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district

검색결과 688건 처리시간 0.027초

지구단위계획에서 사용된 경관영향평가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andscape Impact Assessment Techniques in District Unit Plan)

  • 봉종진;정영덕;이봉수;조영준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9-222
    • /
    • 2005
  • District unit plan was arranged for rational induction and regulation of development due to increase of demand for comfortable environment and change of recognition of urban view. This study analyzes cases of district unit plan since 2003 and draws the following conclusions to provide basic material necessary for landscape impact assessment and analysis of actual conditions. It used regulation of design factors and analysis of physical index in making view plan and focuses on characteristics of visual perception in predicting impact through simulation. Future landscape impact assessment must establish a variety of indices and application of various techniques.

  • PDF

경주국립공원 도심 지역 내 탐방로의 자연도 평가 - 소금강 지구, 화랑 지구, 서악 지구를 대상으로 - (Naturalness Assessment of Trails in Urban Area of Gyeongju National Park - Focused on Sogeumgang, Hwarang and Seoak District -)

  • 문성주;유주한
    • 환경영향평가
    • /
    • 제22권4호
    • /
    • pp.303-31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raw data for restoration and management of trails by assessing the physical environments, the types of deterioration and the naturalness on trails located in the Sogeumgang, Hwarang and Seoak districts of Gyeongju National Park, Korea. The Sogeumgang was 5.9m, 1.1m of the Hwarang and 1.8m of the Seoak district in trail width. In the bared width of trail, the Sogeumgang was 3.9m, 0.9m of the Hwarang and 1.7m of the Seoak district. In the depth of erosion, the Sogeumgang was 37.1cm, 14.2cm of the Hwarang and Seoak district. The Sogeumgang was $16.8^{\circ}$, $13.1^{\circ}$ of the Hwarang and $12.2^{\circ}$ of the Seoak district in longitudinal slope. In the left and right of transect slope, the Sogeumgang was $18.3^{\circ}$ and $12.6^{\circ}$, $18.0^{\circ}$ and $21.3^{\circ}$ of the Hwarang and $15.3^{\circ}$ and $22.7^{\circ}$ of the Seoak district. In the left, middle and right of soil hardness, the Sogeumgang was 29.9mm, 34.7mm and 31.1mm, 27.6mm, 35.0mm and 27.2mm of the Hwarang and 27.1mm, 30.8mm and 28.0mm of the Seoak district. The types of deterioration in trails were 10 types of the Sogeumgang, 11 types of the Hwarang and 9 types of the Seoak district. The trail erosion, rock exposure and root exposure were substantially observed in the types of deterioration. In the results of the naturalness assessment, the Hwarang district was a good condition, but the Sogeumgang district was bad. The indicators of the Sogeumgang district were mostly poor.

위성영상의 시계열 분석을 통한 미기후변화 분석 -대구시 달서구를 대상으로- (A Study on Microclimate Change Via Time Series Analysis of Satellite Images -Centered on Dalseo District, Daegu City-)

  • 백상훈;정응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34-43
    • /
    • 2009
  • 바람길 도입을 통한 도시열섬현상의 저감 방안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과정을 거치면서 발생하는 토지피복의 변화가 도시공간의 찬공기 생성 및 유동에 어떠한 변화를 일으키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지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극서(劇暑)도시이며 1980년대 이후 주변 지역을 편입하여 도시가 확장된 대구시 내에서도 특히 지표온도의 변화가 크고 1988년 신설되어 급격한 인구 증가가 이루어졌던 달서구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시간적 범위로는 1987년, 1997년, 2007년의 여름철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20년간의 도시미기후 변화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자연 토지피복의 감소와 인공 토지피복의 증가는 찬공기 생성 및 유동에 불리하여 도심지에서의 찬공기의 양과 높이가 현저히 낮아졌다. 이는 찬공기 생성 및 유동기능이 토지피복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였다. 지속적인 찬공기 생성 및 유동의 확보를 위해서는 도시를 둘러싼 주변지역의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여 도시개발이나 도시재생을 실시해야 하며, 이를 통해 쾌적하고 건강한 도시조성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조선총독부 시가지계획 관련 공문서의 분류와 평가 (Archival Appraisal and Classification of the Official Documents of the Government-General of Choson Related to Urban District Planning)

