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recorded fungi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19초

Newly Recorded Macrofungi from Taebaeksan National Park in Korea

  • Jae Young Park;Jin Sung Lee;Minkyeong Kim;Hyun Lee;Changmu Kim;Nam Kyu Kim
    • 한국균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313-334
    • /
    • 2023
  • Mt. Taebaeksan extends from Gangwon-do Province (Taebaek-si, Youngwon-gu, and Jeongseon-gun) to Gyeongsangbuk-do Province (Bongwha-gun), South Korea. Indigenous fungi present in the park were investigated between 2019 and 2022. All collected specimens were identified to the species level based on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using sequences from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and large subunit (LSU) of ribosomal DNA. Among them, 17 species-Cyanosporus bifarius, Dacryobolus angiospermarum, Entoloma sericeum, Flammulina rossica, Fuscopostia leucomallella, Homophron helvolescens, Hygrophorus queletii, Hymenochaete huangshanensis, Inocybe albodiscoides, Lactarius fulvihirtipes, Lepiota ignivolvata, Physisporinus eminens, Ramaria gracilis, Russula albolutea, Russula cremicolor, Stropharia lignicola, and Tengioboletus subglutinosus-were newly recorded macromycota in Korea.

경기도 연천비무장지대 근역에서 분리한 국내 미기록 Eupenicillium, Mortierella, Trichoderma 진균 종 보고 (Undescribed Fungal Species of Eupenicillium, Mortierella, and Trichoderma Isolated in the Vicinity of Demilitarized Zone in Yeoncheon-gun, Gyeonggi-do, Korea)

  • 안금란;김지은;오윤석;이경민;진협;김민욱;김준영;김성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59-367
    • /
    • 2018
  • 비무장지대 일원의 진균 다양성을 연구하기 위한 일환으로 경기도 연천군 마전리에 있는 산과 황진리에 있는 임진강변에서 11가지 식물체 시료와 토양시료 2개를 채집하여 진균을 분리 동정하였다. 그 결과 총 18속 23종의 진균을 확인하였다. 이 중 Eupenicilliumsaturniforme, Mortierellasclerotiella, M. sossauensis, M. verticillate, Trichoderma hispanicum등 5종의 진균이 국내에 보고가 되어있지 않는 미기록 종이었다. 본 연구에서 이들의 형태적, 분자적 특성을 기술하였다.

한국산 민주름버섯목의 분류학적 연구 (I) -수종 미기록속과 종에 대하여- (Taxonomic Study on Korean Aphyllophorales (I) - on some unrecorded genera and species -)

  • 정학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3호통권74호
    • /
    • pp.266-274
    • /
    • 1995
  • 1994년 5월부터 1994년 10월까지 도합 11차례에 걸쳐 우리나라 전역의 11개 지역을 탐색하여 290점의 목재부후균류의 표본을 확보하고 최근의 분류체계를 따라 자실체의 형태학적인 관찰을 통하여 분류 동정한 결과 도합 15과 54속 70종으로 확인되었다. 그중 가장 많은 종류를 차지하는 종류는 민주름버섯목 균류로서 7과 42속 57종으로 집계되었으며 이들 중 고약버섯과에 속하는 융단고약버섯속(신칭(新稱), Botryohypochnus)의 융단고약버섯(신칭(新稱), Botryohypochnus isabellinus), 균열유색고약버섯(신칭(新稱), Phanerochaete laevis), 및 레몬고약버섯속(신칭(新稱), Vesiculomyces)의 레몬고약버섯(신칭(新稱), Vesiculomyces citrinus), 구멍장이버섯과에 속하는 검무른구멍장이버섯(신칭(新稱), Gloeoporus Pannocinctus)과 누런살색구멍버섯(신칭(新稱), Junghuhynia luteoalba), 소나무비늘버섯과에 속하는 배착시루뻔버섯(신칭(新稱), Inonotus andersonii)과 시루뻔버섯(신칭(新稱), Inonotus hispidus), 도합 2속 7종이 국내 미기록으로 판명되었다. 최근 정(1994)은 한국산 목재부후균류의 분포상에 대한 연구 제 2보를 통하여 국내의 15개 국립공원과 7개 일반 지역 및 2개 도서지역을 탐색한 결과 국내 목재부후균류의 민주름버섯류를 217종과 1변종으로 확인한바 있으며 이에 본 연구의 결과를 추가하면 한국산 목재부후 민주름버섯류는 도합 17과 100속 224종 1변종으로 집계되었다. 이들 미기록종 균류는 관악산, 천마산, 지장봉, 소백산, 덕유산, 그리고 설악산에서 채집되었으며, 검무른구멍장이버섯, 배착시루뻔버섯, 및 시루뻔버섯은 모두 참나무, 레몬고약버섯은 단풍나무, 융단고약버섯은 미확인 활엽수, 균열유색고약버섯은 향나무, 누런살색구멍버섯은 소나무에서 발견되었다. 그중 시루뻔버섯은 소백산과 설악산의 살아있는 또는 죽은 참나무의 높은 둥치나 쓰러진 둥치에서 다수 발견되어 우리나라 산악의 특정 지역에 주로 서식하는 종으로 판단되었고, 균열유색고약버섯은 원래 활엽수에 자생하며 간혹 전나무나 소나무에도 부착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나 본 조사에서는 드물게 향나무의 죽은 가지에서 발견되어 본 종이 활엽수뿐만 아니라 침엽수에도 널리 분포할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한국산 민주름버섯목의 분류학적 연구 (II) -수종 미기록종에 대하여- (Taxonomic study on Korean Aphyllophorales (II) -on some unrecorded species-)

  • 정학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3호통권78호
    • /
    • pp.228-236
    • /
    • 1996
  • 1994년 5월부터 1994년 10월까지 도합 11차례에 걸쳐 우리나라 전역의 11개 지역을 탐색하여 290점의 목재부후균류 표본을 확보하고 최근의 분류체계를 따라 자실체의 형태학적인 관찰을 통하여 분류 동정하였다. 그중 가장 많은 종류를 차지하는 종류는 민주름버섯목 균류로서 7과 42속 57종으로 집계되었으며 이들 중 도합 1속 6종이 국내 미기록으로 판명되었다. 해당 미기록속은 고약버섯과의 가루고약버섯속(신칭, Tylospora)으로 그리고 해당 미기록종은 고약버섯과의 조각부후고약버섯(신칭, Athelia fibulata), 백설후막고약버섯(신청, Hypochnicium punctulatum), 흰가루고약버섯(신칭, Tylospora fibrillosa), 꽃구름버섯과의 배착꽃구름버섯(신칭, Stereum ochraceo-flavum), 수염버섯과의 흰바늘버섯(신칭, Steccherinum litschaueri), 그리고 구멍장이버섯과의 배착손등버섯(신칭, Oligoporus undosus)으로 동정되었다. 최근 정학성은 한국산 목재부후균류의 분포상에 대한 연구 제 2보를 통하여 국내의 15개 국립공원과 7개 일반 지역 및 2개 도서지역을 탐색한 결과 국내 목재부후균류의 민주름버섯류를 217종과 1변종으로 확인한바 있으며, 이어 균학회지에 게재한 한국산 민주름버섯목의 분류학적 연구 제 1보에서 추가로 발표한 1속 6종 미기록종과 함께 본 연구의 결과를 합산하면 한국산 목재부후 민주름버섯류는 도합 17과 101속 230종 1변종으로 집계되었다 이들 미기록종 균류는 관악산, 덕유산, 소백산, 지장봉, 및 천마산에서 채집되었으며 섬유부후고약버섯과 배착꽃구름버섯은 참나무, 흰바늘버섯은 단풍나무, 주로 침엽수에 서식하는 배착손등버섯은 딱총나무, 삼림의 부후재목과 부식토에서 발견되는 흰가루고약버섯은 미확인 활엽수, 그리고 낙엽송과 향나무와 같은 침엽수 위주의 숙주에 서식하는 백설후막 고약버섯은 참나무와 같은 활엽수에서도 발견되었다. 그중 백설후막고약버섯과 배착꽃구름버섯은 경기도 남양주군 화도면 천마산에서 그리고 백설후막고약버섯과 흰가루고약버섯 및 배착손등버섯은 경기도 포천군 관인면 지장봉에서 채집되었는데 이들 지역은 그간 균류조사의 미답지였으며 본 연구를 통하여 이들 지역의 균류 분포상의 다양성과 특이성을 처음으로 알 수 있었다. 과거에 조사된 균류의 분포 기록을 참조하여 볼 때 경기도 남양주군 진접읍 광릉 일대에서 다양한 균류상이 계속적으로 보고되어 왔는데 금번 조사를 통하여 경기도 포천군과 광릉 지역을 포함한 남양주군 일대가 민주름버섯류의 분포상 연구에도 매우 이상적인 지역으로 확인되었다.

  • PDF

표고 현장적응 시험 버섯 재배사내 공기에서 검출한 국내 미기록 진균 보고 (Unrecorded fungi isolated from indoor air of cultivation houses used for field test of a newly bred domestic shiitake cultivar)

  • 안금란;안홍석;권혁우;고한규;김성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68-173
    • /
    • 2016
  • 청양과 장흥에 소재한 버섯 재배사에서 새로 육종된 표고 품종의 현장 실증검증 도중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잠재적 진균을 파악하고자 재배사내 공기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오던 중 국내에 기록이 없는 Mortierella parvispora, Doratomyces purpureofuscus, Periconia byssoides, Periconia pseudobyssoides 등 네 종의 진균을 분리하여 동정하였다. 이중 두 종은 식물병원균으로 알려진 종이었고 다른 두 종은 부생성 균으로 다량의 포자를 생산하고 버섯재배 환경에서 오염균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균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동정된 진균에 대한 형태적 특성,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와 18S rDNA region 염기서열 분석에 기반한 계통학적 관계, 그리고 알려진 정보 등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계룡산(鷄龍山) 지역(地域)의 균류상(菌類相)에 관한 연구(硏究)(I) (The Fungal Flora of Mt. Gyeryong National Park(I))

  • 박종성;신관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5-19
    • /
    • 1982
  • 본연구(本硏究)는 국립공원(國立公園) 계룡산지역(鷄龍山地域)의 자연보존(自然保存) 및 자연학습원조성(自然學習園造成)의 기초확립(基礎確立)을 위(爲)한 사업(事業)의 일환(一環)으로서 동지역(同地域)에 발생(發生)하는 야생균류(野生菌類)의 분포상(分布狀)을 구명(究明)하고자 실시(實施)하였다. 1981年 7月부터 10月의 고온다습기(高溫多濕期)에 계룡산지역(鷄龍山地域)에 발생(發生)하는 야생고등균류(野生高等菌類)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담자균(擔子菌) 19과(科) 53속(屬) 93종(種)과 자양균 5과(科) 7속(屬) 8종(種)이 확인(確認)되었다. 그중(中) 우점종(優點種)은 Laccaria, Marasmius, Amanita, Suillus, Boletus, Russula, Lactarius, Lycoperdon등(等)에 큰 군낙(群落)도 발견(發見)되었다. 본보고(本報告)에는 국내기록종(國內記錄種)만을 수록(收錄)하였다.

  • PDF

관상수목의 미기록 흰가루병(I) (New Records of Powdery Mildews from Ornamental Trees in Korea (I))

