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on catalog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3초

메타데이터 기반 학술지 논문 종합 목록 시스템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ion of an Article Union Cataloging System Based on Metadata)

  • 최한석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57-76
    • /
    • 2001
  • 인터넷 및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기존의 도서관은 원문위주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도서관으로 변화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메타 데이터 기반 논문 종합목록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학술지 논문 종합 목록을 위한 메타데이터 접합은 더블린 코어 메타데이터 요소 중 12개를 선택하고 소장요소를 추가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설계 구현한 학술지 논문 종합 목록 시스템은 웹 브라우저 및 Z39.50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온라인 공동 목록 시스템과 학술지 논문 종합 목록시스템 그리고 학술지 논문 통합 검색 서비스로 구성된다. 또한 학술지논문에 대한 통합 검색 또는 기사 색인 검색 결과에 따라 초록보기, 목차보기, 원문보기 등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복사/팩스 서비스 시스템과 연계된다.

  • PDF

자원공유에 대한 대학도서관 사서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Among University Librarians towardes Resource Sharing)

  • 심원식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5-24
    • /
    • 2008
  • 대학도서관에서의 자원공유가 활발해지고 고도화됨에 따라 이 업무를 담당하는 사서들이 자원공유에 대한 인식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설문지에 기반한 연구방법을 사용하여 78명의 대학도서관 사서들로부터 상호대차, 원문복사, 종합목록구축, 분담수서, 그리고 인적교류와 관련된 인식과 평가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결과는 사서들이 이미 잘 구축된 자원공유(상호대차, 원문복사, 종합목록구축)에 대해 그렇지 않은 형태의 자원공유 (분담수서, 인적교류) 보다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서들의 자원공유에 대한 인식과 도서관/개인 특성과의 상관분석이 수행되었고, 다섯 개 영역의 자원공유 각각에 대한 장애요인 또한 도출되었다.

종합목록DB를 이용한 국내 대학도서관 서양서 소장 실태 분석 (An Analysis of Korean University Library Holdings of Western Language Books Using a Union Catalog Database)

  • 이지원;이재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205-229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 서양서 장서 개발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2003년과 2013년에 출판된 서양서 소장 실태를 KERIS 종합목록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새로운 장서 지표로 소장 h-지수, 장서 고유성 지수, 그리고 공통장서 확보율을 제안하고 기본 지표인 종수 및 책수, 그리고 종당 책수와 함께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2003년에 비해서 2013년에 출판된 서양서의 전체 소장 종수는 16.1% 감소하고 소장 책수는 42.2% 감소하여 소장 책수가 더 크게 감소하였다. 여러 도서관이 공통적으로 소장하는 공통 장서, 또는 기본 장서의 규모를 나타내는 공통장서 확보율은 줄어들었고, 장서고유성은 증가하였다. DDC 주류 중에서는 컴퓨터 관련 도서가 급감한 0XX(총류) 분야의 감소율이 가장 컸다. 도서관별 장서량 측면에서는 2003년에 비해서 2013년 출판도서의 경우에 상위 도서관이 더욱 과점하는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심화되었다.

도서관 목록의 지식 확산 도구 역할에 관한 시론(試論) : WorldCat을 중심으로 (A Discourse on the Role of Library Catalogs as a Tool for Knowledge Distribution: With a Focus on the WorldCat)

  • 윤정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23-141
    • /
    • 2012
  • 이 연구는 국제적 규모의 종합목록인 WorldCat을 전 세계 도서관에서 특정한 주제 관련 지식자원 분포 현황의 분석 도구로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Korea, Korean, Japan과 Japanese라는 네 개의 주제 키워드를 사용하여 검색한 서지레코드를 매체, 장르, 언어 패싯을 사용하여 '한국'과 '일본' 관련 지식자원의 분포 현황과 특성을 기술하였다. 전 세계 도서관에 한국 관련 지식자원의 소장규모는 일본 관련 자원의 절반에 못 미치고, 특히 청소년 대상 자료는 규모 및 매체, 언어, 장르 등 특성 면에서 일본 관련 자료보다 제한적이며 다양성이 적었다. 또한 두 건의 서지레코드 사례를 검토하여 이용자 서평 등의 내용이 관련 지식 확산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을 추론하였다.

조선시대에 간인(刊印)된 "춘추(春秋)" 판본(板本)에 관한 서지적(書誌的) 연구 (A Study on the Printed Books of Ch'un-ch'iu(春秋) Commentary in Chosun Dynasty Period)

  • 염종일;송일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31-346
    • /
    • 2007
  • 이 연구는 조선시대에 간행된 $\ulcorner$춘추(春秋)$\lrcorner$ 주해서의 여러 판본(板本)에 대하여 문헌상의 기록과 판본에 대한 실제 조사를 통해 현존하는 판본들의 유형별, 형태별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그 특징에 대하여 서지학적 고찰을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조선시대에 간행된 <책판목록(冊板目錄)> 가운데 비교적 그 작성시기가 명확한 것을 선정하여 살펴봄으로써 문헌상에 나타나는 $\ulcorner$춘추(春秋)$\lrcorner$ 판본의 개판(開板) 상황을 조사하였으며, 고서를 소장하고 있는 주요 기관들의 고서종합목록과 주요대학도서관의 고서목록DB를 검색하여 $\ulcorner$춘추(春秋)$\lrcorner$ 개판(開板)의 종합적인 서목을 작성하고, 이를 근거로 각 소장기관을 방문하여 실물의 확인과 촬영, 복사 등을 통해 현존본 $\ulcorner$춘추$\lrcorner$ 판본의 서지사항을 담은 <종합서목(綜合書目)>을 작성하였다. 이렇게 작성된 <종합서목>을 기준으로 활자본 14종과 목판본 13종이 현존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들의 유형별 특징에 대해서 서지학적으로 고찰하였다.

한.일간 지식정보의 생산과 흐름분석 - 문화분야를 중심으로 -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Research Products of Each Other Between Korea and Japan - With an Emphasis on the Cultural Fields -)

  • 박정길;김용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39-166
    • /
    • 2002
  • 이 연구는 지난 1세기 동안(1900∼2000) 한·일 관계에 관한 지식정보의 생산과 흐름을 분석, 해석한 것이다. 특히 문화분야를 1)문화, 2)철학사상, 3)종교 4)예술, 5)어학, 6)문학으로 구분하여 한·일 양국이 상대국의 문화분야를 조사, 연구한 단행본의 종합목록을 작성하였다. 이것을 근거로 양국의 문화분야 연구물 생산 현황에 관한 통계자료를 작성하고 그 내용과 특성에 대해서 계량서지학적 분석과 질적 해석을 병행하였다. 연구의 결과 일본이 한국보다 문화분야의 단행본을 더 많이 생산하였다. 그러나 최관 15년간(1985년 이후 지금까지)에는 일본보다 한국이 문화분야 단행본을 106종 가량 더 많이 생산하였음이 밝혀졌다.

  • PDF

종합목록 데이터의 오류 유형에 관한 연구 - KERIS종합목록의 학위논문 서지데이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Error Data Types in the KERIS Union Catalog - Focused on Dissertation Bibliographic Database -)

  • 조순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19
    • /
    • 2002
  • KERIS의 대학도서관 종합목록은 330개 대학도서관이 가입하여 570만 레코드를 보유하고 있는 국내 최대의 목록이다. 그러나 각 회원기관이 이미 구축한 DB를 짧은 기간 내 통합하면서 중복 및 오류 레코드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검색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체 자료의 10%를 차지하는 학위논문 데이터 1000건을 대상으로 오류 데이터의 유형을 분석함으로서 데이터의 품질을 측정하고 기계적으로 오류데이터를 색출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오류데이터는 전체 표본 DB의 30%를 차지하였고 발생하는 주요 원인은 1)입력오류 2)MARC의 사용 오류 3)목록규칙의 적용 오류가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났다.

연속간행물 종합목록 데이터베이스의 레코드 품질 평가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Records of the Serials Union Catalog Database)

  • 윤정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7-42
    • /
    • 2003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의 '과학기술 연속간행물 종합목록' 데이터베이스의 레코드의 품질을 평가하는 것이다. 일본어 연속간행물 172종의 MARC 레코드와 상세 서지 레코드를 대상으로, AACR2R와 KORMARC 등의 편목규칙과 기술표준을 기준으로 하여 각 필드별로 발생하는 오류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목록 레코드들은 불완전 혹은 최소기술 수준으로 작성되었고, 제한된 필드 내에서 발생되는 주요한 오류는 동일한 기본 표제와 축약 표제, 대등표제 선택의 오류, 영문 표제 기입의 오류, 불필요한 언어 코드의 사용, 발행지 오류 등을 포함하였다. 보다 우수한 종합목록의 구축을 위해 필요한 레코드의 정확성, 일관성, 완전성 둥의 품질은 편목규칙과 기술표준을 준수함으로써 현저히 제고될 수 있음을 입증한다.

종합목록의 중복레코드 검증을 위한 알고리즘 연구 (A Study on Duplicate Detection Algorithm in Union Catalog)

  • 조순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9-88
    • /
    • 2003
  • 본 연구는 KERIS 종합목록의 품질 개선을 위하여 새로운 유형의 중복 데이터 색출 알고리즘을 개발한 것이다. 새로운 알고리즘에서는 현재 적용하고 있는 것과 같은 MARC 데이터 일치여부 비교 방식에서 탈피하여 언어별 서지 유형별 다른 비교방식을 적용하였다. 아울러 비교 요소간의 유사성을 측정하고, 각 요소의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차등 부여하는 방식을 병행하였다. 새로 개발한 알고리즘의 효용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최근 종합목록에 업로드된 데이터 210,000건을 추출하여 실험용 마스터 파일을 구축하고 7,649건을 두 개의 알고리즘으로 처리한 결과 새로운 알고리즘에서 중복레코드의 색출 비율이 36.2% 더 높게 나타났다.

서지 네트워크의 웹 이용자 서비스 연구 (A Study on the Web User Service of the Bibliographic Network)

  • 이지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17
    • /
    • 2010
  • 검색엔진, 웹 포털사이트, 온라인 서점 등이 정보의 유통을 주도하면서 도서관과 도서관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목록의 영향력이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서지 네트워크 기관에서도 웹 환경의 일반이용자들에 대한 서비스에 더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서지 네트워크의 발전과정, 도서관과 목록 환경의 변화, 차세대 목록 인터페이스와 OPAC 2.0의 모습을 먼저 살펴보았다. 그리고 대표적인 서지 네트워크 기관으로 최근 주목할 만한 변화를 지속적으로 시도하고 있는 OCLC의 사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웹 이용자 서비스를 중심으로 서지 네트워크의 발전 방향을 세 가지 전략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서지 네트워크의 발전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 뿐만 아니라, 도서관과 목록 서비스의 변화와 개선 전략으로도 참고가 되리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