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instream flow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24초

상류 저수지군의 저수량 확보 시나리오에 의한 논산천의 유지유량 증가 (Increasing Instream flow in Nonsancheon by Water Storage Securing Scenario of Upstream Reservoirs)

  • 노재경
    • 농업과학연구
    • /
    • 제36권1호
    • /
    • pp.99-109
    • /
    • 2009
  • 논산시의 논산천 도심구간의 하천유지유량을 확보하기 위해 상류의 계룡지, 경천지, 대둔지와 탑정지 등을 증고하여 저수량을 확보하는 시나리오별로 상류의 저수지 군을 직렬, 병렬 연계 운영을 고려하여 논산 지점의 유량을 1966년부터 2007년까지 일별로 모의하여 유황을 분석하고 유지유량의 증가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역 내 하천유량의 관측자료가 없어 유입량을 DAWAST 모형에 의하고 관개용수를 공급할 때 탑정지의 저수량 변화를 모의하여 관측-모의의 저수량 오차를 목적함수로 함으로써 모형 매개변수를 구해 적용한 결과 Nash-Schcliffe 모형효율은 0.661, 관측-모의 저수량의 등가선의 결정계수는 0.666로 되는 모형의 검증을 거쳐 저수지 유입량, 하천유량 모의에 사용하였다. 둘째, 계룡지 2 m, 5 m, 대둔지 5 m, 탑정지 1 m 등을 증고하는 시나리오를 설정하였고, 상류 저수지에 의한 저수량 확보 시나리오별로 단일 및 연계 저수지 운영을 모의한 결과 하천유지유량을 연평균 최대 59.85백만 $m^3$까지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논산 지점의 하천 유황은 갈수량 기준으로 저수지를 증고하지 않은 현재 상태는 $1.086m^3/s$이었으나 대둔지가 준공되면 $1.809m^3/s$로 증가되고, 계룡지를 2 m, 5 m로 증고하면 각각 $1.841m^3/s$, $1.862m^3/s$로 증가되고, 추가로 탑정지를 1 m 증고하면 각각 $1.978m^3/s$, $2.011m^3/s$로 증가되고, 추가로 대둔지를 5 m 증고하면 각각 $2.183m^3/s$, $2.218m^3/s$ 증가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요약하면 계룡지를 2 m, 대둔지를 5 m, 탑정지를 1 m 각각 증고하여 17.132백만 $m^3$의 저수량을 추가로 확보함으로써 논산 지점의 하천유지유량을 현재의 2배 정도로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 PDF

대전 3대 하천 상류 저수지 운영에 의한 유지유량 증대 효과 (Increasing Effect of Urban Instream flow in Daejeon' Three Streams by Operating Upstream Reservoirs)

  • 노재경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464-468
    • /
    • 2009
  • 대전 갑천 상류의 괴곡지와 유등천 상류의 선골 계획댐, 대전천 상류의 소호, 한밭 계획지 등 저수지의 직렬, 병렬 연계 운영을 고려하여 1966년부터 2007년까지 주요 지점의 하천유량을 일별로 모의하였고, 회덕 지점의 목표유량을 2.79 $m^3/s$로 설정하고 계획댐의 유무에 따라 유지유량 증대효과를 분석한 결과 회덕 지점의 하천유지유량을 1.396 $m^3/s$에서 2.928 $m^3/s$ 로 크게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었다.

  • PDF

유등천 수원확보 규모와 하류 하천유지유량의 상관성 (Increase of Downstream Minimum Flow Followed by Increase of Water Storage Size in Yudeungcheon Upstream)

