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pdate

검색결과 3,097건 처리시간 0.034초

함수 단위 동적 커널 업데이트 시스템의 설계와 평가 (Design and Evaluation of Function-granularity kernel update in dynamic manner)

  • 박현찬;김세원;유혁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2권3호
    • /
    • pp.145-154
    • /
    • 2007
  • Dynamic update of kernel can change kernel functionality and fix bugs in runtime. Dynamic update is important because it leverages availability, reliability and flexibility of kernel. An instruction-granularity update technique has been used for dynamic update. However, it is difficult to apply update technique for a commodity operating system kernel becaus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update code must be performed with assembly language. To overcome this difficulty, we design the function-granularity dynamic update system which uses high-level language such as C language. The proposed update system makes the development and execution of update convenient by providing the development environment for update code which is same for kernel development. We implement this system for Linux and demonstrate an example of update for do_coredump() function which is reported it has a vulnerable point for security. The update was successfully executed.

  • PDF

리눅스 환경에서의 함수 단위 동적 커널 업데이트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 (A Dynamic Kernel Update System with a Function Granularity for Linux)

  • 박현찬;김세원;유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5권5호
    • /
    • pp.223-230
    • /
    • 2008
  • 동적인 커널의 업데이트는 복잡한 운영체제 커널의 빈번한 기능 개선 및 버그 수정을 동작 중인 커널의 중단없이 수행하는 것이다. 동적인 업데이트를 위해서는 주로 명령어 단위의 업데이트 기법이 사용되지만 어셈블리 언어 수준에서 개발 및 유지, 보수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실제 커널에 적용하기 어렵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우리는 C 언어 수준에서 함수 단위로 동적인 커널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시스템을 설계하고 리눅스에 구현하였다. 이 시스템은 업데이트 개발 환경을 커널의 개발 환경과 일치시킴으로써 업데이트의 개발과 수행을 편리하게 하여 실제 커널에의 활용 가능성을 증대시킨다. 우리는 이렇게 증대된 활용 가능성을 실제로 알아보기 위해 이 업데이트 시스템을 이용하여 EXT3 파일 시스템을 간단하게 업데이트하는 사례를 보였다.

트랜잭션의 복제 일관성을 위한 갱신 전파 알고리즘 설계 (A Design of Update Propagation Algorithm for Replica Consistency of Transaction)

  • 이병욱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4권6호
    • /
    • pp.87-93
    • /
    • 2003
  • 자료 복제는 분산 시스템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서 가용성과 성능을 향상시켜 주지만, 자료를 갱신할 때 일관성을 엄격하게 유지하는 것은 쉽지 않다. 기존 알고리즘들은 엄격하게 일관성을 유지하지만, 비용이 많이 들며 시간이 지연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원본 자료에 대해서 즉시 갱신을 허락하고 다른 복사본들에 대해서는 지연 갱신을 전파하는 혼합 갱신 전파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혼합 갱신 전파 알고리즘은 또한 소유권에 있어서 그룹 갱신을 허락한다. 이 알고리즘은 그룹 갱신 일관성을 제어하기 위해 복제 버전을 관리한다. 그룹의 소유권을 가지고 즉시 갱신과 지연 갱신을 결합함으로써 일관성과 성능이 향상된다. 응용과 실행 환경에 따른 트랜잭션 처리량과 응답시간의 향상을 모의실험을 통해 보여준다.

  • PDF

Deciding to Update Mobile Applications: Reasons and Consequences of Inertia

  • Park, Sang Cheol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26권2호
    • /
    • pp.268-289
    • /
    • 2016
  • While most of studies have paid attention to the initial adoption of a specific application, research on applications has not focused on an individual's update decision process. This study draws upon both du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status quo bias perspectives as a comprehensive theoretical lens to explain why individuals do not update their applications. This study assumes that individuals' inertia could be the main reason for their reluctance to update the applications. Based on a survey of 186 smartphone user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both habit as an affective trigger of system 1 thinking and sunk cost as a cognitive trigger of system 2 thinking promoted the two types of inertia (i.e., affective and cognitive based inertia) in individuals, which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ir willingness to update their applications. By grounding the research model in a theoretical view, such as du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status quo bias, this study provides a unique theoretical lens from which to view individuals' behaviors, thereby gain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ir decision not to update to the current version of applications.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types of application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ffective/cognitive-based inertia and willingness to update. Results show that both habit and sunk cost decrease the willingness to update because they increase both affective and cognitive-based inertia.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effects of affective/cognitive based inertia differed depending on the type of applications.

XML 스키마를 위한 갱신 기능 (Update Facility for XML Schema)

  • 이기준;황수찬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3호
    • /
    • pp.324-330
    • /
    • 2010
  • XML 스키마는 XML 문서의 자료를 구조화하고 검증하기 위한 효율적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W3C는 XML 데이터의 검색과 갱신을 위한 표준으로 XQuery와 XQuery Update Facility를 발표하였으나 XML 스키마 자체에 대한 갱신 기능은 아직 제시하지 않고 있으며 스키마를 수정하기 위해서는 XML 스키마 파일을 편집기 등을 이용하여 직접 수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XML 스키마에 대한 직접적인 수정 방법은 사용자의 불법적 갱신을 방지할 수 없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XML 스키마에 대한 적용의 어려움, 스키마 분석의 시간 소모, 문법적 오류의 발생 가능성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명령어를 이용하여 XML 스키마에 대한 생성, 수정, 삭제를 가능토록 하는 XML 스키마 갱신 기능을 제안하고자 한다.

