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plift displacement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8초

상태감시시스템을 이용한 팬터그래프-전차선로 동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for the dynamic responses of pantograph-overhead contact line coupled system by using a condition monitoring system)

  • 조용현;박영;이기원;권삼영;박현준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778-781
    • /
    • 2008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ynamic responses of pantograph-overhead contact line coupled system by using a condition monitoring system. The monitoring items are strain, vertical displacement and acceleration of a contact wire. Both strain and vertical displacement in the contact wire depends on uplift force and train velocity. Measurement of acceleration shows that the passage of the pantograph gives an impact force to a hard point on a contact wire.

  • PDF

화강풍화토 지반에 타설된 소형 현장 타설 말뚝의 인발시험 및 하중 전이 특성 (Uplift Testing and Load-transfer Characteristics of Model Drilled Shafts in Compacted Weathered Granite Soils)

  • 임유진;서석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105-117
    • /
    • 2002
  • 철탑기초, 해양 플랫폼 등은 파랑과 풍하중을 반복적으로 받게 되어 주기적인 인발하중이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 구조물 기초로 사용되는 현장 타설말뚝의 단방향 인발 주기 하중 패턴에 대한 거동특성을 분석하기위해 실내 모형타설말뚝에 대한 인발시험을 실시하였다. 특히 인장하중이 말뚝의 선단과 두부에 직접 가하여 질 때 즉, 인장하중 최초 전달지점의 차이로 인한 하중전달 메카니즘의 차이를 실험을 통해 분석하였다. 가압이 가능한 모형토조 내에 조성된 다져진 화강 풍화토 지반에 소형 현장타설말뚝을 타설하여 인발 시험, 크리프 시험, 반복 인발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결과, 말뚝 선단인발시의 극한 인발지지력이 말뚝 두부인발시에 비해 약 30%크게 계산되었다. 또한 선단 인발시의 말뚝이 크리프 변형에 대해 매우 안정적인 거동을 보였으며 선행 인발을 실시하면 수직 크리프 변형에 대해 보다 더 안정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반복재하 횟수가 늘어남에 따라 반복 할선탄성계수 값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선단 인발시 그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밝혀졌다.

체결장치 비선형 거동을 고려한 교량 단부에서의 체결장치 압상력 평가 (Evaluation of Uplift Forces Acting on Fastening Systems at the Bridge Deck End Considering Nonlinear Behaviors of the Fastening Systems)

  • 양신추;김학형;공정식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521-528
    • /
    • 2017
  • 실제 체결장치는 들림하중이 작용할 때 압축하중이 작용할 때와 동일한 강성은 작은 하중범위 내에서 유지되고 어느 정도 들림하중이 커지면 매우 강한 비선형 거동특성을 보인다. 압상력 기준을 초과하는 개소들에서는 보통보다 매우 고가인 특수체결장치를 부설하여야하는데, 설계하고자하는 선로 전체구간에서 그 비용은 매우 크게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경제적 설계를 위하여 체결장치의 비선형 거동특성을 반영하여 압상력을 정확하게 평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 콘크리트궤도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일반 체결장치들(SFC와 System 300-1)을 대상으로 압상력 작용 시 거동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내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를 토대로 수치해석에 적용하기 위한 체결장치의 비선형 하중-변위선도를 도출하였다. 기존의 선형모델과 더불어 도출된 비선형모델을 적용하여 교량단부의 변형에 따른 체결장치에 작용하는 압상력을 평가하였다. 또한 교량단부 체결장치 압상력에 미치는 영향요소인 침목간격, 교좌장치 중심으로부터 교량상판 최 끝단에 위치한 체결장치까지의 수평거리, 교량 거더높이 등에 대한 매개 변수연구를 통하여 이들 영향요소가 체결장치의 최대 압상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평가결과 경제적인 궤도 설계를 위해서는 교량단부에 부설되는 체결장치의 사용성 검토 시에 체결장치의 비선형 특성이 반영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파이프형 앵커의 인발거동에 대한 연구 (Study on Pullout Behavior of Pipe Anchor)

