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paved road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9초

다져진 보조기층 재료의 불포화 전단강도 및 항복하중 평가 (Estimating Unsaturated Shear Strength and Yield Load of Compacted Aggregate Sub-base Materials)

  • 전혜지;박성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4D호
    • /
    • pp.571-576
    • /
    • 2011
  • 일반적으로 도로구조물들은 포화상태라는 가정 하에 설계되고 있으나 실제 도로구조물의 재료인 입상지반재료는 대부분 불포화 상태에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부분을 반영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다져진 입상지반재료를 대상으로 삼축압축시험과 함수특성곡선 시험 결과를 활용하여 다양한 조건에서의 불포화 전단강도를 추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비선형 모형을 활용한 2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고 Mohr-Coulomb항복조건을 통하여 항복하중을 규명하였다. 또한, 입상재료의 항복하중에 대한 도로구조물 표층두께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확인하였다. 해석 결과 입상지반재료의 불포화토 이론을 고려하여 포장 혹은 비포장 도로의 지지력을 예측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다목적차량의 범퍼형상에 따른 융합적 수명평가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onvergent Life Evaluation due to the Bumper Configuration of Multipurpose Vehicle)

  • 이정호;조재웅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85-90
    • /
    • 2015
  • 본 논문은 ATV차량의 전면에 부착되는 범퍼의 구조적인 형상에 따른 수명평가를 피로해석을 토대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진동과 같이 반복적인 하중조건에 노출되는 범퍼의 특성의 파악하며, 여러 가지 피로 상황에서 발생되는 크랙의 위치를 사전에 파악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함이다. 다목적 차량이 일반적인 포장도로가 아닌 비포장도로와 같은 험로를 주행하게끔 설계됨을 고려한다. 그리고 이러한 주행환경에 대한 수명평가 연구를 통해, 그 범퍼의 취약부위를 파악한다. 본 연구의 해석결과를 토대로 자동차 범퍼의 안전설계를 함으로서 내구성을 향상하고 설계에 있어 융합기술에 접목하여 그 미적인 감각을 나타낼 수 있다.

지상무인로봇의 경로계획을 위한 가동맵 생성 방법 (A Method of Generating Trafficability Analysis Map for UGV Navigation)

  • 장혜민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79-85
    • /
    • 2014
  • 지상무인로봇의 성공적 운용을 위해서는 작전지역에 대한 가동성 분석, 위협도 분석 등의 사전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최적의 경로계획을 수행하여야 한다. 그 중에서도 가동성 분석 결과는 차량의 안전 보장과 관련성이 높으며, 특히 비포장로, 초지 등 야지 주행시 차량의 안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지형정보는 가동성 분석을 위한 특정 관심영역의 데이터 추출과 비용산출 과정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기반 데이터로서 토지피복도의 활용성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지상무인로봇의 주행을 위한 가동맵 생성방안을 제시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된 토지피복도의 단독 활용방법과 타 지형정보체계와의 혼합 활용방법이 기존 방법과 비교해 가동성 표현과 최적 경로계획에 있어 개선 효과를 보임을 확인한다.

응급상황시 이송중인 구급차에서 신뢰할 수 있는 혈압계 검증 (Verification of Reliable Blood Pressure Monitor in a Moving Ambulance during an Emergency)

  • 전재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91-97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이동하는 구급차에서 혈압계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다양한 도로 상황에서 수동 및 자동혈압계를 이용하여 혈압 및 시간 측정값을 분석하는 것이다. 첫째, 비포장 도로에서 수동 혈압계 촉진 결과 수축기 혈압 편차가 5mmHg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동 혈압계는 2개의 측정 실패, 1개의 판독 실패를 보여주었으며 측정된 수축기 혈압 편차는 35mmHg였다. 측정 시간은 자동 혈압계보다 평균 102초 빨랐다. 둘째, 과속방지턱을 넘을 때 수동 혈압계의 촉진은 130mmHg로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그러나 자동 혈압계의 수축기 혈압 편차는 52mmHg였다. 측정 시간은 자동 혈압계보다 평균 61초 빨랐다. 마지막으로 급커브 도로에서 수동 혈압계 촉진 결과 수축기 혈압 편차는 5mmHg로 나타났다. 자동 혈압계는 판독 실패가 1회 있었고 측정된 수축기 혈압 편차는 21mmHg였다. 측정 시간은 수동 혈압계가 자동 혈압계보다 101초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응급상황시 이송중인 구급차에서 수동 혈압계는 혈압 측정이 일정하고 측정 시간이 짧아 높은 신뢰도를 보였다.