  • 노재경;김용국;이재남
    • 농업과학연구
    • /
    • 제37권2호
    • /
    • pp.285-293
    • /
    • 2010
  • To secure instream flow at the Yudeung urban stream reach of Daejeon city in South Korea, Yudeung upstream diversion was designed with total water storage of $59{\times}10^4m^3$, and the upstream Seongol reservoir was planned to raise the bank with various sizes. Downstream streamflows were simulated by considering outflows from upstream diversion and reservoir, and after then flow durations we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flows of no reservoir condition. In case of no diversion or reservoir upstream, flow durations were $1^{st}$ flow of $84.72m^3/s$, $95^{th}$ flow of $2.10m^3/s$, $185^{th}$ flow of $0.92m^3/s$, $275^{th}$ flow of $0.42m^3/s$, and $355^{th}$ flow of $0.31m^3/s$. In case of upstream diversion, flow durations were $1^{st}$ flow of $94.38m^3/s$, $95^{th}$ flow of $2.96m^3/s$, $185^{th}$ flow of $1.22m^3/s$, $275^{th}$ flow of $0.50m^3/s$, and $355^{th}$ flow of $0.35m^3/s$. The increase flow rates were $0.04m^3/s$ in $355^{th}$ flow, $0.08m^3/s$ in $275^{th}$, and $0.30m^3/s$ in 185th. In case of Seongol reservoir with effective storage capacities of $365{\times}10^4m^3$, $544{\times}10^4m^3$, $750{\times}10^4m^3$, and $992{\times}10^4m^3$, flow durations were $85.5{\sim}83.9m^3/s$ on $1^{st}$ flow, $2.85{\sim}2.57m^3/s$ on $95^{th}$ flow, $1.16{\sim}1.27m^3/s$ on $185^{th}$ flow, $0.64{\sim}0.99m^3/s$ on $275^{th}$ flow, and $0.56{\sim}0.94m^3/s$ on $355^{th}$ flow. The increase flow rates were $0.25{\sim}0.63m^3/s$ in $355^{th}$ flow, $0.22{\sim}0.57m^3/s$ in $275^{th}$, and $0.24{\sim}0.35m^3/s$ in $185^{th}$. The more the sizes of upstream reservoirs increased, the $1^{st}$ and $95^{th}$ flows decreased in which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were 0.92, 0.99, respectively and the $185^{th}$, $275^{th}$, and $355^{th}$ flows increased in which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were 0.93 to 0.99.

대전 갑천의 유지유량 확보 방안 (Planning for Securing Instreamflow of Gapcheon Stream in Daejeon)

  • 노재경
    • 농업과학연구
    • /
    • 제36권1호
    • /
    • pp.87-98
    • /
    • 2009
  • 대전 3대 하천의 하나인 갑천의 유등천 합류전 지점의 하천유지유량 확보를 위해 상류 유역에 금곡지와 괴곡지를 각각 설치하는 경우 각각 장안지, 방동지의 기존 저수지를 포함하여 직렬, 병렬 연계 운영을 반영하여 목표 지점의 유량을 1966년부터 2007년까지 모의하여 효과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방동지-금곡지 직렬 연계에 의해 금곡지로부터 용수공급능력을 분석한 결과 연평균하여 하천유지유량 공급량은 6.83백만 $m^3$, 용수공급량/유역면적은 403.4 mm, 단위유역 용수공급량/강우량 비율은 33.0 %, 용수공급량/유입량 비율은 96.4 %, 용수공급량/저수량 비율은 81.9 %, 유입량/저수량 비율은 112.3 %였다. 둘째, 장안지-금곡지 병렬 연계를 고려한 갑천지점의 유량을 분석한 결과 유황은 연평균하여 풍수량 $4.806m^3/s$, 평수량 $2.217m^3/s$, 저수량 $1.140m^3/s$, 갈수량 $0.887m^3/s$로 분석되었으며, 평균갈수량은 목표유량 $1.486m^3/s$보다 $0.599m^3/s$ 적게 나타났다. 셋째, 장안지-방동지 병렬 연계에 의해 괴곡지 유입량을 모의하였고, 괴곡지로부터 용수공급능력을 분석한 결과 연평균하여 하천유지유량 공급량은 49.60백만 $m^3$, 용수공급량/유역면적은 246.5 mm, 단위유역 용수공급량/강우량 비율은 19.4 %, 용수공급량/유입량 비율은 40.8 %, 용수공급량/저수량 비율은 412.1 %, 유입량/저수량 비율은 1,189.8 %였다. 넷째, 괴곡지 방류를 고려한 갑천 지점의 유량을 분석한 결과 유황은 연평균하여 풍수량 $4.501m^3/s$, 평수량 $2.277m^3/s$, 저수량 $1.743m^3/s$, 갈수량 $1.564m^3/s$로 분석되었으며, 평균갈수량은 목표유량 $1.486m^3/s$보다 $0.078m^3/s$ 높게 나타났다. 요약하면 괴곡지를 설치하는 것이 금곡지를 설치하는 것보다 갑천 지점의 하천유지유량을 확보하는데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생태하천조성을 위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Decision Support System for Establishment of Ecological Streams)

