기타의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도출된 평가영역은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지적${\cdot}$감성적 측면의 평가 관점에서의 페이지 디자인, 컨텐츠 디자인, 사이트 디자인, 정보검색 및 출력, 사용편리성, 미적 표현 그리고 일반 및 기타의 7개 평가영역이 신뢰성이 있었으며, 객관적 측면의 평가 관점에서는 페이지 디자인, 컨텐츠 디자인, 사이트 디자인, 정보검색 및 출력, 사용편리성의 5개 평가영역이 신뢰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시 공공공간 디자인 평가 지표 도출 및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Evaluation Indicators and Improvements of Urban Public Space)

  • 이훈길;이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8021-8029
    • /
    • 2015
  • 본 논문은 공공공간의 개선 방안을 위하여 고려되어야 하는 평가 지표를 도출하고 공무원/학계 및 실무자 측면에서 중요도를 비료/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공공간의 특성에 따른 계획항목을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도출하고, 세부지표들을 선별 후 전문가그룹인터뷰(FGI : Focus Group Interview)를 통하여 도출과정의 적합성과 도출된 항목들에 대한 부적합 여부를 논의하고, 합의된 항목만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표는 전문가 설문을 통한 계층적 의사결정법(AHP : Analytic Hierachy Process)을 실시하여 중요도를 분석하고 종합순위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공공공간의 중요도는 실무 전문가의 경우 사용성, 공공성, 환경성, 연계성, 정체성, 공간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공무원/학계는 사용성, 환경성, 연계성, 정체성, 공간성, 공공성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합분석 결과 우선순위에서 실무 전문가는 안전성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했으며, 공무원/학계는 청결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향후 공공공간의 개선 방안을 위한 계획적인 고려사항 및 평가로 활용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공공공간의 디자인가이드 라인으로 제시될 수 있다.

사용자 만족도에 기반 한 서비스 UX 인덱스 구축 -모바일 컨텐츠 기반 서비스를 중심으로 (Building Service UX Index : Measuring UX Satisfaction in Mobile Content Services)

  • 박종민;하현남;홍상우;정경원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41-51
    • /
    • 2014
  • 사용성 평가는 User Interface(UI)의 완성도를 진단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UX 디자인 프로세스 전반에 걸쳐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컨텐츠 기반 서비스의 경우 서비스가 실제 시장에서 어떻게 사용자들에게 지각되고, 어떤 경험 요소들이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지 등을 파악하는 데는 사용성 평가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비록 사용성이 사용자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하나의 요소이나, 그 외에 다양한 사용자의 주관적인 태도, 시장 성숙도 및 경쟁 현황 등 시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적인 변수 등은 포괄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사용성뿐만 아니라 실제 시장에서 사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내적, 외적 경험 요소들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모바일 컨텐츠 기반 서비스에서 사용자가 경험하는 전반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진단할 수 있는 UX 인덱스 모델을 구축하였다. 또한 설계된 UX 인덱스를 기반으로 실제 출시되어 운영 중인 서비스를 대상으로 한 정량 설문 분석을 통해 모델을 검증하고, 결과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본 인덱스에 대한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Verification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Virtual Reality Cognitive Evaluation System Based on Motion Recognition Analysis Evaluation

  • Jeonghan Kwon;Subeen Kim;Jongduk Choi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06-313
    • /
    • 2023
  • Background: As social problems due to the acceleration of the aging era and the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are becoming serious, virtual reality (VR)-based healthcare is emerging as an approach for preventing and managing health issues. Objects: This study used validity and reliability analyses to examine the clinical efficacy that is, the clinical value and usability of a novel VR cognitive evaluation system index that we developed. Methods: We developed a VR cognitive evaluation system based on motion recognition analysis evaluation for individuals aged 65 to 85. After conduct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 (K-MMSE) cognitive evaluation, the evaluation score was verifi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in the VR cognitive evaluation system. To verify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two groups, the Global Deterioration Scale (GDS) grades were categorized into a normal cognitive group (GDS grade 1) and a cognitive impairment group (GDS grades 2 and 3). The data were measured twice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between the two measurements and assess the stability and clinical value of the evaluation system. Results: Our evaluation system had a high correlation of 0.85 with the widely used K-MMSE cognitive evaluation. The system had strong criterion-related validity at the 95% confidence interval. Compared to the average score of GDS grade 1 in the VR cognitive evaluation system, the average score of GDS grades 2 and 3 in the VR cognitive evaluation syste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while also having strong construct validity at the 95% confidence interval. To measure the reliability of the VR cognitive evaluation system, tests-retests were conducted using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3,1), which equaled 0.923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The VR cognitive evaluation system we developed is a valid and reliable clinical tool to distinguish between normal cognitive status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이화학적 방법에 의한 국내산 잎담배의 품질평가에 관한 연구(제 1보) - 향끽미종 잎담배에 관하여 (Study of Quality Evaluation on Korean Tobacco Leaves According to Chemical Composition - On the Aromatic Tobacco Leaves)

