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ripe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5초

효소처리 노니주스와 시판 노니주스의 기능성 성분, 산화방지 활성 및 NO 생성 억제 효과 (Comparison of bioactive composition, antioxidant activity, and nitric oxide inhibition effect of enzyme-treated and commercial noni juice)

  • 김자민;전연희;정용진;윤경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75-80
    • /
    • 2020
  • 본 연구는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닌 노니의 활용성을 향상시키고 기능성이 증진된 노니주스를 제조하기 위하여 미숙과 및 완숙과에 cellulase와 pecitnase를 처리하여 노니주스를 제조하고, 이들의 기능성 성분의 함량 및 생리활성을 효소 무처리 주스 및 6종의 시판 노니주스외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효소처리 노니 미숙과 주스가 1.61 mg/mL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스코폴레틴 함량은 효소처리 노니 완숙과 주스가 123.88 ㎍/mL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DPPH 라디칼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효소처리에 의해 증가되었으며, 시판 노니주스보다 효소처리 노니주스가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다. 즉, 효소처리 노니 완숙과 주스가 가장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다음으로 효소처리 노니 미숙과 주스가 높은 활성을 보였다. NO 저해능은 효소처리 노니 완숙과 주스와 NJ5가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효소를 처리하여 제조된 노니 주스는 높은 폴리페놀과 스코폴레틴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높은 산화방지 활성과 항염증 작용을 보였다. 따라서 주스 제조 시 cellulase 및 pectinase 처리는 주스의 기능성 성분의 함량 및 생리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특히 노니 완숙과를 이용하여 제조할 경우 그 생리기능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 노니 완숙과를 이용하여 효소처리된 노니주스는 기능성 주스로써의 활용성이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된다.

과실채소중(果實菜蔬中) 유기인계(有機燐系) 농약잔류(農藥殘留)에 관(關)한 연구(硏究) (Organophosphorus Insecticide Residues in Fruits and Vegetables)

  • 서윤수;류홍일;김인기;김학엽;김성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30-36
    • /
    • 1984
  • 수종(數種)의 과실채소류(果實菜蔬類)에 대(對)한 유기린계(有機燐系) 살충제들의 잔유량(殘留量)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채소류(菜蔬類)(무우, 배추, 오이, 토마토)에서 diazinon의 검출률(檢出率)은 20%, 검출범위(檢出範圍)는 부검출(不檢出)${\sim}0.020ppm$ 이었으며, 검출시료(檢出試料)의 평균(平均)은 0.004ppm이었다. DEP는 검출률(檢出率)이 52.5%, 검출범위(檢出範圍)는 부검출(不檢出)${\sim}0.273ppm$이었으며, 검출시료(檢出試料)의 평균(平均)은 0.096ppm 이었다. Malathion의 검출률(檢出率)은 15%이며 검출범위(檢出範圍)는 부검출(不檢出)${\sim}0.038ppm$이고 검출시료(檢出試料)의 평균(平均)은 0.021ppm 이었다. 2) 고추에서는 EPN은 전시료(全試料)에서 부검출(不檢出) 되었으며, PAP는 1점(點)의 시료(試料)에서만 0.006ppm으로 검출(檢出)되었다. 3) 포도에서의 PAP는 검출률(檢出率)이 20%이고 검출범위(檢出範圍)는 부검출(不檢出)${\sim}0.008ppm$ 이었으며 검출시료(檢出試料)의 평균(平均)은 0.006ppm 이었다. EPN은 전시료(全試料)에서 부검출(不檢出)되었으며 MEP의 검출률(檢出率)은 20%, 검출범위(檢出範圍)는 부검출(不檢出)${\sim}0.007ppm$이며 검출시료(檢出試料)의 평균(平均)은 0.005ppm이었다. 4) 복숭아에서 EPN은 전시료(全試料)에서 부검출(不檢出)이었고, demeton-methyl은 검출률(檢出率)이 30%, 검출범위(檢出範圍)는 부검출(不檢出)${\sim}0.047ppm$이였으며, 검출시료(檢出試料)의 평균(平均)은 0.032ppm이었다. parathion은 1점(點)의 시료(試料)에서만 0.003ppm으로 검출(檢出)되었다. 5) 본(本) 조사결과(調査結果)에서 대상농작물(對象農作物)인 국내생산(國內生産) 과실채(果實菜) 소중(蔬中) 유기린계(有機燐系) 농약(農藥)의 잔유량(殘留量)은 국내외(國內外)의 잔류허용기준(殘留許容基準)에 훨씬 미달(未達)되는 수준(水準)이었으며 그 잔유량(殘留量)도 세정(洗淨)이나 조리과정(調理過程)에서 상당한 량(量)이 제거(除去)될 것으로 생각되므로 실제(實際)로 인체내(人體內)에 섭취(攝取)되는 잔유농약(殘留農藥)의 량(量)은 극소(極小)한 것으로 판단(判斷)된다.

