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ungaged basin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2초

WASMOD를 이용한 미계측 유역의 월 유출량 추정 (Estimation of Monthly Streamflow at Ungaged Basin Using WASMOD)

  • 조두찬;남궁돈;이영철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1152-1156
    • /
    • 2004
  • 수자원분야에서 강우-유출의 해석은 수자원 이용의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특히 기존에 수위 측정 자료가 존재하는 지역에 대한 유출의 분석은 측정 자료를 통한 정밀한 강우-유출의 분석이 가능하나 유량 기록이 전혀 없는 산악지역이나 미개발지역의 f하천에서 댐이나 제방과 같은 수공구조물의 설계 및 수자원 개발을 위해선 강우-유출 관계에 의한 유출량 산정은 상당히 복잡한 과정일 것이다. 미계측 유역에 유출모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모형변수의 초기치 설정과 과거 유출자료를 통하여 최적화한 매개변수를 결정해야 하기 때문에 미계측 유역에 유출모형을 적용하기란 그리 쉽지 많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 에서는 월 유출량 산정을 위한 모형 중 기존의 Xu가 제안한 WASMOD의 매개변수를 관측된 유출량과의 검정에 의해 산정하는 것이 아니라 유출에 영향을 주는 인자 중 유역의 지형학적 인자인 토지이용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미계측 유역의 적용을 위한 방법을 모색하였다.

  • PDF

산지유역에서의 최적용수공급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f Optimal Water Supply Planning in Mountainous Area)

  • 김지학;박기범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5권10호
    • /
    • pp.967-973
    • /
    • 2006
  • In this study used tank model and specific discharge to calculate low-flow of mountain basin and supply data that need in water resources plan. Low-flow is calculated byspecific discharge and area ratio method as resulted that calculate storage of low-flow by tank model was construed that showd all similar aspect. In judged to help in water resources plan establishment calculating low-flow using model to supplement uncertainty of observed data in that calculate of low-flow ungaged mountain area. It shows by economical and realistic plan until 12 years after development that run parallel and use economic performance analysis result valley flow and groundwater. But wide area water services and Chungju dam since 12 years onward was expose that is economic.

선형 Model에 의한 소류역에 있어서의 무차원 단위도 유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rivation of Dimensionless Unit Hydrographs by the Linear model in the small watersheds)

  • 이순혁;한중석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78-87
    • /
    • 1981
  • This study was attempted to get dimensionless unit hydrograph by linear model which can be used to the estimation of flood for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and laid emphasis on the application of dimensionless unit hydrographs for the ungaged watersheds by applying linear model. The results summariz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1.Peak discharge is found to be Qp= CAR (C =0. 895A-o.145) having high significance between peak discharge, Qp and effective rainfall, R within the range of small watershed area, 84 to 470km2. consequently, linearity was acknowledged between rainfall and runoff. Reasonability is confirmed for the derivation of dimensionless unit hydrograph by linear model. 2.Through mathematical analysis, formula for the derivation of dimensionless unit hydrograph was derived. qp--p=(tp--t)n-1[e-(n-1)](tp--t-1) 3.Moment method was used for the evaluation of storage constant, K and shape parameter, n for the derivation of dimensionless unit hydrograph. Storage constant, K is more closely related with the such watershed characteristics as length of main stream and slopes. On the other hand, the shape parameter, n was derived with such watershed characteristics as watershed area, river length, centroid distance of the basin and slopes. 4.Time to peak discharge, Tp could be expressed as Tp=1. 25 (√s/L)0.76 having a high significance. 5.Dimensionless unit hydrographs by linear model stood more closely to the observe dimensionless unit hydrographs On the contrary, dimensionless unit hydrographs by S.C. S. method has much difference in comparison with linear model at the falling limb of hydrographs. 6.Relative errors in the q/qp at the point of 0.8 and 1.2 for the dimensionles ratio by linear model and S. C. S. method showed to be 2.41, 1.57 and 4.0, 3.19 percent respectively to the q/qp of observed dimensionless unit hydrographs. 7.Derivation of dimensionless unit hydrograph by linear model can be accomplished by linking the two empirical formulars for storage constant, K, and shape parameter, n with derivation formular for dimensionless unit hydrograph for the ungaged small watersheds.

  • PDF

미계측 유역의 장기 물수지 분석에 관한 연구 (A Long-Term Water Budget Analysis for an Ungaged River Baisn)

  • 유금환;김태균;윤용남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113-119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월 강우량과 월 증발량 자료만 있는 하천유역에 대하여 장기 물수지 분석을 실시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져 하였다. 단기간의 월 강우량 자료를 경혐공식에 의해 월 유출량 자료로 변환시킨 후 추계학적 모의발생 모형을 사용하여 이들 단기 유출자료로부터 일군의 장기 유출자료계열을 발생시켰고, 자료계열별로 갈수빈도해석에 의해 최대 갈수기간 및 월 강수량계열을 작성하였다. 계획년도별 각종 용수수요를 표준절차에 의해 추정하였으며 순 물소모량도 계산하였다. 유역내의 기존 저수지를 총괄하는 합성저수지를 통해 Deficit-Supply 방법으로 물 수지분석을 실시한 결과 물 부족량은 갈수재현기간이 커짐에 따라 급격하게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하천 유역의 장기 물 수지분석을 통해 신뢰성있는 물 부족량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추계학적 모의발생모형에 의한 장기간 유출량의 발생이 필수적이며 수자원 시스템의 적정 갈수재현기간의 선정이 대단히 중요함을 시사해 주는 것이다.

  • PDF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한 미계측 유역의 갈수지수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imation of lowflow indices in ungauged basin using multiple regression)

  • 임가균;정세진;김병식;채수권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3권12호
    • /
    • pp.1193-1201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미계측 유역에 적용할 수 있는 갈수지수 산정 회귀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30개의 중권역 유역을 대상으로 국가수자원종합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장기유출자료를 이용하여 평균 갈수량과 평균 저수량, 지속기간별 빈도별 갈수지수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유역특성인자 18개와 기상특성인자 3개와의 상관 분석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유역면적(A), 유역 평균 표고(H), 유역 평균 경사(S), 수계밀도(D), 유출곡선지수(CN), 연증발산량(ET), 연강수량(P)을 선정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여 갈수지수 회귀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회귀모형을 평가하기 위하여 10개의 검증유역을 미계측 유역으로 간주하여 평균제곱근오차(RMSE) 와 평균절대오차(MAE)를 이용하여 정확도를 추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평균갈수량산정 회귀모형과의 비교를 통하여 본 논문에서 개발한 모형의 우수성을 검토하였다.

Saint-Venant 공식(公式)에 의한 개수로(開水路)의 지하수성분(地下水性分) 추적(追跡) (Routing of Groundwater Component in Open Channel)

  • 김재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8권4호
    • /
    • pp.23-32
    • /
    • 1988
  • 미계측유성(未計測流城)에서의 시간별 강우(降雨)로부터 부분침투천하(部分浸透川下)의 비피압대수층내(非被壓帶水層內)의 지하수(地下水)흐름에 기여하는 침투량과, 이로 인(因)하여 발생되는 하천수로상(河川水路上)에서의 시간별 기저유량(基底流量)의 동시적(同時的) 결합(結合)이 지형도(地形圖)나 토양도(土壤圖)부터 획득된 수리(水理) 및 수문(水文) 특성인자(特性因子)들에 의하여 수행(遂行)되었다. 지하수(地下水)흐름과 이의 개수로상(開水路上)의 흐름추적은 Boussinesg의 비선형방정식(非線形方程式)을 선형화(線形化)한 기법(技法)과 St. Venant의 간편화 공식을 각각 이용하므로써 결정되어졌다. 이의 해(解)를 위한 유출모형(流出模型)은 전류성(全流城)을 분할한 분포모형(分布模型)을 사용하였으며, 수치해법(數値解法)은 운동파방정식(運動波方程式)의 유한차분법(有限差分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로서, 수문지질(水文地質)의 다변성(多變性)에 따른 수문곡선분리(水文曲線分離)의 합리성(合理性)은 물리적(物理的)으로 바탕을 둔 지하지표수(地下地表水)의 모형을 개발하므로써 이루어져야 한다고 제안(提案)된다. 본 연구의 실하천유역(實河川流域)에 대한 적용 예로서는, 금강수계내(錦江水系內) 지류(支流)인 보청천유역(報靑川流域)을 선정(選定)하였으며, 그 결과로부터 본(本) 기법(技法)은 미계측유역에서의 강우의 지하침투량에 의한 기저유량을 모의발생(模擬發生)시킬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PDF

월(月) 평균유역증발산량(平均流域蒸發散量) 추정(推定)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Monthly Average River Basin Evaporation)

  • 김태철;안병기
    • 농업과학연구
    • /
    • 제8권2호
    • /
    • pp.195-202
    • /
    • 1981
  • 회개, 수자원획(水資源劃) 등(等) 이수(利水)를 목적(目的)으로 하는 장기유출해석(長期流出解析)에 있어 가장 중요(重要)한 인자(因子) 중(中)의 하나인 유역증발산량(流域蒸發散量)을 Water budget방법(方法)에 의(依)하여 산정(算定)하여, Pan, Potential, Regional evaporation과 Temperature와의 관계(關係)를 구명(究明)하여 유출기록(流出記錄)이 없는 무계기(無計器) 지역(地域)의 유역증발산량(流域蒸發散量)과 장기유출량(長期流出最)을 추정(推定)하기 위하여 금강수계(錦江水系) 용담지점(龍潭地點)의 5 개년(個年) 자료(資料)를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Pan evaporation과 River basin evaporation과의 비(比)($E_w/E_{pan}$)가 계절별(季節別) 성향(性向)을 가장 질서(秩序)있게 나타났으며, Pan evaporation으로부터 River basin evaporation을 Fig. 9 또는 Table-7로부터 추정(推定)할 수 있다. 2. Penman의 Potential evaporation을 적용하기 위하여 cloudness effect와 Wind function의 지역상수(地域常數)를 결정한 결과, 용담지역(龍潭地域)의 지역상수(地域常數)는 다음과 같다. $R_A=R_C(0.13+0.52{\frac{n}{D}})$ $E_a=0.35(e_s-e)(1.8+1.0U)$ 3. Regional evaporation [$E_R=(1-a)R_C-E_P$]는 유도과정의 가정에 따른 functional error가 큰 것으로 보여지나, 유역(流域)전반의 물리(物理), 화학(化學), 생물학적(生物學的)인 증발(蒸發)기구를 포괄적(包括的)으로 포용(包容)하고 있는 이와같은 이론적(理論的)인 함수개발(函數開發)이 요망된다. 4. 기상자료(氣象資料)가 미비(未備)한 지역(地域)에서는 기온(氣溫)만으로 Fig-11과 같이 개락적(槪略的)인 월(月) 평균(平均) 증발산(蒸發散)을 구(求)할 수 있다.

  • PDF

설계강우의 시간적 분포모형 적용성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ime Distribution Model for Design Storms)

  • 서진호;이상배
    • 물과 미래
    • /
    • 제28권5호
    • /
    • pp.205-217
    • /
    • 1995
  • 위천대표유역의 11년간의 단독강우사상 3,550개를 선별하여 Yen-Chow의 삼각형 및 사다리꼴, Huff, Pilgrim-Cordery 및 Mononobe의 방법에 의한 지속시간별 설계강우의 시간적분포 특성치를 제시하였다. Yen-Chow 방법의 삼각형분포의 특성치 $a^0$값은 0.44에서 0.50까지 분포하였고, 사다리꼴은 지속시간이 길어질수록 무차원 특성변수 $h^0$의 값이 점차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Huff 4분기법에 의한 분석결과는 2구간 강우가 지배적이고 3구간 강우가 낮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또한 Pilgrim-Cordery방법에서는 6시간까지는 전방위 강우형이고, 6시간이상은 점차 후방위로 변화하였다. Mononobe 방법은 시간별 강우량을 중앙집중형으로 나타내었다. 본 방법들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위천유역의 32개 관측 강우-유출자료를 이용하였고, 분석결과 Yen-Chow 방법의 삼각형분포가 비교적 재현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들 설계강의의 시간적분포모형들은 미계측유역의 유출해석에 중요한 수단을 제공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크리깅 기법을 이용한 낙동강 유역 홍수강우의 공간해석 연구 (Spatial Analysis of Flood Rainfall Based on Kriging Technique in Nakdong River Basin)

  • 윤강훈;서봉철;신현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3호
    • /
    • pp.233-240
    • /
    • 2004
  • 수자원 분야에서 대부분의 수문해석은 강우자료의 수집 및 분석으로부터 시작되며, 지점 강우량으로부터의 면적 평균강우량 추정 및 결측치에 대한 자료보완 기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이러한 강우분석 기법으로 기존에 사용되어온 티센법 및 RDS법은 전통적인 자료보완 기법으로 매개변수의 특성이 관측소간 거리에만 의존하며, 공간적인 연속성을 가질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통 기법들의 단점을 보완하고 강우의 공간적인 통계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크리깅 기법을 낙동강 유역의 강우해석에 적용하였다. 공간상관 및 반분산 분석으로 낙동강 유역 강우의 지역적인 통계특성을 파악하였으며, 낙동강 유역 격자시스템에 대한 크리깅 분석을 통하여 공간격자 강우량 및 소유역별 평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또한, 크리깅 기법의 공간추정 오차 분석으로 시강우량에 대한 격자별 내삽오차 및 소유역별 평균오차를 제시하여 낙동강 유역의 강우관측 취약지역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하천 홍수량의 크기 및 빈도 결정 (A Determination of Magnitude and Frequency of River Floods)

  • 노재식;이길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41-150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한강유역의 6개 관측점 (T/M국)에 대하여 단기간 기록년수의 홍수량 자료를 통계학적 방법에 기초된 홍수빈도해석모형인 POT모형에 적용하여 빈도해석을 실시함으로써 모형의 적용 타당성을 검토함과 아울러 하천유역의 지점별 홍수량의 빈도 및 크기를 추정하였고, 미계측 유역에서 수공구조물의 계획설계에 기준이 될 수 있는 설계 홍수량을 산정할 수 있는 지역빈도해석에 의한 통계학적 지역화 모형의 개발가능성을 검토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