  • 신현동;양성일;이상현
    • 한국균학회지
    • /
    • 제27권2호통권89호
    • /
    • pp.158-163
    • /
    • 1999
  • 네 종의 관상수목에서 흰가루병이 발생하였는데, 이들은 지금까지 한국에서 보고되지 않았으므로 발병양상을 기록하고 병원균을 동정하였다. 노린재나무 흰가루병은 그늘에서 자란 잎에서만 약하게 발생하였으므로 그리 문제되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병원균은 Microsphaera nomurae U. Braun으로 동정되었다. 꽃산딸나무 흰가루병은 그리 심하지 않았으나 묘포에서의 대발생이 우려되었는데, 병원균은 Microsphaera pulchra Cooke & Peck으로 동정되었다. 야광나무 흰가루병은 묘포에서 어린잎과 어린줄기에 주로 발생하였는데, 병원균은 Podosphaera leucotricha (Ellis & Everh.) Salmon으로 동정되었다. 왕느릅나무 흰가루병은 주로 가을철에 발생하였으며 2차 생장한 어린 가지에서 특히 심하였는데, 병원균은 Uncinula kenjiana Homma로 동정되었다.

  • PDF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Four Unrecorded Mucor Species in Korea

  • Nguyen, Thuong T.T.;Jeon, Yu Jeong;Mun, Hye Yeon;Goh, Jaeduk;Chung, Namil;Lee, Hyang Burm
    • Mycobiology
    • /
    • 제48권1호
    • /
    • pp.29-36
    • /
    • 2020
  • During an investigation of fungi of the order Mucorales from freshwater and sediment samples in Korea, we isolated six strains, NNIBRFG6649, NNIBRFG6255, NNIBRFG1498, CNUFC-YJ13, CNUFC-YR7, and NNIBRFG2739. The morphology and phylogeny of these strains were analyzed.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olecular data from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egion, the isolates NNIBRFG6649 and NNIBRFG6255 were identified as Mucor abundans, and M. aligarensis, respectively. The isolates NNIBRFG1498 and CNUFC-YJ13 were identified as M. moelleri, whereas the isolates CNUFC-YR7 and NNIBRFG2739 were identified as M. heterogamu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M. abundans, M. aligarensis, M. moelleri, and M. heterogamus have not yet been reported in Korea.

A Review of the Scientific Names of Chinese Cabbage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Codes of Nomenclature

  • Kim, Yoon-Young;Oh, Sang Heon;Pang, Wenxing;Li, Xiaonan;Ji, Seong-Jin;Son, Eunho;Han, Saehee;Park, Suhyoung;Soh, Eeunhe;Kim, Hoil;Lim, Yong Pyo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2호
    • /
    • pp.165-169
    • /
    • 2017
  • We organized the scientific names of Chinese cabbage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for algae, fungi, and plants (ICN) and the International Code of Nomenclature for Cultivated Plants (ICNCP). We found that the subspecies name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Lour.) Rupr.' was suitable as the scientific name for Chinese cabbage, and we classified B. rapa var. glabra Regel. as its synonym. In addition, B. petsai Bailey is an 'unrecorded name'   not found in the original description, and therefore is not suitable for use. We conclude that all names based on this name are 'invalid names', and should not be used.

한국산(韓國産) 고등균류(高等菌類)(1) (Higher Fungi in Korea (1))

  • 석순자;김양섭;유영진;박동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2호통권73호
    • /
    • pp.144-152
    • /
    • 1995
  • 본 논문은 한국산 버섯류의 분포상과 자원탐색을 위한 연구조사중 주름버섯류내의 한국미기록 1속, 헛깔때기버섯속 Pseudoclitocybe과 미기록 5종, 헛깔때기버섯 Pseudoclitocybe cyathiformis(Bull.: Fr.) Sing., 한천비늘버섯 Pholiota brunnescense Smith & Hesler, 쥐방울먹물버섯 Coprinus angulatus Peck, 쌍포자외대버섯 Rhodophyllus bisporus Hongo, 끈적비단그물버섯 Suillus viscidipes Hongo과 복균류 1품종, 용문새주둥이버섯 Lysurus mokusin (L.; Pers.) Fr. f. sinnensis (Lloyd) Kobayasi 등이 판명되어 이를 보고한다. 색명은 "Methuen Handbook of Colour"(Kornerut & Wanscher, 1978)을 인용(引用)하였다. 채집(採集)된 모든 버섯표본(標本)은 농업과학기술원(農業科學技術院)에 보존(保存)되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