  • PDF

$CO_2$ 농도와 온도 증가가 멸종위기식물 섬시호의 번식생태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levated $CO_2$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n the Phenology and Reproductiv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Bupleurum latissimum (Endangered plant))

  • 이승혁;정중규;조규태;장래하;한영섭;유영한
    • 생태와환경
    • /
    • 제46권3호
    • /
    • pp.380-387
    • /
    • 2013
  • 지구온난화에 따른 멸종위기식물 섬시호의 식물계절과 번식생태학적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4년생 섬시호를 일반대기 조건인 대조구와 이산화탄소와 온도를 상승시킨 처리구로 나누어 유리온실에서 생육시켜 관찰 비교하였다. 개엽 시기는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4일 빨랐고, 열매 개시일은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1일 빨리 시작되었으며, 열매성숙 시기는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2일 빨랐다. 그리고 개체 당 화경 수, 성숙한 열매 수, 쭉정이 수, 쭉정이 무게, 총 열매수와 결실율은 처리구와 대조구간의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성숙한 열매 한 개 무게, 성숙한 열매무게와 총 열매무게는 대조구에서 처리구보다 높았다. 발아율은 대조구가 처리구보다 현저히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지구온난화 조건이 되면 섬시호의 식물계절은 빨라지고, 번식생태학적 반응은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이다.

생장단계별 배 과육에서 추출된 펙틴의 이화학 특성 및 포도당 흡수 저해 효과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Glucose Transport Retarding Effect of Pectin from Flesh of Asian Pear at Different Growth Stages)

  • 장선;이범수;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491-496
    • /
    • 2008
  • 상품성이 낮은 배의 부가가치 증대와 배 펙틴의 산업적 이용을 위한 목적으로 생장시기에 따라 배 과육에서 펙틴을 추출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산처리법에 의한 펙틴의 추출수율은 배 과실이 성숙됨에 따라 감소하였고 유과로부터 추출한 펙틴의 $L^*$값은 미숙과나 성숙과에서 추출한 펙틴의 $L^*$값에 비하여 낮았고 $a^*$값과 $b^*$값은 더 높았다. 순도는 22.77-43.07%로 비교적 낮았고 메톡실함량은 3.44-6.73%, DE값은 21.08-41.25%로 저메톡실펙틴이었으며 품종내 성숙과에서 추출한 펙틴의 메톡실함량이 가장 높았다. 고유점도는 1.90-3.81 dL/g이었고 포도당 흡수 지연효과는 약 30% 혹은 그 이상으로 비교적 높은 효과를 보였다. 메톡실함량과 DE값은 고유점도와 5% 수준에서, 포도당 흡수 지연효과와는 1% 수준에서 높은 상관을 보였고 고유점도는 포도당 흡수 지연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배과육에서 산처리법으로 추출한 펙틴은 저칼로리 식품 생산에 그리고 기능성 식품 개발에서 좋은 수용성 식이섬유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며 펙틴 추출 시 순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가 더 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복분자 미성숙과와 황기 추출물 혼합비율에 의한 조골세포의 활성연구 (The Optimal Combination of the Mixture of Unripe Rubus coreanus and Astragalus membranaceus in the Activation and Differentiation of Osteoblastic Cells)

