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versity math education

검색결과 684건 처리시간 0.025초

수학사의 한 넓이 문제에 대한 초등 수학 우수아의 풀이 다양성 탐색 (Diversity of Problem Solving Methods about a Problem of Area from the History of Mathematics by High Achiev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장혜원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53-168
    • /
    • 2008
  • 이 연구는 수학교육에서 문제해결의 중요성에 근거하여 초등 수학 우수아들의 문제 푸는 방법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선시대 수학책인 <산학입문>에서 발췌하여 수정한 문제인 노몬의 넓이 구하는 문제가 주어질 때 84명의 초등 수학 우수아의 반응 및 풀이 과정을 분석하여 분류하였다. 이 중 정답을 얻은 학생들(73.8%)이 사용한 접근 방법은 크게 수치적 접근과 재구성 접근의 두 가지로 나뉜다. 두 접근은 다시 각각 세 가지, 여섯 가지 방법으로 세분할 수 있어 각각의 특징을 학생 사례와 함께 고찰하였다. 그 중 동양 수학사에서 이용된 방법을 포함하여 도형의 재구성을 통한 방법은 특히 주목할 만하다 전체 정답자의 절반에 가까운 수가 수치적 접근을 이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동일 문제에 대한 다양한 풀이를 관찰할 수 있었고, 그 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사고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 PDF

3D 프린팅 활용 교육 프레임워크 제안 및 적용의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about the Activity Framework for 3D Printing in Education and Implementation)

  • 소효정;이지향;계보경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451-462
    • /
    • 2017
  • 본 연구는 학교에서 도입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 신기술인 3D 프린팅 활용 교육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는 크게 3D 프린팅 활용을 위한 학습활동 프레임워크 제안과 3D 프린팅 활용 교육의 현장적용 가능성을 모색하는 두 단계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3D 프린팅 활용 학습활동 프레임워크'는 '문제 해결과정의 복잡성'과 '협동적 상호작용'을 두 축으로 하여, 1단계는 재현을 통한 제작, 2단계는 상상 표현의 수단, 3단계는 근접한 문제 해결, 4단계는 확장된 문제 해결의 네 단계로 활동을 구분하였다. 두 번째 연구목적인 학교현장에서의 사례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23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수학교과에 3D 프린팅 활동을 접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학생들은 '1단계 재현을 통한 제작'에 3D 프린팅을 활용하여 다양한 도형의 형태와 부피를 학습하였다. 연구결과 참여 학습자들이 전반적으로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한 수업의 효과성에 대해 긍정적인 학습경험을 보였으며 학습경험의 질 및 만족감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3D 프린터 및 CAD 프로그램의 사용성에는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3D 프린팅 활동 설계를 가이드할 수 있는 거시적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 단순 흥미를 넘어서 교과연계성을 가지는 3D 프린팅 활동의 가능성을 탐색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독일 고등학교 수학에서 행렬 교수·학습 내용 분석 (Analysis of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of matrix in German high school mathematics)

  • 안은경;고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2권2호
    • /
    • pp.269-287
    • /
    • 2023
  • 행렬이론은 수학, 자연과학, 공학뿐 아니라 사회과학과 인공지능 분야에까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중·고등학교 수학에서 행렬은 학습 부담 경감을 위해 2009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삭제되었다가 인공지능 시대를 맞이하여 2022 개정 교육과정에 재편성될 예정이다. 이에 다른 나라에서 다루고 있는 행렬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행렬 지도를 위한 의미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 교과서 구성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독일 수학과 표준교육과정과 독일 헤센주의 수학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독일 수학 교과서의 행렬 단원의 내용 요소 및 전개 방식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독일 교과서는 선형연립방정식의 풀이를 위한 행렬, 일차변환을 설명하기 위한 행렬, 전환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행렬로 나누어 행렬 단원을 다루고 있으며 모두 역행렬을 다루고 있고 수학적 추론 및 수학적 모델링에 중점을 두고 행렬을 학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로부터 학교 수학에 행렬을 재편성할 경우 깊이 있는 개념적 이해와 수학적 추론 및 수학적 모델링에 중점을 두어 교육내용을 구성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수학 교육에서 실험 수업의 의의와 특성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Laboratory class in Mathematics Education)

  • 고호경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77-87
    • /
    • 2005
  • 본 고는 실재 학교 상황 내에서 교사의 실재를 위한 전문성 향상 프로그램에의 기여를 위한 실험 수업을 제시하는 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이러한 전문성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의 고안은 Dewey의 반영적 사고와 이론과 실재의 연계에 그 지향하는 바를 두고 있다. 또한 색심적 구저적 특성은 Garet, Porter, Desimone, Birman & Kwang (2001)이 제안한 전문성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에 따라 시도되었으며, 교사들이 자신의 실재에 반영할 수 있고 자신의 교수-학습을 자가 생성(Carpenter & Leher, 1999)될 수 있게 함을 그 궁극적인 목적으로 둔 실험수업을 제안하였다.