  • 이송순
    • 기록학연구
    • /
    • 제14호
    • /
    • pp.53-89
    • /
    • 2006
  • 현존 총독부 공문서는 이미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영구보존문서로 보존되고 있다. 그러나 현존 문서의 실태는 부분적이고 불균등하여 기록(archives)으로서의 가치평가와 활용에 어려운 점이 많다. 본고에서 살펴본 시가지계획 관련 공문서 역시 이를 통해 일제 시기 진행된 시가지계획의 모든 상을 도큐멘테이션하는 데는 상당한 한계를 갖는다. 이에 이러한 불균형 잔존 행정기록에 대해서는 당대의 정책 제도 변화에 대한 컨텍스트를 파악하고, 이를 수행한 조직의 핵심기능을 종합하여 거시 평가의 틀을 만들어, 여기에 현존 문서를 배치하는 도큐멘테이션 과정, 이 과정에서 가치가 높은 기능과 관련된 기록이 소수라는 점, 즉 기록의 재현성이 불완전한 것을 보충하기 위한 다른 역사적 자료의 적극적 이용과 적극적인 기록수집 방안을 함께 강구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일제시기 도시계획 관련 공문서 중에서도 시가지계획관련 문서라는 하나의 문서군(series)에 대한 기록 평가를 시도했다. 따라서 이를 통해 총독부 공문서 전반에 대한 평가 방법을 도출하기는 한계가 있으나, 시가지계획이라는 총독부 식민정책의 집행과정에서 생산된 문서의 맥락을 이해하여 기록의 가치를 평가함으로써 문서 활용에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는 사례를 제시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총독부 공문서와 같이 이미 영구보존기록으로 결정되어 보존되고 있는 역사기록에 대한 평가는 처분을 위한 평가로서의 기능은 갖지 못한다. 이에 역사기록에 대한 평가는 향후 기록의 접근과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DB화나 정보콘텐츠화와 연계하는 방안 역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사운드워킹을 통한 청주시 도심지역 음풍경 조사 (Survey on the soundscape of urban districts in Cheong-ju using soundwalking)

  • 조아현;박찬재;한찬훈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593-606
    • /
    • 2021
  • 본 연구는 청주시의 음풍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도심 지역을 특징에 따라 상업지역, 역사지역, 도심보행지역, 대학캠퍼스지역의 4가지로 구분한 뒤 총 13개 장소에서 발생되는 소리를 사운드워킹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음향전문가 5인과 일반시민 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지역별 소리의 크기와 불쾌감에 대해서 주관적으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또한 자연음, 인공음 및 기계음으로 구성된 35개의 신호음 보기 중 3가지를 선택하여 큰 소리, 불쾌한 소리, 듣기 좋은 소리, 대표 소리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였다. 현장평가 결과, 소리의 크기와 불쾌감 사이에 매우 큰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역별 신호음을 분석한 결과 상업지역은 기계음, 역사지역은 인공음과 자연음이 그 장소를 대표하는 소리로 나타났으며 도심보행지역과 대학캠퍼스의 대표 소리는 인공음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현장평가시 각 측정점의 상황을 녹음 및 녹화한 뒤 이를 이용해 실험실에서 20인을 대상으로 청감평가를 수행하였다. 실험실평가 결과 가장 크게 들리는 소리는 기계음과 인공음, 가장 불쾌하게 들리는 소리는 기계음, 가장 듣기 좋은 소리는 자연음과 인공음으로 나타나 현장평가와 유사한 경향성을 보여주고 있었다.

Design Development of Street Furniture for Improvement of Urban Environment - Focusing on "Y" District, a part of the Seoul Design Street Project -

  • Kim, Kook-Sun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581-589
    • /
    • 2009
  • Under 'The Design Street' Project, one of the urban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 of Seoul, the facilities on the street have been greatly varied in terms of design. In addition, the municipal authority has pushed each district to develop its own identity based on the integrated design of the city. This study was aimed to propose a design which could solve the current problem in street furniture in terms of environmental improvement through an analysis on current street conditions in "Y" District as a part of Seoul Design Street Project. It has attempted to propose 11 street furnitures based on the basic strategy of 'Soft City' which has been promoted by Seoul City in accordance with the Seoul Public Facility Guidelines as 1. Airy Design, 2. Integrated Design, 3. Collaborative Design and 4. Sustainable Design. Among them, for the total design in Seoul six facilities - kiosk, manhole, traffic signal controller, public phone, road sign and waste receptacle were proposed by Seoul City have been accepted. For local differentiation, on the contrary, five items - planter bench, bollard, lifter, bike rack and fence have been newly designed and proposed. Furthermore, it is essential to carry out systematic supervision and continuous management on the detail design and construction of current regional design development projects.

