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derestimation

검색결과 347건 처리시간 0.028초

동재하시험을 이용한 모래지반의 말뚝지지력 산정 (Evaluation of Bearing Capacity of Piles in Sand Using Pile Driving Analyzer)

  • 이우진;석종수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3권5호
    • /
    • pp.145-154
    • /
    • 1997
  • 말뚝재하시험방법 중 정적재하시험은 시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측면에서 불리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한 여러 가지의 시험방법이 개발되어 소개되고 있다. 국내에 소개된 시험방법으로는 동재하시험으로 불리는 항타분석기 (PDA : Pile Driving Analyzer)를 이용한 방법을 비롯하여 STATNAMIC. Osterberg cell등이 있다. 이들 중 동재하시험의 사용은 상당히 활성화되어 있는 실정이나 지반조건과 말뚝시공방법에 따라서는 지지력산정시 추가적인 해석모델을 사용하여야 보다 정확한 지지력을 평가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장에서 수행한 정적 및 동적 재하시험결과의 비교1분석으로 부터 주로 SIP말뚝에 대한 동재하시험시 발생할수 있는 기하감쇠(geometrical damping)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해석결과로 부터 기하감쇠가 발생한 지반의 경우 CAPWAP에 의해 산정된 지지력이 정재하시험에 의한 지지력에 비해 30~60% 정도 과소평가 되었으며 이때 말뚝주면에 대한 Smith의 감쇠계수 (SSkn)가 1.0 sec/m를 초과 하였다. CAPWAP해석시 기하감쇠를 고려한 해석모델을 사용함으로써 정재하 시험결과와 근사한 지지력을 얻을 수 있었으며 SSkn값도 0.7sec/m이하의 일반적인 범위로 해석되었다.

  • PDF

US-guided 14G Core Needle Biopsy: Comparison Between Underestimated and Correctly Diagnosed Breast Cancers

  • Kim, Hana;Youk, Ji Hyun;Kim, Jeong-Ah;Gweon, Hye Mi;Jung, Woo-Hee;Son, Eun Ju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7호
    • /
    • pp.3179-3183
    • /
    • 2014
  • Background: The purpose of study was to evaluate radiologic or clinical features of breast cancer undergoing ultrasound (US)-guided 14G core needle biopsy (CNB) and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underestimated and accurately diagnosed groups. Materials and Methods: Of 1,898 cases of US-guided 14G CNB in our institute, 233 cases were proven to be cancer by surgical pathology. The pathologic results from CNB were invasive ductal carcinoma (IDC) (n=157), ductal carcinoma in situ (DCIS) (n=40), high-risk lesions in 22 cases, and benign in 14 cases. Among high-risk lesions, 7 cases of atypical ductal hyperplasia (ADH) were reported as cancer and 11 cases of DCIS were proven IDC in surgical pathology. Some 29 DCIS cases and 157 cases of IDC were correctly diagnosed with CNB. The clinical and imaging features between underestimated and accurately diagnosed breast cancers were compared. Results: Of 233 cancer cases, underestimation occurred in 18 lesions (7.7%). Among underestimated cancers, CNB proven ADH (n=2) and DCIS (n=11) were diagnosed as IDC and CNB proven ADH (n=5) were diagnosed at DCIS finally. Among the 186 accurately diagnosed group, the CNB results were IDC (n=157) and DCIS (n=29). Comparison of underestimated and accurately diagnosed groups for BI-RADS category, margin of mass on mammography and US and orientation of lesion on U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s: Underestimation of US-guided 14G CNB occurred in 7.7% of breast cancers. Between underestimated and correctly diagnosed groups, BI-RADS category, margin of the mass on mammography and margin and orientation of the lesions on US were different.

WRF 모형의 적운 모수화 방안이 CORDEX 동아시아 2단계 지역의 기후 모의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Cumulus Parameterization Schemes on the Regional Climate Simulation for the Domain of CORDEX-East Asia Phase 2 Using WRF Model)

  • 최연우;안중배
    • 대기
    • /
    • 제27권1호
    • /
    • pp.105-118
    • /
    • 2017
  • This study assesses the performance of the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ing (WRF) model in reproducing regional climate over CORDEX-East Asia Phase 2 domain with different cumulus parameterization schemes [Kain-Fritch (KF), Betts-Miller-Janjic (BM), and Grell-Devenyi-Ensemble (GD)]. The model is integrated for 27 months from January 1979 to March 1981 and the initial and boundary conditions are derived from European Centre for Medium-Range Weather Forecast Interim Reanalysis (ERA-Interim). The WRF model reasonably reproduces the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characteristics over East Asia, but the regional scale responses are very sensitive to cumulus parameterization schemes. In terms of mean bias, WRF model with BM scheme shows the best performance in terms of summer/winter mean precipitation as well as summer mean temperature throughout the North East Asia. In contrast, the seasonal mean precipitation is generally overestimated (underestimated) by KF (GD) scheme. In addition,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s well simulated by WRF model, but with an overestimation in summer precipitation derived from KF experiment and with an underestimation in wet season precipitation from BM and GD schemes. Also,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daily precipitation derived from KF and BM experiments (GD experiment) is well reproduced, except for the overestimation (underestimation) in the intensity range above (less) then $2.5mm\;d^{-1}$. In the case of the amount of daily precipitation, all experiments tend to underestimate (overestimate) the amount of daily precipitation in the low-intensity range < $4mm\;d^{-1}$ (high-intensity range > $12mm\;d^{-1}$). This type of error is largest in the KF experiment.