버퍼 기반 네트워크 매칭을 이용한 도로 데이터 갱신기법 연구 (A Study on Updating Methodology of Road Network data using Buffer-based Network Matching)

  • 박우진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4권1호
    • /
    • pp.127-138
    • /
    • 2014
  • 수치지도의 도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갱신하기 위해서는 최신 갱신된 지도자료로부터 갱신된 정보만을 추출하여 반영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갱신 대상이 되는 네트워크 데이터와 갱신 참조 데이터를 중첩한 후 네트워크 매칭기법을 적용하여 갱신 대상 객체를 탐색한 후, 해당 대상 객체의 갱신 케이스를 분류하고 케이스에 따라 갱신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개발,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치지형도 도로중심선 데이터를 갱신 대상으로 하고 도로중심선 전자지도의 도로구간 데이터를 갱신 참조 데이터로 하여 버퍼 기반 네트워크 매칭 기법을 적용한 후, 각 객체의 중첩길이비를 계산하여 매칭 및 갱신 케이스에 따라 객체그룹을 분류하였으며 분류된 객체그룹에 갱신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갱신된 수치지형도 도로중심선 데이터를 도출하였다. 적용 결과, 이종의 데이터로부터 갱신정보를 추출하여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의 갱신과정에 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복제 일관성을 위한 혼합 그룹 갱신 프로토콜 설계 (Design of Hybrid Group Update Protocol for Replica Consistency)

  • 이병욱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권5호
    • /
    • pp.71-79
    • /
    • 2001
  • 분산 데이터베이스에서 사본을 복제하는 것은 성능, 가용성, 자치성 향상을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일관성을 엄격하게 적용하는 것은 실제 시스템에서 매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지연 갱신 전파로 일관성을 완화하고. 즉시 갱신 전파로 그룹 갱신을 허용하는 혼합 프로토콜을 제시한다. 이 프로토콜은 그룹 갱신의 일관성을 위하여 사본들의 버전번호를 관리하고, 지연 갱신 트랜잭션의 직렬성을 위하여 반순서화한 사본 스패닝 트리를 생성한다. 비동기 갱신과 동기 갱신 기법을 혼합하여 약한 일관성을 유지한다. 성능 분석에 관한 연구는 향후 연구로 한다.

  • PDF

AUTOSAR CAN Interface 확장을 이용한 ECU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방법 (Fast ECU Software Update Algorithm using by Extending AUTOSAR CAN Interface)

  • 김종욱;백장운;권기구;이석규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63-169
    • /
    • 2013
  • This paper proposes a novel ECU (Electronic Control Units) update algorithm for AUTOSAR based automotive embedded system. The proposed algorithm provides fast and easy ECU update by extending AUTOSAR CAN Interface. The proposed system removes the update sequences from PDUR to RTE (ECU update program), and it stops other ISRs and operating system in order to reduce unnecessary context switching time. In experimental results, we can see that the proposed algorithm reduces update time.

무향변환을 이용한 비선형 필터에 대한 연구 (Study on Nonlinear Filter Using Unscented Transformation Update)

  • 윤장호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5-20
    • /
    • 2016
  • The optimal estimation of a general continuous-discrete system can be achieved through the solution of the Fokker-Planck equation and the Bayesian update. Due the high nonlinearity of the equation of motion of the system and the measurement model, it is necessary to linearize the both equation. To avoid linearization, the filter based on Fokker-Planck equation is designed. with the unscented transformation update mechanism, in which the associated Fokker-Planck equation was solved efficiently and accurately via discrete quadrature and the measurement update was done through the unscented transformation update mechanism. This filter based on the Direct Quadrature Moment of Method(DQMOM) and the unscented transformation update is applied to the bearing only target tracking problem. The proposed filter can still provide more accurate estimation of the state than those of the extended Kalman filter especially when measurements are sparse. Simulat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advantages of the proposed filter based on the DQMOM and the unscented transformation update make it a promising alternative to the extended Kalman filter.

이동 통신망에서의 혼합형 위치 갱신 방법의 성능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Hybrid Location Update Strateg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 이구연
    • 산업기술연구
    • /
    • 제26권B호
    • /
    • pp.191-198
    • /
    • 2006
  • In this paper, we focus on a question. Which is better between time-based location update method and movement-based location update method? Or, does any other method combining the two methods show better performance? For the question, we propose a hybrid location update scheme, which integrates the time-based and the movement-based methods. In the proposed scheme, a mobile terminal updates its location after n cell boundary crossing and a time interval of T, or the inverse. We derive an analytical solution for the performance of the hybrid scheme with exponential cell resident time. From the numerical analysis, we conclude that the movement-based method seems to have better performance than the time-based and hybrid methods, that is the optimal costs occur at T=0.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