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surface temperature

검색결과 359건 처리시간 0.022초

TDR을 이용한 중앙집중형 하이브리드 환기시스템의 결로방지 성능 평가 (Evaluation of Condensation Prevention for Centralized Hybrid Ventilation System Using TDR)

  • 김유민;이종은;최경석;이용준;강재식
    • KIEAE Journal
    • /
    • 제15권6호
    • /
    • pp.81-86
    • /
    • 2015
  • Purpose: Condensation in the apartment housing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defects and complaints for condensation are rapidly increasing according to the growing interest in residential environment. Korea government established a regulation for reducing condensation in the apartment housing and TDR is adapted as a standard. However prevention of condensation depend o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building envelop has limitation because of the increase of the cost. Centralized Hybrid ventilation system is suggested to prevent condensation. Method: Field measuremen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ventilation rate of the ventilation system. Based on the measurement, air network and CFD simulation was conducted to analyze ventilation rate for each room. Surface temperature was calculated by regulated TDR according to the regions and surfaces. The performance of condensation prevention was evaluated by the ventilation rate and surface temperature. Result: In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condensation was prevented in more than 90% of households by the centralized hybrid ventilation system which provided 0.19 ~ 0.81ACH for each room.

도시 열환경 평가를 위한 기온관측망 영향범위 분석 (Analysis on Effective Range of Temperature Observation Network for Evaluating Urban Thermal Environment)

  • 김효민;박찬;정승현
    • KIEAE Journal
    • /
    • 제16권6호
    • /
    • pp.69-75
    • /
    • 2016
  • Climate change has resulted in the urban heat island (UHI) effect throughout the globe, contributing to heat-related illness and fatalities. In order to reduce such damag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limate observation network for precise observation of the urban thermal environment and quick UHI forecasting system.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ive range of the climate observation network and the distribution of the existing Automatic Weather Stations (AWS) in Seoul to propose optimal locations for additional installment of AWS. Method: First, we performed quality analysis to pinpoint missing values and outliers within the high-density temperature data measured. With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a spatial autocorrelation structure in the temperature data was tested to draw the effective range and correlation distance for each major time period. Result: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the optimal effective range for the climate observation network in Seoul in July was a radius of 2.8 kilometers. Based on this result, population density, and temperature data, we selected the locations for additional installment of AW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to generate urban temperature maps, select and move measurement locations since it is able to suggest valid, specific spatial ranges when the data measured in point is converted into surface data.

핫스팟 분석을 이용한 도시열섬 취약지 특성 분석 - 전주시를 대상으로 - (Analysis of Areas Vulnerable to Urban Heat Island Using Hotspot Analysis - A Case Study in Jeonju City, Jeollabuk-do -)

  • 고영주;조기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8권5호
    • /
    • pp.67-79
    • /
    • 2020
  • 도시열섬 완화를 위한 계획을 세울 때 가장 먼저 해결해야 할 문제는 도시 내 어느 곳이 열 환경에 가장 취약한 곳인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즉, 도시 내 온도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지역과 낮은 지역(핫스팟과 콜드스팟)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악해야 한다. 본 연구는 전주시를 공간적 범위로 도시열섬의 공간적 밀집지역을 도출하고, 밀집요인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도시열섬이 밀집해서 발생하는 지역을 알아보기 위해 2017년 Landsat 8 위성영상을 활용해 지표면온도(Land Surface Temperature : LST)를 추출한 뒤 국지적 Moran's I 분석과 Getis-Ord Gi* 분석을 통해 핫스팟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밀집지역은 전주시 원도심이라 불리는 중심부와 공업지역으로 나타났다. 또한 높은 LST를 유발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토지피복도 중 시가화·건조지역의 상세분류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진행한 결과, 주거지역의 단독주거시설, 공업지역의 공업시설, 상업지역의 상업·업무시설이 LST를 높이는 요인으로, 별도의 항목이 존재하지 않는 녹지율을 대신해 변수로 선정한 NDVI가 LST를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열섬 저감 정책이 어느 곳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요인은 무엇인지를 판단하고자 할 때 근거가 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Landsat영상을 이용한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행정중심복합도시의 표면 열섬현상 변화분석 (Analysis of the Surface Urban Heat Island Changes according to Urbanization in Sejong City Using Landsat Imagery)