구급차 내에서 수행한 구급대원의 정맥로 확보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intravenous access of paramedics in ambulances)

  • 김진현;심규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177-18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구급차의 주행조건에 따른 구급대원의 정맥로 확보 시도 횟수를 분석하여 신속한 정맥로 확보를 위한 주행 기준을 제시하고, 실험 전 후 자신감 변화를 비교해 구급대원의 정맥로 확보 자신감을 높이는데 있다. 연구기간은 2017년 5월 18일부터 27일까지이고, 연구 대상은 119 구급대원 30명(1급 응급구조사 20명, 간호사 10명)으로 구급차 주행 조건을 6가지(정차 구간, 평지 구간, 비포장 구간, 과속 방지턱 구간, 곡선 구간, 경사로 구간)로 설정하여 정맥로 확보 시도 횟수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정차 구간과 평지 구간 주행조건에서는 시도 횟수차이가 없었고(p=.161) 비포장(p=.003), 과속 방지턱(p=.005), 곡선(p=.022), 경사로(p=.003)구간 주행조건에서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발생했다. 실험 전 후 자신감은 실험 후 자신감이 유의하게 상승(p=.000)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주행 중 구급차 내에서의 신속한 정맥로 확보를 위해서는 차량을 정차시키거나 평지를 주행할 때 시도하는 것을 권장하며, 지속적인 훈련을 통해 정맥로 확보 자신감을 유지시켜야 할 것이다.

난지도에 인접한 한강변에서의 쌍극자-쌍극자 전기탐사 (Dipole-Dipole Resistivity Survey on the Side of Han River near Nanjido Landfill)

  • 이기화;권병두;오석훈;김차섭
    • 자원환경지질
    • /
    • 제29권3호
    • /
    • pp.335-343
    • /
    • 1996
  • The dipole-dipol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obable contamination of the Han river by leachate from the near-by Nanjido Landfill. The survey line of 3 km was set along the unpaved road toward the Han river. For the convenience of the field work, the survey line was divided into four segments. The complete two-dimensional resistivity section was constructed by connecting the inversion result of each segment. Gravity survey was also carried out along the profile parallel to the resistivity line. Near surface resistivity generally appeared to be of very low value in most part of the survey area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alluvium layer and underlying basement rocks is well discriminated on the resistivity section. These results agree well with those of the preceding Schlumberger depth sounding made at adjacent area by Lee and fun (1995). The variation of thickness of the alluvium layer delineated by gravity anomaly profile also correlates well with the result of the resistivity survey on the qualitative basis. The problem of contamination by leachate from the Nanjido Landfill, where various waste materials have been dumped without any proper treatment facilities, has been remains unsolved yet. Therefore, we present the most probable passages of leachate flow based on the survey results and have briefly discussed about measure for contamination control. Considering the thickness of alluvium and the possible existence of fractured zone, the middle point between 1st and 2nd landfill and the midst of 1st landfill are the most hazardous regions to make leachates flow into the Han river. Since large amounts of leachates are observed from the test wells located on the lines extending from the border between the 1st and 2nd landfill and the middle of the lst landfill, contamination protection barriers are strongly recommended near these regions.

  • PDF

화력발전소의 회처리장 내 비산먼지 저감을 위한 화학적 먼지억제제 적용 연구 (Application of Chemical Dust Suppressants for Control of Fugitive Dust in Ash pond of Thermal Power Plant)

  • 최유림;최종수;양재규;박선환;주현수;장윤영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3권6호
    • /
    • pp.82-89
    • /
    • 201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efficiencies of chemical suppressants for control of fugitive dust in ash pond of thermal power plant. In this study, $MgCl_2$, PAM (polyacrylamide), and PVA (poly vinyl alcohol) that are generally applied to suppression of fugitive dust generated from unpaved road, coal mining, storage piles and etc, were employed as chemical dust suppressants. The coal ash (coal combustion residuals) were sampled from the ash pond of Yeongheung power division in Incheon, South Korea. The characterization of the sample including particle size distribution, pH, $pH_{PZC}$ and pore volume as well as XRF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suppressant treated-samples were investigated with the wind tunnel experiments to estimate and compare the effect of suppressants on stabilization of the surface of coal ash sample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tability of suppressant-treated sampl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water-treated samples. Among the three kinds of suppressants, PAM and PVA showed higher efficiencies and cost saving than $MgCl_2$.

Measurement and Analysis of Physical Environmental Load during Handling and Distribution of Domestic Fruits -Focused on Seongju Korean Melon

  • Jongmin Park;Donghyun Kim;Wontae Seo;Hyunmo Jung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29-138
    • /
    • 2023
  • The propor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handled through the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ing Center (APC) is also steadily increasing every year, and in the case of Seongju Korean melon, a total of 10 APCs of Nonghyup and farming association corporations are in operation, and the distribution ratio is about 60% based on total production. In this study, Seongju Korean melon was selected as a target to analyze the environment load during carrying (production farm ~ APC) in the production area and the transport environment load during distribution of domestic fruits, and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load for handling at APC. The vertical average vibration intensity (overall Grms of 1~250 Hz) of truck transport measured at three transport routes from Seongju Korean melon producer ~ APC, Seongju ~ Seoul and Seongju ~ Jeju was about three times larger than that in the lateral direction and 4.5 times larger than tha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high-amplitude events (G) in the vertical direction compared to the measuring time was deeply related to pavement conditions in the order of unpaved farm-roads, concretepaved farm-roads, and asphalt-paved main-roads, but overall Grms for the entire frequency band is believed to have a greater impact on vehicle traveling speed than road conditions.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 in the size and direction of the vibration intensity measured by the forklift truck's main-body and the attachment (fork carrier) during handling at Seongju Korean melon APC was clear, and the vibration intensity of the forklift truck's main-body was largely affected by the stiffness of the fork and the mast according to the handling weight. Based on the field-data of the transport environment during domestic distribution measured through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it is possible to develop a lab-based simulation protocol for appropriate packaging design.

우리나라 제사공장의 공정 관리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Studies on the Processing and Management Forms of Filatures)

  • 송기언;이인전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12호
    • /
    • pp.37-45
    • /
    • 1970
  • 1969년도 우리나라 제사공장의 공정관리 실태를 조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춘추잠기 공히 최성일을 포함한 5일간(최성일전후 각 2일)의 출하량이 전공판량의 약 80% 내외이고 최성일의 -3일까지 및 +3일이후의 출하량은 가각 10% 내외이다. 2. 생견의 운반도로상태는 92% 내외가 비포장도로이고 전공장이 구견량의 40% 내외를 40km이상되는 공판장에서 트럭으로 운반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생견수송중의 격동에 의한 견질손상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생견의 새로운 포장방법이 청구되어야 할 것이다. 3. 전공장의 22%가 생사품위의 저하요인이 되고 있는 저온건조고만을 설치하고 있는 실정이드로 이들 공장에 대한 열풍건견기의 설치는 시급하다고 본다. 4. 원료견의 가일조제방법은 50% 내외가 정상(1.2.3.4등견), 정하(5.6등견)로 구분하고 있는바 우리나라의 견질성상으로 볼 때 정상(1.2등견), 정중(3.4 등견) 정하(5.6등견)로 구분하여 조제하는 방향으로 개선시켜야 될 것이다. 5. 선제견비율은 다조조사용이 10% 내외 자동조사용이 15% 내외로서 다조용보다 자동용이 높았으며 대 1인당 1일 선견능력은 약 80~100kg이었다. 6. 자견조건은 원료견의 해서가 불량할수록 자견시간 자견압력 및 자견온도가 높았으며 자동조사용 및 옥사조사용의 원료견은 다조조사용의 원료견보다 약자상태이었다. 7. 자동조사가 다조조사보다 1~2$^{\circ}C$의 저온에서 약 2배의 권취속도로 조사하고 있다. 8. 재조온습도는 실내가 $25^{\circ}C$, 67.2%RH 기내가 32.3$^{\circ}C$ 51.9% RH이었고 권취속도는 233m/min 대 1인당 담당창수는 7.5창이었으며 타래의 형태는 전공장이 배인이었다. 9. 제사용수의 용수원은 약 75%가 지하수이고 정수시설이 미비되어 있는 공장이 약 48%인바 이들 공장에 대한 정수시설의 완비는 시급한 과제이다. 10. 대부분의 공장이 자체검사시설로서 검위형, 무척기 Seriplane 검사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11. 진공삼투기는 전공장의 90%이상이 재조공정에서 약 20% 공장이 자견공정에서 활용하고 있다. 12. 제사공정에서 화학약제를 사용하는 공장은 약 21%에 불과하며 사용하는 약제는 대부분의 공장이 자견과정에서는 Seracol "100"을 재조과정에서는 Seracol "500"이었다. 13. 이상의 조사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공정관리면에서는 각제사공장간에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강습회 등을 통한 각공장간의 기술교류는 우리나라 제사업의 생산성을 제고시키는 한 요인이 될것이다.성을 제고시키는 한 요인이 될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