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emergency management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1초

Damage Detection Technique based on Texture Analysis

  • Jung, Myung-Hee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698-701
    • /
    • 2006
  • Remotely sensed data have been utilized efficiently for damage detection immediately after the natural disaster since they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on land cover change due to spatial synchronization and multitemporal observation over large areas. Damage information obtained at an early stage is important for rapid emergency response and recovery works. Many useful technique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 and post-event satellite images in large-scale damage detection have been successfully investigated for emergency management. Since high-resolution satellite images provide a wealth of information on damage occurred in urban areas, they are successfully utilized for damage detection in urban areas. In this research, a method to perform automated damage detection is proposed based on the differences of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in pre- and post-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s.

  • PDF

공간 회귀분석을 활용한 긴급차량 출동 지연요소의 우선순위 도출 - 서울시를 중심으로 - (Deriving the Priority of Emergency Vehicle Dispatch Delay Factors Using Spatial Regression Analysis - Focusing on Seoul -)

  • 박준상;이수빈;김정옥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3권2호
    • /
    • pp.67-77
    • /
    • 2023
  • 도시가 과밀화, 집중화됨에 따라 도시민의 생활수준 향상으로 공공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중 소방서비스는 응급상황에서의 사고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도시민의 의료서비스 접근성 향상에 영향을 미쳐 중요한 공공서비스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골든타임 내 환자 및 의료기관의 신속한 이동과 적절한 응급처치는 응급상황 시 필수적인 요소로 서울은 약 1천만 명의 인구가 거주하는 초대형 도시로 응급의료 환자가 매우 많은 지역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골든타임 확보를 위해 공간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서울시의 응급차 출동 지연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관리 우선순위를 도출하여 응급차 출동 지연요인 관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 긴급차 출동 시간은 토지이용 특성이 가장 영향력이 큰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토지이용 혼합도, 상업지역 밀도, 평균 환자 연령, 평균 도로길이 순으로 응급차 출동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응급차 출동 지연요인의 정확한 이해와 우선순위에 따른 대응방안 마련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ata complement algorithm of a complex sewerage pipe system for urban inundation modeling

  • Lee, Seungsoo;An, Hyunuk;Kim, Yeonsu;Hur, Young-Teck;Lee, Daeeop
    • 농업과학연구
    • /
    • 제47권3호
    • /
    • pp.509-517
    • /
    • 2020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sewer network data are a fundamental input material for urban inundation modeling, which is important to reduce the increasing damages from urban inundation due to climate change. However, the essential attributes of the data built by a local government are often missing because the purpose of building the data is the maintenance of the sewer system. Inconsistent simpl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of the sewer network data made by individual researchers may increase the uncertainty of flood simulations and influence the inundation analysis resul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basic algorithm to convert the GIS-based sewage network data into input data that can be used for inundation simulations in consistent way. In this study, the format of GIS-based sewer network data for a watershed near the Sadang Station in Seoul and the Oncheon River Basin in Busan was investigated, and a missing data supplementing algorithm was developed. The missing data such as diameter, location, elevation of pipes and manholes were assumed following a consistent rule, which was developed referring to government documents, previous studies, and average data. The developed algorithm will contribute to minimizing the uncertainty of sewer network data in an urban inundation analysis by excluding the subjective judgment of individual researchers.

U-City기반시설물의 관리운영절차 및 적용기술에 관한 연구 : 교량 관리운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ocess of U-City Based Facilities for Management : Case of Bridge)

  • 노도영;박경호;장우식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01-112
    • /
    • 2009
  • 본 연구는 U-City기반시설을 효율적으로 관리운영할 수 있는 절차와 적용 가능한 기술 제시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서 기존 도시기반시설물의 관리운영 절차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U-City기반시설의 관리운영의 절차를 제시하였으며, U-City기반시설의 관리운영 절차는 정기점검, 정밀 및 긴급점검, 정밀안전진단 그리고 일상업무와 긴급업무로 구분하였다. 또한 이러한 U-City기반의 시설물 관리운영에 필요한 기술들을 분석하고 적용 가능한 기술들을 제시하였다. 향후 본 연구를 토대로 U-City기반시설에 대한 관리운영 절차가 확립된다면 시설물 관리운영의 효율성과 안전성이 크게 개선될 것이다. U-City기반의 시설물의 관리는 결과적으로 대시민 서비스의 질 향상과 도시경쟁력 제고로 이어질 것이며, 이는 시민들이 안전하고 편리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환경 구축의 토대가 될 것이다.