  • 이경일;임철희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25-236
    • /
    • 2022
  • 도시의 인구 증가와 이에 따른 개발로 인한 도시화는 도시 내 열섬현상과 같은 다양한 환경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특히 계획적으로 구축되는 신도시의 경우 짧은 기간에 진행되는 급격한 도시화로 인한 도시 기후의 변화를 분석하기에 적절한 연구대상지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Landsat-8 Operational Land Imager/Thermal Infrared Sensor (OLI/TIRS)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세종특별자치시 내 행정중심복합도시의 2013년부터 2020년 개발계획에 의한 토지피복 변화와 이에 따른 표면 열섬현상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위성영상에서 제공하는 열적외선 밴드값과 방사율을 고려하여 지표면온도를 산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표면 열섬현상 강도와 Urban Thermal Field Variance Index (UTFVI)의 변화분석을 수행하였다. 개발이 진행됨에 따른 토지피복 변화 및 피복별 열섬현상 강도의 차이 확인을 위해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중분류 토지피복지도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지역의 시가화 면적은 15% 증가하였고 자연식생은 28% 이상 줄어든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에 따른 열섬현상의 확장 및 강도 증가가 관측되었고, 열섬현상이 발생된 지역의 생태적 수준은 매우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급격한 도시화에 따른 열 환경의 정량적 변화 및 생태적 수준을 확인하고, 주거환경의 열 환경 개선을 위한 추가적인 정책의 필요성이 제시될 수 있다.

수도권지역의 지표이용도 및 인공열 상세적용에 따른 고해상도 수치실험 연구 (A Study on High-resolution Numerical Simulation with Detailed Classification of Landuse and Anthropogenic Heat in Seoul Metropolitan area)

  • 이한경;지준범;민재식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32-24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지표이용도 특성이 반영된 고해상도 기상예측모델 도시캐노피모형(WRF-UCM)의 수치모의 실험을 통해 도심과 전원 지역 기상변수 및 에너지수지 변화 경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UCM을 적용하지 않은 WRF 모의 결과를 규준실험으로 설정하였으며, 거칠기 길이 변화와 인공열 고려에 따라 총 4가지 실험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UCM을 적용한 실험에서 거칠기 길이의 수정 전과 후의 기온과 풍속의 변화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나, 인공열을 고려한 UCM의 모의 기온과 풍속은 고려하기 전보다 크게 차이가 나타났다. 모의 실험 간의 차이는 전원 지역보다 도시 지역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자동기상관측(AWS) 기온 관측 자료에 대하여 UCM에 인공열을 고려한 결과의 평방근오차(RMSE)가 가장 적었다. 또한, 차세대도시농림융합기상사업단의 중랑 에너지수지관측소지점의 현열플럭스 관측자료에 대한 검증 수치는 인공열을 고려하여 UCM을 적용한 실험의 RMSE와 BIAS 값이 가장 낮았다. 인공열을 고려한 UCM 적용이 도심의 현열플럭스 모의 향상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UCM을 적용한 후 도시 지역 잠열플럭스의 변화 모의를 분석할 수 있었으며, 도심과 전원 지역 모두 UCM 적용 후에 관측 값과 더 가까운 검증 수치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WRF 모델에 UCM의 적용이 지표플럭스 모의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계열 Landsat TM 영상과 연간 지표온도순환 모델을 이용한 열섬효과 분석 (Analysis of Urban Heat Island Effect Using Time Series of Landsat Images and Annual Temperature Cycle Model)

  • 홍승환;조한진;김미경;손홍규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3-121
    • /
    • 2015
  • 다중분광 위성영상을 이용한 원격탐측 기술은 광범위한 지역의 열섬효과 분석에 있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와 같이 구름이 많은 기상조건은 위성영상을 활용한 주기적인 관측을 어렵게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 Landsat 영상과 ATC 모델을 이용한 열섬현상 분석 방법을 제안하였다. 식생상태와 도시화정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Landsat 영상으로부터 NDVI와 NDBI를 산출하였으며 ATC 모델의 파라미터 추정을 위하여 Landsat 열적외선 영상으로부터 지표온도를 산출하여 활용하였다. 또한 토지 피복 및 이용형태에 따른 열섬현상 분석을 위해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토지피복도를 기반으로 ATC 모델의 파라미터를 비교하였다. 산출한 분광지수와 ATC 모델의 파라미터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ATC 모델의 MAST는 NDVI 및 NDBI와 각각 -0.76, 0.69 의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YAST는 NDVI 및 NDBI와 각각 -0.53, 0.42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토지 피복 및 이용형태에 따라 ATC 모델의 파라미터를 비교한 결과 도시 지역에서의 MAST와 YAST가 도시 주변의 농업지역, 초지 등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시 지역 내에서 주거지역, 산업지역, 상업지역, 교통지역이 문화 체육 휴양지역, 공공시설지역에 비해 높은 MAST를 나타나며 주거지역, 산업지역, 상업지역이 다른 도시 지역들보다 높은 YAST 값을 지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건물효과를 고려한 연안도시지역 고해상도 기상모델링 (High-resolution Simulation of Meteorological Fields over the Coastal Area with Urban Buildings)