  • 구현정;손은화;강세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58-662
    • /
    • 2013
  • 본 연구는 복분자 미숙과 추출물과 황기 뿌리 추출물로 이루어진 혼합물의 다양한 혼합비율을 이용하여 조골세포의 증식과 활성변화를 확인하고, ALP 활성 및 osteocalcin의 분리량 측정을 통하여 복분자 추출물과 황기추출물의 최적혼합비율을 결정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각 혼합비율(복분자:황기=1:9, 2:8, 3:7, 4:6, 5:5, 6:4, 7:3, 8:2, 9:1)에 따른 혼합물을 MG-63 조골세포에 처리하여 세포의 증식과, 분화마커 ALP의 활성 및 osteocalcin 분비량을 측정함으로써 골다공증 치료에 유용한 복분자 추출물과 황기추출물의 혼합비율을 7:3으로 최적화하였다. 혼합비율 0:0에서 조골세포증식이, 혼합비율 72:28이 세포 내 ALP 활성 증가를, 68:32이 세포 내 osteocalcin의 분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7:3의 혼합물이 항골다공증 효과에 우수한 결과가 있을 가능성을 나타내며, 특히 조골세포의 활성화 촉진으로 인해 골파괴 진행을 억제하는 효과, 즉 병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작용기전이 아니라 골을 다시 형성해줄 수 있는 긍정적 효능에 대한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결과에 의해서 제공되는 최적혼합비율의 혼합물에 대한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임상실험과 그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가 더욱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Morphological and Genetic Characteristics of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Isolated from Newly Emerging Static-Symptom Anthracnose in Apple

  • Jeon, Yongho;Cheon, Wonsu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34-34
    • /
    • 2014
  • Filamentous fungi of the genus Colletotrichum (teleomorph, Glomerella) are considered major plant pathogens worldwide. Cereals, legumes, vegetables, and fruit trees may be seriously affected by this pathogen (1). Colletotrichum species cause typical disease symptoms known as anthracnoses, characterized by sunken necrotic tissue, where orange conidial masses are produced. Anthracnose appears in both developing and mature plant tissues (2). We investigated disease occurrence in apple orchards from 2013 to 2014 in northern Gyeongbuk province, Korea. Typical anthracnose with advanced symptoms was observed in all apple orchards studied. Of late, static fruit spot symptoms are being observed in apple orchards. A small lesion, which does not expand further and remains static until the harvesting season, is observed at the beginning of fruit growth period. In our study, static symptoms, together with the typical symptoms, were observed on apples. The isolated fungus was tested for pathogenicity on cv. 'Fuji apple' (fully ripe fruits, unripe fruits, and cross-section of fruits) by inoculating the fruits with a conidial suspension ($10^5$ conidia/ml). In apple inoculated with typical anthracnose fungus, the anthracnose symptoms progressed, and dark lesions with salmon-colored masses of conidia were observed on fruit, which were also soft and sunken. However, in apple inoculated with fungi causing static symptoms, the size of the spots did not increase. Interestingly, the shape and size of the conidia and the shape of the appressoria of both types of fungi were found to be similar. The conidia of the two types of fungi were straight and cylindrical, with an obtuse apex. The culture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nidia were similar to those of C. gloeosporioides (5). The conidia of C. gloeosporioides germinate and form appressoria in response to chemical signals such as host surface wax and the fruitripening hormone ethylene (3). In this study, the spores started to germinate 4 h after incubation with an ethephon suspension. Then, the germ tubes began to swell, and subsequently, differentiation into appressoria with dark thick walls was completed by 8 h. In advanced symptoms, fungal spores of virtually all the appressoria formed primary hyphae within 16 h. However, in the static-symptom fungus spores, no primary hyphae formed by 16 h. The two types of isolates exhibited different growth rates on medium containing apple pectin, Na polypectate, or glucose as the sole carbon. Static-symptom fungi had a >10% reduction in growth (apple pectin, 14.9%; Na polypectate, 27.7%; glucose, 10.4%). The fungal isolates were also genetically characterized by sequencing. ITS regions of rDNA, chitin synthase 1 (CHS1), actin (ACT), and ${\beta}$-tubulin (${\beta}t$) were amplified from isolates using primer pairs ITS 1 and ITS 4 (4), CHS-79F and CHS-354R, ACT-512F and ACT-783R, and T1 and ${\beta}t2$ (5), respectively. The resulting sequences showed 100% identity with sequences of C. gloeosporioides at KC493156, and the sequence of the ${\beta}$t gene showed 100% identity with C. gloeosporioides at JX009557.1. Therefore, sequence data from the four loci studied proves that the isolated pathogen is C. gloeosporioides. We also performed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PCR, which showed clearly differentiated subgroups of C. gloeosporioides genotypes. The clustering of these groups was highly related to the symptom types of the individual strains.