  • PDF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지방대도시 주거환경정비사업의 계획요소 중요도 분석 (Critical Regeneration Elements of the Old Housing Estate in Local Metropolitan in Term of Sustainable Aspects)

  • 박귀동;오덕성
    • KIEAE Journal
    • /
    • 제11권6호
    • /
    • pp.3-12
    • /
    • 2011
  • Currently,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in residential building in Korea is focused on financing. To solve the variety of problems in urban residential areas, the plan need to apply more elements to improve sustainability. Thus, this study aims to find the main strategies to amend sustainability of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in residential building. To do this, firstly I reviewed previous studies of sustainablity. Secondly I surveyed the planning elements of the three cases in Boksu-Dong District2, Daeseong-Dong District2, and Samsung-Dong District1 in Daejeon. Lastly I used the AHP analysis method and the 5-point Likert-type questionnaire of judged the importance among the plan elements with experts on urban regeneration of which is found through the previous literature review.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e problem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Also, I found out the priority of the main planning elements to improve the problems. By contrasting the relative importance among the plan elements with the case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es the directions of strategies which include the plan elements for responding climate change, residents' participation, and financial support program and system to improve the status of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 in residential building.

서울시 대학가 활성화 계획과정의 파트너십 연구 - 한양대학교 대학가 환경정비형 지구단위계획 및 담장개방녹화사업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artnership for Activating of University Town in Seoul - Focused on Campus Fence Afforestation Project and the District Unit Plan for Renovating Campus Town Streets of Hanyang University -)

  • 박진아;목익수;강우석
    • 교육시설
    • /
    • 제15권4호
    • /
    • pp.26-37
    • /
    • 2008
  • Because the university campuses in Seoul have changed to the urban campus type that the boundary of the campus is close to the urban tissue,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societies and universities has got more important than before. Recently, through the support of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ome projects for activating campus towns in Seoul have been proceeded. There are two distinctive projects. One is the campus fence afforestation project, and another is the district unit plan for the physical environment improvement of commercial streets around the campus in Seoul.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overnment-university-community partnership for implementation of these two projects related to the model projects and the Hanyang university campus town as the exemplary government-university-community partnership, and to make practical application of other campus town projects to need the harmonious partnership between university neighborhoods and universities.

도시공원녹지의 입지별 토양특성이 곰솔의 형성층 전기저항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Environments by Location on the Cambium Electric Resistance of Pinus thunbergii in Urban Park and Open Space)

  • 박승범;남정칠;김석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13-2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rational methods in order to maintain vegetation condition and soil environment based on the analysis of tree growth in relation to the soil environment, which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environmental factors on vegetation condition in urban parks and open spaces.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described as below;The soil on every study site had strong acidity. In particular, study sites around industrial district and central business district showed extreme soil acidity. Therefore, soil management system is needed in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around those areas. Among Cambium Electric Resistance classified by locations of urban parks and open spaces, one in the costal area was the lowest. The Cambium Electric Resistance in the industrial area was the highest. Therefore, soil condition and locational environment in the industrial area are highly related to the Cambium Electric Resistance. Among the factors, which affect Cambium Electric Resistance in different locations, inorganic content was found to be the main factor in all of the study sites. Inorganic content was an important factor to the Cambium Electric Resistance in study sites located in industrial and central business districts. In the study sites located in costal area, Soil acidity was found to be other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Cambium Electric Resistance. To improve the soil acidity, soil buffering ability should be improved from activating microorganisms in the soil by using lime and organic material, Since it takes a long time to make a change in the soil structure, well planed maintenance system is required by mid-term or long-term plans.

지역난방 사용자 구성비에 따른 열소비 패턴 분석 (Heat Consumption Pattern Analysis by the Component Ratio of District Heating Users)

  • 이훈;이민경;김래현
    • 에너지공학
    • /
    • 제22권2호
    • /
    • pp.211-22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위도의 도시 유형별로 주택과 건물 구성비를 가진 3지역을 선정하여 대상 지역별로 2008년 1년간(1.1~12.31)의 실제 운전실적을 이용하여 지역난방 사용자의 일일 및 연간 열소비 패턴을 분석하고, 지역별 상호 차이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주택과 건물의 열소비 패턴을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실제 주택 및 건물 지역난방 사용자가 사용한 열소비 패턴을 매시간대별로 파악하고, 연결 열부하(난방면적 ${\times}$ 단위열부하 : 시설용량과 지역난방 배관망의 설계기준이 되는 열부하로 난방면적에 용도별 단위열부하를 곱하여 산출[Gcal/h])와의 관계를 분석하여 일일, 연간 및 최대 부하율 결과값을 도출함으로써 주택 및 건물 지역난방 사용자 비율에 따른 최적의 열원시설 용량산정이 가능케 하고 수요개발(해당 시설용량으로 열공급이 가능한 지역난방 사용자의 범위로 각 사용자기계실의 연결열부하 합과 같음.)단계에서의 정확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근거를 도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