  • 김신일;황건중;나효환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7-66
    • /
    • 198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imate the quality of six Korean aromatic tobacco vatsieties by using the methods which suggested by Shmuk, Bruckner, Pyriki, Phillip and Tso.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 The order of quality which estimated by the methods of Shmuk, pyriki, and phillip was 378-8 780-35 374-3 7801-19 Sohyang Hyangcho. 2. The order of quality by Bruckner's method was 7801-35 378-8 Sohyang 374-3 7801-19 Hyangcho. 3. By Tso's method the order of quality was 7801-35 374-3 378-8 7801-19 Sohyang Hyangcho. 4. In view of usability index the order of quality was Hyangcho 7801-19 Sohyang 378-8374-3 7801-35.

  • PDF

맞춤형화장품 베이스로서 리포좀 에센스의 물성 평가 및 피부타입에 따른 만족도 평가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Liposome Essences as Customized Cosmetic Bases and Evaluation of Satisfaction According to Skin Type)

  • 안형근;현통일;윤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1-10
    • /
    • 2022
  • 맞춤형화장품은 화장품산업에서 최근 사회환경의 빠른 변화에 대한 대응, 개성과 다양성을 추구하는 트렌드로서 지속적으로 언급되고 있다. 이에 사업장에서 용이하게 혼합하여 적용할 수 있는 맞춤형화장품 베이스로 리포좀 제형과 에센스 제형의 비율을 달리함으로써 피부타입에 대응한 리포좀 에센스 4 종을 제조하였다. 리포좀 에센스 4 종에 대한 휘발잔분 측정과 90 일 동안의 시간에 따른 나노 입자크기, 다분산지수, 제타전위 및 점도를 측정하였으며, 콜로이드 분산계의 안정성 평가방법으로서 터비스캔을 측정하였다. 또한 피부타입에 대응한 리포좀 에센스 4 종에 대해 간이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결과, 리포좀 에센스 4 종은 지성용보다는 건성용 제품에서 휘발잔분량이 증가하였으며, 입자크기는 165 ~ 175 nm 범위로 시간에 따라 증가 경향을 보여 최대 31.5%까지 증가하였고, 다분산지수는 0.23 ~ 0.26 정도로 시간에 따른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제타전위는 -74 ~ -72 mV로 시간에 따라 약간 감소 경향을 보이나 최대 14.0% 감소하는 정도로 변화가 거의 없었다. 점도는 2,580 ~ 3,290 cps 범위로 시간에 따라 감소 경향을 보여 최대 17.5% 감소를 보였다. 터비스캔 측정에서는 안정성의 척도인 turbiscan stability index가 모두 1.0 이하로 분산 안정성을 보였다. 피부타입 대응 전체적인 간이 사용성 만족도 평가(6 점법)에서는 중지성 피부용 제품(5.33 ± 0.75 점) > 중건성 피부용 제품(5.13 ± 0.95 점) > 건성 피부용 제품(5.03 ± 0.96 점) > 지성 피부용 제품(4.80 ± 1.04 점) 순으로 평가되었다. 리포좀 제형과 에센스 제형의 비율을 달리한 피부타입 대응 리포좀 에센스 4 종은 물성적으로 안정하며, 피부타입에 따른 맞춤형화장품 베이스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맞춤형화장품 베이스로서 나노에멀젼 앰플의 물성 평가 및 피부타입에 따른 만족도 평가 (Evaluation of Physical Properties of Nanoemulsion Ampoule as Customized Cosmetic Bases and Evaluation of Satisfaction According to Skin Type)

  • 김세연;안형근;김자영;윤경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43-355
    • /
    • 2022
  • 맞춤형화장품은 사회환경 변화와 개성을 중시하는 트렌드에 따른 화장품으로서 지속해서 언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나노에멀젼 제형과 앰플 제형의 비율을 달리함으로써 피부타입에 대응한 나노에멀젼 앰플 4 종을 제조하여, 맞춤형화장품 베이스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휘발잔분량을 달리한 나노에멀젼 앰플 4 종에 대해, 90 일 동안의 시간에 따른 입자크기, 다분산지수, 제타전위 및 점도를 측정하였으며, 콜로이드 분산계의 안정성 평가방법으로 터비스캔을 측정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인체 사용성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나노에멀젼 앰플 4 종은 지성용 시험품보다 건성용 시험품에서 휘발잔분량이 많음을 확인하였다. pH는 6.41 ~ 6.88 범위이며, 입자크기는 170 ~ 174 nm 범위로 90 일 경과 후 변화는 최대 1.2% 이내로서 입자크기 안정성에는 특이점이 없었다. 다분산지수는 모든 시험품에서 0.21 보다 작은 수치 내에서의 변화를 나타냄으로써 거의 일정하며, 단분산에 가까운 입도 분포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제타전위는 초기에 4종의 시험품 모두 -63 mV 이상이며, 시간에 따라 약간 감소 경향을 보이나 최대 2.5% 감소하는 정도로 변화가 거의 없었다. 점도는 초기에 4,100 ~ 5,100 cps 범위로 시간에 따라 감소 경향을 보여 최대 37.7% 감소하였다. 터비스캔 측정에서는 안정성의 척도인 turbiscan stability index가 모두 1.0 이하로 분산 안정성을 보였다. 피부타입에 대응한 나노에멀젼 앰플 4 종의 사용성 만족도 평가(6 점법)에서는 지성용 시험품(5.42 ± 0.67 점) > 중지성용 시험품(5.36 ± 0.67 점) > 중건성용 시험품(5.15 ± 0.69 점) > 건성용 시험품(4.75 ± 0.75 점)의 순으로 평가되었다. 나노에멀젼 앰플 4 종은 물성적으로 안정하며, 피부타입에 따른 맞춤형화장품 베이스로서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다양한 방법으로 확장 가능성도 기대된다.