  • PDF

시설토마토에서 녹색 라벨 스티커를 이용한 토마토녹응애의 발생예찰과 개체군 생장 (Occurrence Monitoring and Population Growth of Tomato Russet Mite, Aculops lycopersici Massee (Acari: Eriophyidae) Using Green Label Sticker)

  • 최용석;남윤규;황인수;박홍현;김형환;박덕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05-410
    • /
    • 2012
  • 본 연구는 토마토의 주요해충인 토마토녹응애(Aculops lycopersici Massee)의 조기 예찰을 위한 새로운 예찰법 개발에 관한 것이다. 토마토녹응애는 4월경 최초 발생하여 토마토의 아래 줄기부터 감염시키며 엽병을 타고 잎으로 이동한다. 발생이 심할 경우 줄기는 다소 광택이 나면서 녹이 낀 색을 보이며, 잎은 은빛을 띠다가 점차 녹슨 형태를 띠고 잎 끝이 말린다. 성숙된 과실보다 푸른색을 띠는 시기에 피해를 주며 과실에 피해가 보일 경우는 밀도가 상당히 높아야 하기 때문에 과실 피해를 보기란 쉽지 않다. 녹색의 라벨스티커에서 최초로 토마토녹응애를 찾아내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 7.0초로 가장 짧았으며 청색, 주황색, 백색의 경우 각각 17.1, 19.8, 12.3초의 시간이 걸렸다. 투과현미경에 측광을 주었을 때 가장 관찰이 용이하였다. 토마토녹응애는 4월 하순부터 발생하여 5월 중순 이후 급격히 밀도가 증가하였으며, 6월 중하순경 최대 발생 양상을 보이고 기온이 높아지면서 6월 하순 이후 밀도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토마토녹응애 접종 후 개체군 증가를 보았을 때, 접종 20일 후 하단부 줄기에서 최초로 관찰되었고 60일 후에는 상단부 줄기에서도 관찰되었다. 접종 후 최대의 발생량을 보이는 시기는 줄기의 경우 40일부터 60일까지였으며 잎의 경우는 약 80일 후였다. 라벨스티커는 토마토재배지에서 토마토녹응애의 발생을 예찰하기에 충분하였다.

복분자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인간 위암 세포주에 대한 유전적 손상 유도 (Effect of Antioxidant Activity and Induction of DNA Damage on Human Gastric Cancer Cell by Rubus coreanus Miquel)