  • 이정민;최종수;이상훈;진규남;김미숙
    • 토지주택연구
    • /
    • 제2권3호
    • /
    • pp.299-305
    • /
    • 2011
  • 하천과 강은 지구상에서 가장 현란하고 복잡한 생태계를 가지고 있는 지구상의 생태 중 하나이다. 최근, 전국적으로 생태하천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가고 있는 현실에서 각 지역마다 생태하천 구성을 위한 계획들이 수립되어 시행되고 있다. 생태하천 조성을 위해서는 수질과 연계한 생태하천의 유지용수 확보가 가장 큰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너무 많은 변수들로 최적의 의사결정을 도출하기가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의사결정자가 주민인식조사와 연계하여 생태하천조성을 위한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은 수리 수질 생태하천 모의모형과 최적의 생태하천유량 산정방안과 수질개선방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시계열 영상정보를 이용한 하천 지형태 변화 검토 (Examination of Topographical Shape Change in River using Time-series Aerial Photo)

  • 이근상;이현석;황의호;이을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8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136-2140
    • /
    • 2008
  • 최근 환경생태학적 하천관리가 중시되면서, 하천의 지형태를 고려한 하천복원 및 관리업무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 항공영상을 이용하여 갑천과 유등천의 지형태 변화를 검토하였다. 특히 보나 교량과 같은 하천시설물이 새로 설치되거나 해체된 지점, 그리고 갑천과 유등천이 합류되는 지점을 선정하여 시계열별로 유량의 변화 및 물의 흐름방향 등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물의흐름 특성에 의한 퇴사의 양상도 함께 검토함으로서 도심하천의 유지수량 및 환경생태학적 하천복원 업무 수행시 중요한 의사결정자료로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 PDF

소규모 도시 하천 유역의 수질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Analysis of Water Quality for A Small Stream in Urban Watershed)

  • 곽재원;정종태;김형수;안경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9-141
    • /
    • 2008
  • 본 연구는 도심지 유역인 경기도 부천 여월동 단지 내 도시하천의 수질 특성을 분석하고 평가하고자 한다. 해당 유역의 하천은 차집관로에 의한 생활하수와 평시 흐름의 차단으로 인하여 매우 적은 유량만이 흐르고 있고, 각종 하수와 오염원의 유입으로 수질 오염 및 악취 발생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질 현황을 파악하고 수질 개선책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질 모니터링을 시행하였으며, 해당 유역의 특성과 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QUAL2E 모형을 통한 수질 모델링을 구축하고, 이를 이용해 수질특성과 향후 미래 수질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주거지역내 소하천의 경우 오염원의 유입에 따라서 수질이 크게 변화하며 비점오염원에 대해서도 불안요소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대상지역의 경우 유지유량 공급과 오염원의 차단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도시하천 수생태계 관리를 위한 환경생태유량 산정 (Estimation of Environmental Ecological Flow for the Aquatic Ecosystem Management in Urban Rivers)