  • PDF

GIS를 이용한 도시방재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 대구광역시 소방지리정보시스템을 중심으로 - (Fire Emergency Response System Based on GIS - Daegu Metropolitan City FGIS -)

  • 백동승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09-118
    • /
    • 2004
  • 지금까지 우리가 경험한 재난사례들을 살펴보면 사전예방과 관리보다는 상황이 발생하고 난 이후에 일어나는 현장처리에 주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재난이 발생한 후에도 그에 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하여 사전예방에 활용하지 못함에 따라 동일한 형태의 재난이 반복되는 상황을 경험해 왔다. 이와 같은 문제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 재난에 관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 분석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재난관리정보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연구는 GIS를 이용한 도시방재시스템의 구축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연구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에서 구축한 소방지리정보시스템을 중심으로 소방지리정보시스템의 구축효과 및 개선방안을 고찰하였다.

  • PDF

응급센터에서 시행하는 약물선별현장검사의 유용성 (Availability of Toxicologic Screening Test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 엄인경;박종수;한갑수;조한진;최성혁;이성우;홍윤식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6-29
    • /
    • 2011
  • Purpose: The role of a point of care test (POCT) is currently becoming important when treating patients and making decision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It also plays a role for managing patients presenting with drug intoxication. But the availability of the test has not yet been studied in Korea.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utility and the availability of POCT for drug screening used in the emergency department.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study for those patients with drug intoxication between January 2007 and December 2010 in an urban emergency department. Results: Between the study period, 543 patients were examined with a Triage$^{(R)}$-TOX Drug Screen. Among those, 248 (45.7%) patients showed negative results and 295 (54.3%) patients showed positive results. The sensitivity of the test for benzodiazepine, acetaminophen and tricyclic antidepressants were 85.9%, 100%, 79.2%, respectively. Conclusion: POCT of drug screening in emergency department showed good accuracy especially in patient with benzodiazepine, acetaminophen and tricyclic antidepressant intoxication. Therefore, it can be useful diagnostic tool for the management of intoxicated patients.

  • PDF

도시 홍수: 원인, 영향 및 저감 전략 고찰 (A Review of Urban Flooding: Causes, Impacts, and Mitigation Strategies)

  • 이진용
    • 지질공학
    • /
    • 제33권3호
    • /
    • pp.489-502
    • /
    • 2023
  • 도시 홍수는 도시화와 기후 변화의 상호작용에 의해 전 세계 도시들에게 중요한 도전으로 인식된다. 이 논문은 최근 도시 홍수 연구사례들을 조사하여 그 원인, 영향 및 잠재적인 완화 전략을 이해하려고 하였다. 도시화는 증가하는 불투수 표면과 변화된 배수 패턴으로 인해 자연적인 수류를 방해하며 강한 강우 이벤트 동안 표면 유출을 강화시킨다. 도시 홍수의 충격은 광범위하게 생명, 기반 시설, 경제 및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데 생명과 재산 피해, 중요 서비스 중단 및 환경적 피해는 효과적인 도시 홍수 관리의 긴급성을 요구한다. 도시 홍수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통합된 홍수 관리 전략이 필수적인데 지속 가능한 도시계획, 녹색 인프라, 그리고 개선된 배수 시스템은 홍수 취약성을 감소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조기경보 시스템, 긴급 대응 방안, 그리고 지역 주민의 참여는 홍수 대비 및 회복탄력성의 필수 구성 요소이다. 미래 전망에 의하면 기후 변화에 따른 홍수 위험 증가를 보여주므로 회복탄력성과 적응 조치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관련 분야의 연구, 데이터 수집 및 모델링 기술의 발전은 더 정확한 홍수 예측을 가능하게 하며 의사 결정에 도움을 줄 것이다.