  • 전상경;이지원;이인선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2호
    • /
    • pp.1723-172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능성을 가지는 복분자를 80% methanol로 추출한 후 분획물들을 제조하여 항산화 효과 및 인간 유래 위암세포인 AGS와 KatoIII을 이용하여 성장 저해 효과와 DNA손상을 측정하였다. 항산화 효과를 측정해 보기 위하여 총 폴리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free radical의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는데, 먼저 폴리페놀의 경우 butanol fr., ethylacetate fr., water fr.순으로 나타났고 특히 butanol fr.의 경우 $546.25{\mu}g/mg$의 매우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결과 ethylacetate fr., butanol fr., water fr.,순으로 나타났으며 ethylacetate fr.의 경우 $141.78{\mu}g/mg$의 높은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확인할 수 있었다. DPPH free radical의 소거활성에서는 폴리페놀 함량의 순서와 같은 효과를 보였으며, 합성 항산화제인 BHA의 $RC_{50}$$3{\mu}g/ml$보다 water fr.을 제외하고 더 좋은 소거능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인간 유래 위암세포주의 성장 저해 효과를 살펴본 결과 AGS와 KatoIII 세포주 모두 butanol fr.에서 가장 좋은 저해능을 나타내었고, butanol fr., ethylacetate fr., water fr. 순서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DNA손상을 측정한 결과 역시 이와 같은 순으로 나타났으며, butanol fr.에서 1시간 이내에 약 50%정도의 손상유도 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복분자 methanol추출물과 각각의 분획물은 항산화 효과 및 위암 세포주에 대한 성장 저해 활성 및 높은 DNA손상 유도 효과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배 품종별 생육 단계에 따른 산화방지 및 미백 효과 (Effect of Various Pear Cultivars at Different Fruit Development Stages on Antioxidant and Whitening Activities)

  • 임순희;조광식;최진호;이주현;김명수;이별하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59-65
    • /
    • 2016
  • 본 연구는 배의 품종별 생육 단계에 따른 추출물의 총 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확인함과 동시에 세포 독성 및 멜라닌 생합성 억제능을 비교 평가하여 미백 소재로써의 사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국내 육성한 4가지 신품종과 신고 품종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생육초기에 가장 높았으나 과일이 성숙할수록 낮아졌으며, 품종간에는 생육시기와 관계없이 추황배에서 높게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총 폴리페놀보다 적은 함량으로 5품종 모두 생육시기별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알부틴은 총 폴리페놀 함량과 같이 과일이 성숙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DPPH,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분석한 항산화 활성도 감소의 폭은 달랐지만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높은 항산화 활성은 멜라닌 생합성 억제에도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만개 후 90일까지는 감천배를 제외한 4품종에서 50% 내외의 높은 억제 활성을 보여, 이 시기까지의 배 과일 추출물은 우수한 미백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뿐만 아니라 세포독성이 극히 낮아 피부 안정성이 높은 기능성 천연 원료 및 미백 향장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이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

고추장아찌 숙성 중 아스코르브산 및 클로로필의 함량 변화 (The Changes of Ascorbic Acid and Chlorophylls Content in Gochu-jangachi during Fermentation)

  • 정숙자;김경업;김성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14-818
    • /
    • 2001
  •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발효식품으로서 장아찌류의 일종인 고추장아찌를 2가지 방법으로 제조하여 5$^{\circ}C$와 15$^{\circ}C$에서 보관 숙성시키면서 염도, pH, 아스코르브산, chlorophyll 및 그 유도체의 함량 변화를 조사하여 검토하였다. 장아찡의 염 농도는 담근원의 염도와 상관이 있었으며 저장온도가 높은 쪽이 염의 침투 속도가 빨랐다. 숙성 중 pH는 5$^{\circ}C$의 경우 완만한 감소를 나타냈으나 15$^{\circ}C$의 경우는 된장 담금은 32일째부터 pH 5.0 이하로 낮아졌다. 아스코르브산의 함량은 숙성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감소되었는데 특히 15$^{\circ}C$에서 된장 담금인 경우에 보다 급속하게 감소되어 16일째에 잔존율이 2% 정도였고 그 이후로는 소실되었다. 고추장아찌가 숙성됨에 따라 chlorophyll a 및 chlorophyll b의 함량은 크게 감소되었고, pheophytin과 pheophorbide a의 함량은 크게 증가되었는데, 이는 된장 담금인 경우가 간장 담금한 경우보다 그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특히 아스코르브산의 함량과 chlorophyll 분해율과의 관계를 검토해보면 아스코르브산이 급격하게 파괴됨에 따라 chlorophyll 분해도 급속하게 일어났으며 pheophorbide 생성량도 빠른 속도로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