  • PDF

학습 노트를 활용한 쓰기 활동이 수학과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Writing Activity through learning-Notebooks o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s)

  • 김민정;노은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0권3호
    • /
    • pp.289-302
    • /
    • 2007
  • 실제 수학 수업에서 학생들이 사용하는 노트를 살펴보았더니 문제풀이에 초점을 두어서인지 노트를 정리하는 방법을 몰라서인지 '연습장'에 가까웠다. 이에 체계적인 학습 노트를 활용한 쓰기 활동이 학생들의 수학과 학업 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학생들이 쓰기를 할 수 있는 학습 노트를 구안하고, 학습 노트를 활용한 쓰기 활동이 수학과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며, 이 활동이 학생의 수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결과물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 노트를 활용한 쓰기 활동은 학생들의 수학과 학업 성취도의 향상과 수학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변화를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정오각형 작도에 의한 특수각의 삼각비 유도 (Derivating the Ratios of Trigonometric Special Angles by Constructing Regular Polygon)

  • 조정수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9-90
    • /
    • 2006
  • 본 논문은 중$\cdot$고등학교에서 특수각의 삼각비를 삼각비의 원래 기원인 기하학적 의미가 아닌 지나친 대수적 접근방법으로 지도하고 있다는 문제점으로부터 출발하여 특수각의 삼각비를 유클리드 <원론>에 기초한 정오각형과 정십각형의 작도법으로부터 유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정오각형과 정십각형의 작도법을 고찰하고 이로부터 다양한 특수각을 기하적으로 유도하고 있다. 이런 기하학적 방법을 통하여 특수각의 삼각비의 기하학적 의미를 재조명하고 수학사를 활용한 삼각비의 교수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초등학교 2007 개정 교과서 비와 비율 관련 용어에 대한 고찰 (A Discussion on the Terms Related to ratio and rate from the Revised 2007 Curriculum textbook)

  • 홍갑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3권2호
    • /
    • pp.285-29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지난 5, 6, 7차 교육과정 교과서의 비와 비율 관련 용어 정의의 변천과정을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2007 개정 교과서의 정의에서 개선된 사항은 무엇이고 여전히 남아있는 문제는 무엇인지 살펴본다. 그리고 비율, 비의 값, 백분율의 관계를 재설정함으로써 그 용어들에 대한 대안적 정의를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비와 비율 관련 용어 정의와 관련된 이러한 문제는 동치류로서의 비의 수학적 속성을 충분히 다루지 않은 채로 비율 관련 용어를 도입하고 있는 교과서의 내용 전개 자체에 내재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 PDF

자연수의 나눗셈 지도에 대한 고찰 -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수학 교과서와 지도서를 중심으로 - (Review Teaching Division of Whole Numbers - Focussing on Elementary Math Textbooks and Manuals for Teachers -)

  • 강문봉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1권1호
    • /
    • pp.1-16
    • /
    • 2011
  • 이 연구는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와 지도서의 자연수 나눗셈 영역에 대한 고찰이다. 교과서와 지도서는 수학을 지도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문서이다. 또한, 장차 초등학교에서 수학을 가르치려는 예비교사들이 교과서와 지도서를 바탕으로 학습하기 때문에 이들에게도 매우 중요한 문건이다. 그러므로 교과서나 지도서에 문제가 없어야 한다. 그러나 자연수 나눗셈과 관련하여 개정 교과서와 지도서에 몇 가지 오류와 개선해야 할 점들이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그런 사항들에 대해 논하고 개선점을 제안하였다.

  • PDF

광주광역시 치과위생사의 NCS 기반 직업기초능력 우선순위 분석 (Priority analysis of NCS based vocational core competency of dental hygienists in Gwangju)

  • 홍남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37-346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analyzed the priority of vocational core competency factors in dental hygienists in Gwangju. Methods: Expert survey was conducted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was applied to evaluate the weighting factors. First, we established the vocational core competency defined in NCS as AHP analysis model. The vocational core competency has 10 categories and 34 sub-categories. Secondly, AHP survey was conducted by 195 dental hygienists in Gwangju. Finally, the weights representing relative importance of each factor were calculated by using AHP method. Results: The AHP analysis on 10 categories showed that the weighting of interpersonal skills(0.165) was higher than any other categories while that of numeracy(0.035) was at the bottom, and the analysis on sub-categories reveale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each categories included the teamwork skills(interpersonal skills), problem-solving capability(problem-solving skills), listening skills(communication skills), ethical community(professional ethics), ability to understand business(ability to understand organizational structure), applicable technical skills(technical skills), self-management skills(self-development capability), information processing capabilities(information capacity), ability to manage time(resource management capabilities) and basic math skills(numeracy). Conclusions: The results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liberal arts curriculum for dental hygiene education.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Scaffolding in an Elementary Mathematics Digital Textbook

  • CHOI, Jeong-Im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4권1호
    • /
    • pp.75-10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improve digital textbooks for self-regulated learning by applying cognitive scaffolding designs to an elementary math digital textbook and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Henc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steps. First, a framework for scaffolding design was devised by examining the problems and difficulties students encounter when using a mathematics digital textbook. Second, after the digital textbook was revised by applying the scaffolding design frameworks, the effectiveness of the scaffolding framework was examined by comparing students' achievement levels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that of students in a control group. Seventy fifth-grad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tudied with the revised version of the digital textbook and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studied with the original version of the digital textbook. The students received a pretest before the experiment. After the experiment, they took an achievement test and completed a usability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by ANCOVA with the SPSS Windows vers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tudents who used the revised program (to which design strategies for scaffolding were applied) showed higher levels of achievement than those who used the original version. In addition,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generally showed higher scores on the usability survey, which consisted of four sub-categories such as 'effectiveness', 'efficiency', 'satisfaction', and 'learnabilit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efficiency'. These results implied that scaffolding strategies were effective for mathematics learning through the use of an elementary digital text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