저수용량을 고려한 가뭄지수 산정과 가뭄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dex of Drought and Drought Management Considering Reservoir Storage)

  • 조홍제;박한기;김수현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97-105
    • /
    • 1998
  • The goal of the present research was to develop a mean to determine indices of drought warning and emergency necessary to manage drought and establish water supply contingency plan for the municipal and industrial water supply system in urban areas. To do this, we worked on the Sayun catchment which is the main water source of Ulsan and used measured hydrologic data (storage, inflow, supply, outflow) from 1980 to 1996. The indices of drought calculated by the method of Phillips drought index based only on monthly precipitation do not pertinently represent drought phenomena in case water supply is from dam or reservoir in an urban area. Therefor, we developed the drought index technique including inflow, storage, outflow and supply which are the chief factors of drought management. The result showed that the method of Phillips drought index considering the capacity of water supply was excellent when applied to practical drought phenomena.

  • PDF

Delineation of the evacuation route plan, relief camp and prioritization using GIScience

  • Joy, Jean;Kanga, Shruti;Singh, Suraj Kumar;Sudhanshu, Sudhanshu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10권1호
    • /
    • pp.1-15
    • /
    • 2021
  • Rising urban flood patterns are a universal phenomenon and a significant challenge for city government and urban planners worldwide. Urban flood problems range from relatively localized incidents to substantial incidents, which lead to cities being flooded for a few hours to several days. Therefore, the effect may be widespread, such as the temporary displacement of individuals, disruption to civic facilities, water quality degradation and the possibility of epidemics. The problems raised by urban flooding are highly challengeable and compound by ongoing climate change, with adverse implications for changes in rainfall and gaps in intra-urban rainfall distribution. Unplanned construction and invasions of large houses along rivers and watercourses have interfered in natural rivers and watercourses. As a result, the runoff has risen in proportion to the urbanization of the urban floods. The location of the relief camp and the priority for evacuation were determined, and the safest route to avoid floods were established. This method can be used for emergency planning in future flood incidents, and it will help plan disaster preparedness for Panchayat. This study will promote the flood plain's potential use for disaster management and land use planning virtually.

도심지 토사재해 예방을 위한 기존 매뉴얼 분석과 개선 방안 (Analysis and Improvement for Manual to Protect Mountain Disaster in Urban Area)

  • 송병웅;백우현;윤정환;심우배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7호
    • /
    • pp.43-53
    • /
    • 2015
  • 우리나라는 국토의 70% 이상이 산지로 되어 있어 지속적인 도시화에 따른 산지 개발이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므로 위험요인에 대한 대응기술 개발이 필수적이며 토사재해 예방을 위한 기준과 매뉴얼 정립이 필요하다. 토사재해와 관련된 국가법령에서는 재난유형에 따라 위기관리 매뉴얼을 작성 운용하게 되어 있지만, 도심지 토사재해에 대한 위기관리 표준매뉴얼, 위기대응 실무매뉴얼 및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이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풍수해 표준 및 실무매뉴얼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법으로 정해져 있는 사항이지만 아직까지 도심지 토사재해 분야에서 명확하게 정립되지 못한 부분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요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은 7가지로 나타낼 수 있다. 1) 도심지 토사재해에 적용 가능한 매뉴얼 제작이 필요하다. 2) 평상시 주관기관과 유관기관과의 수직적 수평적 상시교류 및 협력이 강화 구축되어 있어야 한다. 3) 개선되는 도심지 토사재해 매뉴얼은 각각의 공무원들이 실제 행동할 수 있는 행동절차(SOP) 매뉴얼이 필요하다. 4) 국민안전처에서 선정한 13가지의 항목을 중심으로 도심지 토사재해에 대한 필요한 항목을 우선적으로 선정해야 한다. 5) 이해할 수 있도록 도식화할 필요가 있다. 6) 주요 항목들을 체크리스트로 만들어서 위급상황 시 실무에 적용되도록 해야 한다. 7) 분기별로 1회 이상의 교육훈련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