  • 김기욱;백경훈;권동운;김진희;강지윤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467-467
    • /
    • 2022
  •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자연형 하천정비 사업은 기존의 수질보전정책 외에도 하천생태계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는 계기로 작용하고 있다. 이 중 환경생태유량은 기존의 하천유지유량보다 확대된 개념으로 수생태계 건강성 회복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하천 수생태계 건강성 회복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 마련을 위해 부산의 대표적인 도시하천인 온천천과 학장천을 대상으로 환경생태유량을 산정하였다. 환경생태유량은 하천의 물리적 특성 및 어류·유량을 조사하는 하천현장조사, 서식지적합도지수 산정의 과정을 통해 산정된다. 온천천과 학장천에서 각각 3개의 대표지점을 선정하고 각 지점별로 2회의 현장조사를 통해 각 지점에서의 수심, 유속, 하상재료, 어류 조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붕어와 참갈겨니를 대표어종으로 선정하고 Instream Flow and Aquatic Systems Group(IFASG, 1986)에서 제시한 방법을 이용하여 서식지적합도지수를 산정한 후, 미국지질조사국의 물리적서식지모의시스템(PHABSIM)을 이용하여 하천별, 어종별 환경생태유량을 산정하였다. 온천천의 경우, 붕어와 참갈겨니 모두 약 0.7~0.8m3/s에서 가용서식지면적이 가장 크게 산정되어 일 60,000~70,000m3 가량의 환경생태유량 공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장천의 경우, 붕어는 약 0.6~0.7m3/s, 참갈겨니는 약 0.3~0.4m3/s에서 가용서식지면적이 가장 크게 산정되어, 각각 일 50,000~60,000m3, 25,000~35,000m3 가량의 환경생태유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로부터 산정된 환경생태유량을 금번 관측유량 및 현재의 하천유지용수 공급계획량과 비교해보면 온천천에서는 일 15,000m3 이상, 학장천에서는 어종에 따라 일 7,000m3 이상의 추가유량 확보가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학장천의 경우, 어종에 따른 환경생태유량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하천 구간별 유량조사를 통해 어종별 주요 서식지 구간 설정 및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도시하천과 지속가능한 지역 발전 : 금호강을 중심으로 (The Function or Urban River and Sustainable Regional Development : The Case of Kumho River)

  • 최병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757-774
    • /
    • 2004
  • 이 논문은 전통적인 하천의 기능을 보다 체계적으로 재분류하여, 사회적 측면(용수공급, 관리, 교통 및 에너지원), 공간적 측면(지형형성, 수변경관, 지역구성, 경계-분리) 그리고 생태적 측면(폐수배출, 정화작용, 서식지, 기후조절) 등으로 구분하고자 한다. 이러한 재분류에 기초하여 보면, 근대화 과정에서 도시하천의 기능들 가운데 특히 용수공급 등 사회경제적 기능이 강조된 반면, 공간적 측면과 생태적 측면은 무시되었다는 점이 지적될 수 있다. 대구 및 그 주변 지역을 관류하는 금호강 역시 과거 지역사회의 내적 발전과정에 지대한 기여를 했지만, 하천의 특정 기능이 선별적으로 개발된 결과 금호강은 유지수의 부족과 더불어 오염과 퇴락으로 그 본래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금호강에 의존하여 발달해 오던 대구 및 그 주변 도시들도 더 이상 성장하기 어렵게 되었다. 이러한 사회 환경적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도시 하천이 가지는 고유한 기능들에 근거하여 지속가능성 원칙과 주요 기능별 평가 지표를 개발하고, 도시와 하천이 공생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도시하천의 지형태 자료와 영상정보를 이용한 수체적 시험평가 (Estimation of Storage Capacity using Topographical Shape of Sand-bar and High Resolution Image in Urban Stream)

  • 이현석;이근상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3D호
    • /
    • pp.445-450
    • /
    • 2008
  • 최근 도시하천의 환경생태학적 접근이 활발히 진행중에 있으며, 특히 하천의 유지수량 확보가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하천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하천의 지형태 현장조사 자료와 영상정보를 연계한 수체적 평가기법을 제안하였으며, 갑천을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첫째, 도시하천의 지형태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사주와 초지에 대한 지형측량을 실시하였으며, 수체적 계산에 영향을 주는 수면부에서의 경사특성을 분석한 결과 사주는 0.024, 초지는 0.220로서 초지가 사주에 비해 약 10배 높은 경사특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IKONOS 영상으로부터 사주와 수체에 대한 분광특성과 최소거리법을 이용하여 영상을 분류하였으며, 수체적 계산을 위해 Median 필터를 통한 일반화를 통해 수체적 계산을 위한 사주영역을 효과적으로 추출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하천내 지형태 조사자료와 영상에서 추출한 사주영역을 GIS 공간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도면화하였으며, 영상 촬영시점의 수위를 1m로 가정했을때의 수체적은 $225,258m^3$로서, 사주의 경사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수체적($251,599m^3$)에 비해 약 10.5%의 수체적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