식도암 환자에서의 Half Beam 치료법의 유용성 평가 (The Usability Evaluation Half Beam Radiation Treatment Technique on the Esophageal Cancer)

  • 박호춘;김영재;장성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287-293
    • /
    • 2015
  • 식도암은 병변의 길이가 길고 깊이의 불균질성으로 인하여 방사선의 균일한 선량분포를 얻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해 보고자 Half beam 법을 이용하여 선량분포의 균질성을 극복해 보고자 환자의 영상을 바탕으로 하여 Normal beam과 Half beam을 이용하여 각각 치료계획을 세워 표적체적포함율과 선량체적곡선, 일치성지수와 균질성지수를 상호 비교하고, 인접정상장기인 심장, 척수, 폐를 비교해 보고자 한다. 실험결과 Half beam을 이용한 치료계획이 표적체적포함율과 선량체적곡선 그리고 일치성지수와 균질성지수가 우수하였으며 정상조직 보호측면에서도 미미하지만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정확한 환자자세가 확보되지 않으면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기하학적으로 정확한 환자의 위치잡이를 수반한 Half beam의 적용은 선량적으로 유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자동노출제어장치 평가를 위한 3D 프린팅 기반의 자체 제작 팬텀의 유용성 평가 (The Usability Assessment of Self-developed Phantom for Evaluating Automatic Exposure Control System Using Three-Dimensions Printing)

  • 이기백;남기창;김호철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147-153
    • /
    • 2020
  •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self-developed phantom for evaluating automatic exposure control (AEC) using three-dimensions (3D) printer. 3D printer of fused deposition modeling (FDM) type was utilized to make the self-developed AEC phantom and image acquisitions were conducted by two different type of scanners. The self-developed AEC phantom consisted of four different size of portions. As a result, two types of phantom (pyramid and pentagon shape) were created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layers. For evaluating the radiation dose with the two types of phantom, the values of tube current, computed tomography dose index volume (CTDIvol), and dose length product (DLP) were compar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values of tube current were properly reflect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and the CTDIvol and DLP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regardless of AEC functions of different scanners. In conclusion, the self-developed phantom by using 3D printer could assess whether the AEC function works well. So, we confirmed the possibility that a self-made phantom could replace the commercially expensive AEC performance evaluation phantom.

Privacy-Preserving Cloud Data Security: Integrating the Novel Opacus Encryption and Blockchain Key Management

  • S. Poorani;R. Anitha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7권11호
    • /
    • pp.3182-3203
    • /
    • 2023
  • With the growing adoption of cloud-based technologies, maintaining the privacy and security of cloud data has become a pressing issue. Privacy-preserving encryption schemes are a promising approach for achieving cloud data security, but they require careful design and implementation to be effective. The integrated approach to cloud data security that we suggest in this work uses CogniGate: the orchestrated permissions protocol, index trees, blockchain key management, and unique Opacus encryption. Opacus encryption is a novel homomorphic encryption scheme that enables computation on encrypted data, making it a powerful tool for cloud data security. CogniGate Protocol enables more flexibility and control over access to cloud data by allowing for fine-grained limitations on access depending on user parameters. Index trees provide an efficient data structure for storing and retrieving encrypted data, while blockchain key management ensures the secure and decentralized storage of encryption keys. Performance evaluation focuses on key aspects, including computation cost for the data owner, computation cost for data sharers, the average time cost of index construction, query consumption for data providers, and time cost in key generation. The results highlight that the integrated approach safeguards cloud data while preserving privacy, maintaining usability, and demonstrating high performance. In addition, we explore the role of differential privacy in our integrated approach, showing how it can be used to further enhance privacy protection without compromising performance. We also discuss the key management challenges associated with our approach and propose a novel blockchain-based key management system that leverages smart contracts and consensus mechanisms to ensure the secure and decentralized storage of encryption ke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