극한수문사상의 모의를 위한 포아송 클러스터 강우생성모형의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the Applicability of the Poisson Cluster Rainfall Generation Model for Modeling Extreme Hydrological Events)

  • 김동균;권현한;황석환;김태웅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773-784
    • /
    • 2014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극한강우와 극한홍수를 모의하기 위한 MBLRP 포아송 클러스터 강우생성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국내 61개의 기상청 지상기상관측시스템의 강우량 관측지점에 대하여 고립입자 군집화 최적화(ISPSO) 기법을 적용하여 모형의 매개변수를 추정하고, 추정된 매개변수를 바탕으로 각 강우관측지점에서 100년치의 가상 강우시계열을 생성하였다. 생성된 강우시계열을 이용하여 확률강우량 및 확률홍수량을 산정하고 이 값들을 관측치에 근거하여 산정된 값들과 비교하였다. 비교 결과, 모형에 의한 확률강우량은 관측치보다 평균적으로 20~42% 작았으며, 강우의 재현기간이 증가할수록 과소산정되는 정도가 증가하였다. 확률홍수량의 경우, 모형에 의한 값이 관측치에 근거한 값보다 31%에서 50% 작았으며, 이 과소산정량은 홍수의 재현기간의 증가 및 유역의 불투수도의 증가와 함께 증가하였다.

Accuracy of combination rules and individual effect correlation: MDOF vs SDOF systems

  • Reyes-Salazar, Alfredo;Valenzuela-Beltran, Federico;de, Leon-Escobedo, David;Bojorquez, Eden;Lopez-Barraza, Arturo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12권4호
    • /
    • pp.353-379
    • /
    • 2012
  • The accuracy of the 30% and SRSS rules, commonly used to estimate the combined response of structures, and some related issues, are studied. For complex systems and earthquake loading, the principal components give the maximum seismic response. Both rules underestimate the axial load by about 10% and the COV of the underestimation is about 20%. Both rules overestimate the base shear by about 10%. The uncertainty in the estimation is much larger for axial load than for base shear, and, for axial load, it is much larger for inelastic than for elastic behavior. The effect of individual components may be highly correlated, not only for normal components, but also for totally uncorrelated components. The rules are not always inaccurate for large values of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individual effects, and small values of such coefficients are not always related to an accurate estimation of the response. Only for perfectly uncorrelated harmonic excitations and elastic analysis of SDOF systems, the individual effects of the components are uncorrelated and the rules accurately estimate the combined response. In the general case, the level of underestimation or overestimation depends on the degree of correlation of the components, the type of structural system, the response parameter, the location of the structural member and the level of structural deformation. The codes should be more specific regarding the application of these rules. If the percentage rule is used for MDOF systems and earthquake loading, at least a value of 45% should be used for the combination factor.

Optimization of One-step Extraction/Methylation Method for Analysis of Fatty Acid Composition in Brown Rice

  • Cho, Kyoung-Shim;Kim, Hyun-Ju;Moon, Sang-Mi;Kang, Jung-Hoon;Lee, Young-Sa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89-94
    • /
    • 2006
  • Traditionally fatty acid composition used to be analysed by a GC and the sample preparation process includes lipid extraction from sample and subsequent methyl esters preparation, which are time-consuming and cumbersome. As an alternative, simultaneous extraction/methylation methods are being developed for rapid and simplified sample preparation. To optimize one-step extraction/methylation method for analysis of fatty acid composition in brown rice, various reaction factors such as sample to reaction solution ratio, reaction time and temperature, shaking intensity were changed and resultant fatty acid composition data were evaluated in comparison with previous reports. The ratio of sample weight to reaction solution volume was the most critical factor in that higher sample to reaction solution ratio caused overestimation of palmitic acid and linoleic acid composition, resulting in underestimation of oleic acid. Lower reaction temperature also induced overestimation of linoleic acid and underestimation of oleic acid. Reaction duration and the intensity of shaking prior to and during the reaction, however, caused no significant changes in analysis results. In conclusion, the optimum condition was mixing 5 grains (about 0.2 g) of brown rice with $680{\mu}L$ of extraction/methylation mixture and $400{\mu}L$ of heptane, followed by reaction at $80^{\circ}C$ for 2 hours.

