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ltraviolet (UV) blocking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19초

한반도 EUV-B 복사의 특성분석 및 적정 비타민D 합성을 위한 노출시간 산출 (The Radiative Characteristics of EUV-B over the Korean Peninsula and Exposure Time for Synthesizing Adequate Vitamin D)

  • 곽민경;김재환
    • 대기
    • /
    • 제21권1호
    • /
    • pp.123-130
    • /
    • 2011
  • In this study, we have analyzed the radiative characteristics of erythemal ultraviolet-B (EUV-B from 1999 to 2005) over the Korean Peninsula. EUV-B measured at Gangneung, Anmyondo, Mokpo, and Gosan represents the measurements from clean areas and that at Seoul represents from a polluted area. The magnitudes of EUV-B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latitudinal decrease. Monthly mean variation of EUV-B at noon shows the maximum value of $158.5mWm^{-2}$ in August and the minimum value of $36.4mWm^{-2}$ in December in the clean areas. Seasonal mean diurnal variation of EUV-B shows a peak around noon (12:00 ~ 13:00 hr) and its intensity varies along with a season in order of summer > spring > fall > winter. The maximum value of $56.4mWm^{-2}$ in summer is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in winter ($14.3mWm^{-2}$). The value of EUV-B in the polluted area is lower than that in the clean areas, resulting from the effects of the blocking, reflection, and scattering of EUV-B due to high concentrations of PM10. UV-B is an essential element to synthesize vitamin D in human body. 200 IU(International Unite) of vitamin D can be formed by an exposure of 6-10% of body surface area to 0.5 MED(Minimal Erythemal Dose). In order to form vitamin D, the calculated exposure times to EUV-B are 15 min. in spring, 12 min. in summer, 18 min. in fall, and 37 min. in winter for the clean areas and 16, 16, 24, and 37 min. for the polluted area.

나노 TiO2를 적용한 식품 포장 필름 개발 및 콩나물의 이취 제거 (Development of the Functional Films Coated with Nano-TiO2 Particles for Food Packaging and Removal of Off-flavor from Soybean Sprouts)

  • 최연욱;전규배;송기현;김재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733-737
    • /
    • 2015
  • 나노 $TiO_2$ 코팅 필름은 식품 포장재에서 많이 사용하는 PU와 PVB-cellulose 두 가지 바인더에 나노 콜로이달 $TiO_2$를 각각 3%와 5%의 농도로 혼합제조하여 OPP 필름에 코팅하였다. PVB 바인더로 코팅한 필름이 PU 바인더(3%와 5%)보다 불균일하게 필름에 코팅이 되었다. 그러나 청변현상 방지 실험과 광분해 실험에서는 필름 코팅 상태와 상관없이 선도 유지 효과가 나타났다. MB를 사용한 광분해성 효과 측정 실험에서 나노 $TiO_2$의 광촉매 반응으로 인해 초기 30분부터 MB가 분해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콩나물 포장재 내에서 혐기성 호흡으로 발생하는 이취인 acetaldehyde는 나노 $TiO_2$ 코팅 필름이 대조구에 비해 농도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개발된 나노 $TiO_2$ 코팅 필름으로 콩나물의 청변 현상과 이취 제거로 인해 콩나물의 보관 수명을 연장할 수 있었다.

Non-nano 막대형 산화아연의 특성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품에의 응용 (Characteristics of Non-nano Needle Type Zinc Oxide and Its Application in Sunscreen Cosmetics)

  • 정겨운;현송화;윤여민;김상욱;최부건;이성호;박수남;이종성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7
    • /
    • 2021
  • 전 세계적으로 자외선 차단제의 유효성 및 안전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무기 자외선 차단제 개발에 대한 연구도 활기를 띄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이슈화된 나노물질규제에 대응 가능한 나노 사이즈가 아닌 non-nano 막대형 산화아연을 합성하였고, 이를 세틸알코올로 표면처리한 막대형 산화아연분체를 개발하여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자외선 차단제로서의 응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non-nano인 막대형 산화아연 분체를 적용한 선크림의 자외선 차단 효능과 백탁 정도는 40 nm 크기의 산화아연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막대형 산화아연 분산액을 사용한 선크림은 자외선 차단효능이 현저히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막대형 산화아연 분체는 non-nano (200 nm)임에도 불구하고 투명성(백탁 개선), 자외선 차단 효능 그리고 사용감 측면에서 우수한 자외선 차단제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Photo-Ames Assay를 이용한 광발암성 예측 (Prediction of Photo-Carcinogenicity from Photo-Ames Assay)

  • Hong Mi Young;Kim Ji Young;Chung Moon Koo;Lee Michael
    • 한국환경성돌연변이발암원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12
    • /
    • 2005
  • