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versity student reading education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7초

대학생의 독서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 D대학교 신입생 독서실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ading Education Method of University Student)

  • 이만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55-185
    • /
    • 2004
  • 이 연구의 목적은 D대학교 신입생들의 독서 행태를 조사 분석하여 대학생의 독서교육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독서교육 방안으로 중앙도서관의 각종 행사 개최, 관련학과의 독서교육 과목 채택, 독서인증제 도입, 필독도서목록 작성, 독서 교양과목 학점 인정, 매체를 통한 독서교육, 독서의 필수과목 채택 등을 제시하였다.

  • PDF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초등학교 수준별 독서지원 시스템 개발 (The Development of Leveled Reading Education Support System Using Multimedia Technology for Elementary School)

  • 최창훈;마대성;김정랑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11-219
    • /
    • 2005
  • 현행 초등학교 독서교육은, 학생들의 독서능력이나 수준과 관계없이 실시되고 있으며, 독서능력 측정을 위한 진단지의 부재, 텍스트 위주의 감상표현활동, 가정과 학교의 단절로 인한 독서교육 실시의 어려움이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수준별 독서지원 시스템을 구안하였다. 시스템을 통하여 학생들의 독서능력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진단하여 수준에 맞는 도서를 안내하고, 멀티미어 기술을 활용한 감상표현을 함으로써 독서에 흥미를 가질 수 있게 하였다.

  • PDF

웹과 스마트폰 기반의 증강현실 동화책 구현 및 적용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of Fairy-Tale Book of an Augmented Reality Based on Smartphone and Web browser)

  • 이재인;유승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01-209
    • /
    • 2012
  • 2009 개정 교육과정으로 인해 창의 재량 시간이 대폭 늘어났다. 이에 많은 학교들은 독서, 논술로 재량활동 시간을 대체하고 있지만 기존 수업과 차별화가 되지 못해 학생들이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독서에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스마트폰 활용 증강현실 동화책을 디자인하고 개발하였다. Junaio로 제작한 웹브라우저 기반 증강현실 동화책과 QCAR 툴로 제작한 스마트폰 기반 증강현실 동화책은 초등학교 학생들이 수업 시간에 쉽게 활용하였다. 개발한 증강현실 동화책을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독서 수업에 대한 흥미도 및 이해도가 매우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읽기자료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Reading Material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 강석진;석종임;고한중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3호
    • /
    • pp.315-326
    • /
    • 2013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reading materials in science textbooks. Participants were 181 teachers from 23 elementary schools who were teaching science and 643 third- to sixth-grade students from 12 elementary schools. A questionnaire for teachers consisted of 18 items and a questionnaire for students consisted of 11 items about their perceptions of the reading materials in science textbooks. Nine to twelve items, according to grades, examining the actual uses of each reading material in science textbooks were also included to both questionnair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eachers have positive perceptions about reading materials and frequently use them in case of needs for supplement and/or enrichment of science learning. Novice teachers were found to have less positive perceptions about reading materials than expert teachers. Over 70 percent of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read all reading materials. Fifth- and sixth-grade students were tended to have less positive perceptions about reading materials than third-grade students. Finally, students tended to have more positive perceptions about reading materials than their teachers.

U-러닝 기반 수준별 독서교육지원 시스템 개발 및 효과검증 (Development and Effect Verification of U-learning based Leveled Reading Education Support System)

  • 김정랑;마대성;천경록;최현호;고윤미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41-49
    • /
    • 2009
  • 최근 모바일 기술의 발전으로 웹페이지를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환경이 만들어져 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 개발된 수준별 독서교육지원 시스템을 U-러닝 환경에 맞게 개선하여 모바일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개선하고 학생들에게 전자책 서비스와의 연계를 통해 오프라인이나 온라인상에서 독서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독서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고조시키고 독서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독서교육지원시스템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U-러닝 기반 수준별 독서교육지원 시스템은 학생들에게 독서와 독후활동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게 해 주었고 이를 통해 학생들의 독서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었다.

  • PDF

초등학교의 독서교육을 위한 웹 기반 동료평가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Peer Evaluation System for Read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 박창욱;문교식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471-480
    • /
    • 2004
  • 독서를 통하여 높은 수준의 사고능력을 습득할 수 있으므로 독서능력은 모든 학생들이 갖추어야할 기본 능력으로 간주되고 있다. 또한 독서교육은 학생들에게 올바른 사고와 비판적 능력을 함양할 수 있다. 그러나 독서교육은 교사의 시간적 제약과 대응력의 부족으로 비중 있게 다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웹을 기반으로 하는 동료평가 시스템을 구현하여 독서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학생들은 웹에서 자유롭게 독후감을 작성하고 다른 학생들이 쓴 독후감을 평가할 수 있다. 동료평가 과정은 단순히 점수화를 위한 것이 아니라 동료들의 평가와 조언을 활발하게 받아들이고 다른 사람의 글을 읽고 평가하면서 자신의 글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할 수 있다. 교사중심이 아닌 학습자중심의 활동으로 교사와 학습자 모두에게 유익을 주기 위함이다. 본 시스템을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독서에 대한 태도와 선호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초등 과학영재반과 일반 학생 및 남녀 간의 독해력과 과학탐구능력의 비교 및 상관관계 분석 (Comparative and Correlation Analysis on Reading Comprehension and Science Process Skills between the Science Gifted and General Students and by Gender)

  • 최종경;이형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242-25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reading comprehension and science process skills between science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and to see the correlations between reading comprehension and science process skills of science gifted students by gender. The subjects were 57 science gifted students and 57 general students in 5th grade in U cit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cience gifted students had excellent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compared to the general students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gender, boys and girls of the science gifted students showed higher marks than those of the general students respectively. But for boys,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for girls,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Second, the science gifted students has excellent science process skills compared to the general students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gender, boys and girls of the science gifted students showed higher marks than those of the general students respectively. And for boys and girls,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re was low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reading comprehension and science process skills of the science gifted students. By gender, boys and girls showed low positive correlation respectively. But for boys,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for girls,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Coding Education Academic Achievement Analysis According to Reference Book and Type of Reading

  • Na, Daeyoung;Kim, Koon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2호
    • /
    • pp.323-330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독서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와 성향이 코딩교육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관련 데이터를 3가지 영역(독서, 코딩, 여가)으로 나누어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독서 영역에서는 선호도서, 선호 독서 방법 데이터 등을 수집하였고 코딩영역에서는 선행학습여부, 주요 컴퓨터 활용 작업, 코딩 학습에 주당 사용한 시간 등을 수집하였고, 여가 영역에서는 여가 활동과 주당 소비 시간을 수집하였다. 코딩교육에 어려움을 느끼는 비전공 학생들의 문제점을 확인하기 위해 선호 독서 방법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분류 및 분석하였다. 발췌독하는 학생 그룹이 코딩교육에서 가장 좋은 성취도(평균60.1)를 나타내었고, 다독하는 학생 그룹이 가장 낮은 성취도(평균48.4)를 나타내었다. 다독하는 학생 그룹은 타 독서 방법을 선호하는 학생 그룹에 비해 코딩 학습에 더 많은 시간을 사용하였지만 가장 낮은 성취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4학년 '과학이야기'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식 조사 (Investigation of Pupils' Views on the 'Science Story' in the Third and Fourth Graders' Science Textbooks)

  • 이민규;정용재;김한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1호
    • /
    • pp.102-11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3^{rd}$ and $4^{th}$ grade elementary students view about 'Science story', which is recently inserted in the new version of science text books. For the study, four hundred $4^{th}$ graders at four schools were considered in the area of Cheonan city, Chungnam province. The degree of student's preference, preferable science topics from the 'Science story', the reason for their preference, and their attitudes toward general science were examined. The study was initiated after student's reading of the 'Science story' (Advanced science, Science in the life, Science in the history, and Future science directions). The student attitudes toward general science were examined using questionnaire survey prior to ot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First, the students who have more interests and affirmative attitudes about science subjects with high scores are more favored about 'Science story'. Second, generally the students prefer reading topics in the order of 1) Science in the life, 2) Advanced science, 3) Science in the history, and 4) Future science directions. However the order was flexible depending on student's gender, preference, and attitudes. Third, the student's interests about 'Science story' was mostly raised from the new scientific topics in the book. And it was also raised partly from their personal interests and usefulness for science 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of our study, we included some suggestions for the improved 'Science story' and their utilizations.

과학만화 독서가 초등학생의 과학 흥미도, 학업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cience Cartoon Reading on the Levels of Interest in Science, the Academic Achievements and the Scientific Attitudes of Elementary Students)

  • 송지정;이형철;유병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4호
    • /
    • pp.581-592
    • /
    • 2013
  • Various data and methods are necessary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science subject, and have interest in it. Most students like cartoons, and more easily memorize their cont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science cartoon reading on the academic achiements, the levels of interests in science and scientific attitudes of elementary students The study subjects were four classes of the 6th grade of G elementary school in U city. Two classes wer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s were comparison group. The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classes were encouraged to read science cartoon related to class contents at the beginning and ending for 5 minutes respectively in instructional time. And those of the comparison classes received general science less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classes encouraged to read science cartoon marked higher average score than comparison classes in post-test and the difference was meaningful (p<.05). This meant science cartoon reading treatment had the effect of improvement of the levels of interest in science of student. Second, the experimental classes marked higher average score than comparison classes in post-test but didn't show meaningful difference. This meant science cartoon reading treatment didn't have the effect of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in our study. Third, the experimental classes marked higher average score than comparison classes in post-test and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p<.05). This meant science cartoon reading treatment had the effect of improvement of scientific attitudes of students. From the results thus far, we could tell that science cartoon reading had positive effects on the levels of interest in science and scientific attitudes of students in our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