저수지 유입량 예측을 위한 신경망 모형의 특성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Neural Network Model for Reservoir Inflow Forecasting)

  • 김재형;윤용남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2권4호
    • /
    • pp.123-12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3층 신경망 모형에 의해 충주호의 유입량을 예측한 결과들을 이용하여 신경망 모형의 저수지 유입량 예측 특성을 분석하였다. 신경망 모형의 적절한 입력층 및 은닉층 뉴런 개수, 학습회수를 제시하였으며, 학습 첨두유량 크기가 예측된 첨두유량보다 작을 경우 예측 값이 과소평가되는 특징을 확인하였다. 또한 뉴런 개수, 학습회수가 과다할 경우 발생 가능한 과적합 현상을 확인하였으며, 정확한 예측을 위해 필요한 최소 학습자료 기간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충주호의 경우 $8{\sim}10$개의 뉴런 개수 및 $1500{\sim}3000$회의 학습회수를 이용한 신경망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학습자료 기간 수는 최소한 600개 이상의 자료를 적용하여야 정확한 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결과되었다.

포아송 클러스터 강우생성 모형의 홍수 모의 적용성 평가 (The Application of the Poisson Cluster Rainfall Generation Model to the Flood Analysis)

  • 김동균;신지예;이승오;김태웅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6권5호
    • /
    • pp.439-447
    • /
    • 201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역에 대하여 제작된 Modified Bartlett-Lewis Rectangular Pulse (MBLRP) 강우생성 모형의 모수 지도의 적용성을 홍수 재현의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MBLRP 모형을 통해 생성된 가상 강우시계열을 사용하여 산정된 확률강우량은 관측치를 사용하여 산정된 확률강우량 보다 약5%에서 40%정도 작았고, 확률강우량의 재현기간이 클수록 과소산정의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가상의 도시 유역에 MBLRP 모형을 적용하여 산정한 확률홍수량은 관측치를 사용하여 산정한 확률홍수량 보다 약20%에서 45%정도 작게 나타났고, 확률홍수량의 재현기간이 클수록, 그리고 유역의 불투수성이 작을수록 과소산정의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청소년의 신체이미지 왜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제16차(2020년) 청소년건강행태조사를 이용 (Factors Affecting Body Image Distortion in Adolescents: Using Data from the 16th (2020) Korea Youth Risk Behavior Survey)

  • 윤현정;박성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139-148
    • /
    • 2022
  • 우리는 제 16차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 외모스트레스, 불안이 청소년의 신체 이미지 왜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우리는 대상자의 38.2%에서 신체이미지 왜곡을 확인하였고 19.9%에서 신체 이미지에 대한 과소평가(underestimate), 18.3%에서 과대평가(overestimate)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과소평가(underestimate)와 과대평가(overestimate) 집단 모두에서 외모스트레스, 불안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리는 성별, 경제적 수준, 학업수준등의 인구학적 특성이 과소평가와 과대평가 집단에서 각각 다른 양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우리는 청소년의 체중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을 과대평가와 과소평가의 경우로 세분화하여 포괄적인 평가를 하는 것이 추후 정신건강과 체중 조절 행동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제언한다.

[15O-H2O] 심근 양전자 단층 촬영에서 혈류 분포의 비균일성과 분배계수 (The Heterogeneity of Flow Distribution and Partition Coefficient in [15O-H2O] Myocardium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 안지영;이동수;김경민;정재민;정준기;신승애;이명철;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2-49
    • /
    • 1998
  • O-15 표지 물 동적 PET을 이용하여 비균일 심근조직의 혈류를 정확히 추정하기 위하여 일차구획 모델을 변형한 두 개의 혈류 모델을 고안하였다. 첫 모델에서는 혈류, PTI, 조직회수 분획($F_{MM}$)을 추정하였고, 두 번째 모델에서는 혈류, PTI, 그리고 분배계수를 추정하였다. 비균일 심근조직의 비균일성을 나타낼 지표를 도입하여 여러 종류의 비균일 조직을 모사하고 이 지표로 비균일성을 표현하였다. 우리 모델을 적용하여 PTI가 혈류분포의 비균일성과 상관이 적음을 확인하고 분배계수를 변수로 취급한 두 번째 모델에서 추정한 분배계수가 비균일성을 나타냄을 알았다. 분배계수는 비균일성에 따라 굽은 선형(curvilinear)으로 감소하였다. 분배계수와 함께 추정된 혈류도 비균일성이 커지면 참값보다 작게 추정되었다. 추정된 분배계수로 혈류 추정값의 과소평가플 보정하여 추정값의 바이어스를 바로잡을 수 있었다. O-15 표지 물 동적 PET으로 심근혈류를 측정할 때 분배계수를 변수로서 혈류와 함께 추정하여 비균일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쓰고 동시에 혈류 추정값을 참값에 가까운 값을 얻는데 쓸 수 있다고 본다. 혈류분포의 비균일성 정도를 수치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지표를 임상에 적용하면 허혈성 심근 질환의 혈류 비균일성을 해석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