  • 황미경;김유근;오인보;강윤희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37-150
    • /
    • 2010
  • A meso-urban meteorological model (Urbanized MM5; uMM5) with urban canopy parameterization (UCP) was applied to the high-resolution simulation of meteorological fields in a complex coastal urban area and the assessment of urban impacts. Multi-scale simulations with the uMM5 in the innermost domain (1-km resolution) covering the Busan metropolitan region were performed during a typical sea breeze episode (4~8 August 2006) with detailed fine-resolution inputs (urban morphology, land-use/land-cover sub-grid distribution, and high-quality digital elevation model data sets). An additional simulation using the standard MM5 was also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urban surface properties under urban meteorological conditions. Results showed that the uMM5 reproduced well the urban thermal and dynamic environment and captured well the observed feature of sea breeze. When comparison with simulations of the standard MM5, it was found that the uMM5 better reproduced urban impacts on temperature (especially at nighttime) and urban wind flows: roughness-induced deceleration and UHI (Urban Heat Island)-induced convergence.

미래 도시성장 시나리오에 따른 수도권 기후변화 예측 변동성 분석 (Analysis of Climate Variability under Various Scenarios for Future Urban Growth in Seoul Metropolitan Area (SMA), Korea)

  • 김현수;정주희;김유근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61-272
    • /
    • 2012
  • In this study, climate variability was predicted by the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WRF) model under two different scenarios (current trends scenario; SC1 and managed scenario; SC2) for future urban growth ove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MA). We used the urban growth model, SLEUTH (Slope, Land-use, Excluded, Urban, Transportation, Hill-Shade) to predict the future urban growth in SMA. As a result, the difference of urban ratio between two scenarios was the maximum up to 2.2% during 50 years (2000~2050). Also, the results of SLEUTH like this were adjusted in the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WRF) model to analysis the difference of the future climate for the future urbanization effect. By scenarios of urban growth, we knew tha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surface temperature with a maximum of about 4 K and PBL height with a maximum of about 200 m appeared locally in newly urbanized area. However, wind speeds are not sensitive for the future urban growth in SMA. These results show that we need to consider the future land-use changes or future urban extension in the study for the prediction of future climate changes.

도시열섬연구를 위한 ASTER 위성영상과 지표면의 표면온도 비교 (Comparison of ASTER Satellite and Ground-Based Surface Temperature Measurements for Urban Heat Island Studies)

  • 송봉근;박경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04-124
    • /
    • 2017
  • 본 연구는 대한민국 창원시의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현장에서 측정된 표면온도자료를 활용하여 토지이용유형별로 ASTER 표면온도 자료의 정확성을 분석하고 보정모형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토지이용유형은 공원과 상업시설, 단독주택, 아파트를 고려하여 총 8개를 선정하였다. ASTER 표면 온도는 2012년부터 2014년까지 6월과 9월에 촬영된 주간 및 야간의 8개 영상을 수집하였고, 현장측정은 위성영상이 촬영된 시간과 동일한 시기에 실시하였다. 또한 현장에서 측정된 표면온도의 방사보정을 위해 5일 동안 21개의 토지피복재질에 대해 방사율을 측정하였다. 주간시간은 현장에서 측정된 표면온도가 위성영상의 것보다 약 $5{\sim}10^{\circ}C$ 정도 높았고, 건물의 밀집된 지역일수록 차이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표면온도 보정모형은 도시공원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에서 설명력이 60%로 모형의 신뢰성이 있다고 분석되었다. 야간시간은 여름철인 8월을 제외하고 주간시간과 반대로 ASTER 표면온도가 약 $2^{\circ}C$ 다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위성영상의 표면온도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현장자료를 바탕으로 정확성을 검증하고 보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러한 측면에서 매우 의미가 있으며, 앞으로 도시지역의 열섬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도시 및 환경계획 분야에서 활용가치가 뛰어날 것으로 생각된다.

도로변 가로녹지 유형이 기상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Temperature Reduction Effect of Street Green Area)

  • 김정호;최원준;윤용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6권12호
    • /
    • pp.1363-1374
    • /
    • 2017
  • Global climate change caused by industrialization has caused abnormal weather conditions such as urban temperatures and tropical nights, urban heat waves, heat waves, and heavy rains. Therefore, the study tried to analyze climate conditions and weather conditions in the streets and analyze climate factors and meteorological factors that lead to inconvenience to citizens. In the case of trees, the overall temperature, surface temperature, solar irradiance, and net radiation were measured low, and the temperature was lower in the Pedestrian road than in roads. The dry bulb temperature, the black bulb temperature, and the wet bulb temperature for the thermal evaluation showed the same tendency. In the case of thermal evaluation, there was a similar tendency to temperature in WBGT, MRT, and UTCI, and varied differences between types. Althoug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teorological environment and the thermal environmen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significan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measured items was not significant. The study found that the trees were generally pleasant to weather and thermal climate in the form of trees, and the differences were mostly documen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