  • 배우석;이봉직;권영철;이준대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5-1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표면거칠기와 근입비, 직경에 따른 파이프형 앵커의 인발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내모형실험이 시행되었다. 수직방향의 지반 변형에서 매입된 파이프형 앵커의 설계는 파이프에 부과된 힘의 크기에 의해 지배받는다. 본 논문에서는 모형실험의 분석을 통하여 파이프 직경과 표면 거칠기, 근입비와 지반상태로 야기된 파이프형 앵커의 변위 특성과 극한 저항력을 비교하고 평가하였다. 실험결과는 상대밀도의 증가에 따라 극한 인발력이 20%가량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지반의 상대밀도와 파이프의 지름, 표면거칠기의 변화에 따른 파이프형 앵커의 파괴시 변위는 근입비가 2에서 8로 증가함에 따라 약 5배 정도의 증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앵커이론에 근거한 이론식들은 인발계수를 과대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ree-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of nonlinear phenomena of the tensile resistance of suction caissons

  • Azam, Arefi;Pooria, Ahad;Mehdi, Bayat;Mohammad, Silani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32권3호
    • /
    • pp.255-270
    • /
    • 2023
  • One of the main parameters that affect the design of suction caisson-supported offshore structures is uplift behavior. Pull-out of suction caissons is profoundly utilized as the offshore wind turbine foundations accompany by a tensile resistance that is a function of a complex interaction between the caisson dimensions, geometry, wall roughness, soil type, load history, pull-out rate, and many other parameters. In this paper, a parametric study using a 3-D finite element model (FEM) of a single offshore suction caisson (SOSC) surrounded by saturated soil i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 of some key factors on the tensile resistance of the suction bucket foundation. Among the aforementioned parameters, caisson geometry and uplift loading as well a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nsile resistance and suction pressure on the behavior of the soil-foundation system including tensile capacity are investigated. For this purpose, a full model including 3-D suction caisson, soil, and soil-structure interaction (SSI) is developed in Abaqus based on the u-p formulation accounting for soil displacement (u) and pore pressure, P.The dynamic responses of foundations are compared and validated with the known results from the literature. The paper has focused on the effect of geometry change of 3-D SOSC to present the soil-structure interaction and the tensile capacity. Different 3-D caisson models such as triangular, pentagonal, hexagonal, and octagonal are employed. It is observed that regardless of the caisson geometry, by increasing the uplift loading rate, the tensile resistance increases. More specifically, it is found that the resistance to pull-out of the cylinder is higher than the other geometries and this geometry is the optimum one for designing caissons.

Seismic response analysis of mega-scale buckling-restrained bracing systems in tall buildings

  • Gholipour, Mohammadreza;Mazloom, Moosa
    • Advances in Computational Design
    • /
    • 제3권1호
    • /
    • pp.17-34
    • /
    • 2018
  • Tall buildings are categorized as important structures because of the large number of occupants and high construction costs. The choice of competent lateral load resisting systems in tall buildings is of crucial importance. Bracing systems have long been an economic and effective method for resisting lateral loads in steel structures. However, there are some potential adverse aspects to bracing systems such as the limitations they inflict on architectural plans, uplift forces and poor performances in compression. in order to eliminate the mentioned problems and for cost optimization, in this paper, six 20-story steel buildings and frames with different types of bracing, i.e., conventional, mega-scale and buckling-restrained bracing (BRB) were analyzed. Linear and modal push-over analyses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pointed out that Mega-Scale Bracing (MSB) system has significant superiority over the conventional bracing type. The MSB system is 25% more economic. Some other advantages of MSB include: up to 63% less drift ratio, up to 38% better performance in lateral displacement, up to 100% stiffer stories, and about 50% smaller uplift forces. Moreover, MSB equipped with BRB attests even a better seismic behavior in the aforementioned parameters.

콘크리트궤도 부설 교량의 접속슬래브 단부 처짐한도에 관한 연구 (The Displacement Limit at the End of an Approach Slab for a Railway Bridge with Ballastless Track)

  • 최진유;양신추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195-202
    • /
    • 2008
  • 교량과 토공의 접속부은 궤도의 대표적인 취약구간으로서 교대배면의 부등침하로 인한 궤도틀림발생이 빈번하여 유지관리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구간 중의 하나이다. 콘크리트궤도부설구간의 경우에는 교대배면의 부등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접속슬래브 부설이 일반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 경우, 접속슬래브를 지지하고 있는 노반의 침하로 인하여 접속슬래브에 경사처짐이 발생하게 되면 궤도도 경사처짐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이 구간을 통과하는 차량의 주행안정성과 승차감의 저하, 그리고 과도한 충격에 의한 궤도의 손상을 유발하게 되므로 접속슬래브의 단부에서의 침하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궤도 부설 교량과 토공의 접속부에 부설되는 접속슬래브의 단부에서의 처짐한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접속슬래브의 길이와 단부처짐량을 매개변수로 한 차량-궤도 상호작용 해석을 실시하여 차체가속도, 윤중변동률, 레일 저부응력, 그리고 체결구에 발생하는 상향압력을 조사하였으며, 수치해석결과와 각 검토항목별 허용한도와의 비교검토를 통하여 접속슬래브의 길이에 따른 단부처짐의 허용한도를 제시하였다.

사질토 지반에서 경사 인발 하중을 받는 석션 앵커의 회전 거동 평가 (Investigation of the Rotational Displacement of the Suction Anchor Subjected to the Inclined Pullout Load in Silty Sand)

  • 배준식;정영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267-273
    • /
    • 2020
  • 석션 앵커는 비교적 간편한 설치 방식과 높은 안정성으로 인해 부유식 구조물을 고정하기 위한 기초로 사용된다. 최근, 허용 변위가 작은 부유식 구조물이 증가함에 따라, 석션 앵커의 유발 변위 평가에 대한 수요가 높아졌다. 하지만, 기존 석션 앵커의 연구는 앵커 지지력 평가에 초점을 두었으며, 앵커의 변위에 관한 연구는 중점적으로 수행되지 않았다. 특히, 경사진 하중을 받는 석션 앵커의 주된 변위인, 회전 거동을 평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경사 인발 하중이 작용하는 석션 앵커의 회전 거동을 모형실험을 통해 비교 및 분석 하였다. 모형실험은 센트리퓨지 실험 장비를 사용하였으며, 실험 변수로는 하중의 경사도, 앵커의 크기 및 종횡비가 고려되었다. 하중-회전 변위 곡선을 산정하여, 실험 변수에 따른 석션 앵커의 회전량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석션 앵커의 회전 거동은 하중의 경사도에 큰 영향을 받았으며, 앵커의 크기 및 종횡비에 따른 회전량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A Study on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rack Roadbed according to Steel Pipe Press-in Excavation during Construction of Underground Railway Crossing

  • Kim, Young-Ha;Eum, Ki-Young;Kim, Jae-W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Railway
    • /
    • 제6권2호
    • /
    • pp.69-77
    • /
    • 2013
  • In this study, numerical analysis and model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analyze behavioral characteristics acting on the track roadbed with excavation through steel pipe injection, a non-exclusive method of crossing construction under railroad as primary target. In model experiments that simulate injection excavation behaviors with an increase in the depth of soil cover, the upper displacement was measured by construction of the first and the second pipes in order to predict actual behaviors, and the behavior characteristics were verified through numerical analysis. The investigation results showed that surface displacement was smaller under the condition of higher soil cover. In the case of injecting two pipes, when the first pipe was injected, deformation of the surface increased linearly in both settlement and uplift experiments. However, when the second pipe was injected, the amount of change was found to be very small due to the relaxation and plastic zones around the first pipe. In addition, the results of numerical analysis on the same cross section with the model experiment found that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into settlement ratio and volume loss were in very good agreement with those obtained by the model experiment.

Response of square anchor plates embedded in reinforced soft clay subjected to cyclic loading

  • Biradar, Jagdish;Banerjee, Subhadeep;Shankar, Ravi;Ghosh, Poulami;Mukherjee, Sibapriya;Fatahi, Behzad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7권2호
    • /
    • pp.165-173
    • /
    • 2019
  • Plate anchors are generally used for structures like transmission towers, mooring systems etc. where the uplift and lateral forces are expected to be predominant. The capacity of anchor plate can be increased by the use of geosynthetics without altering the size of plates. Numerical simulations have been carried out on three different sizes of square anchor plates. A single layer geosynthetic has been used as reinforcement in the analysis and placed at three different positions from the plate. The effects of various parameters like embedment ratio, position of reinforcement, width of reinforcement, frequency and loading amplitude on the pull out capacity have been presented in this study. The load-displacement behaviour of anchors for various embedment ratios with and without reinforcement has been also observed. The pull out load, corresponding to a displacement equal to each of the considered maximum amplitudes of a given frequency, has been expressed in terms of a dimensionless breakout factor. The pull out load for all anchors has been found to increase by more than 100% with embedment ratio varying from 1 to 6. Finally a semi empirical formulation for breakout factor for square anchors in reinforced soil has also been proposed by carrying out regression analysis on the data obtained from numerical simul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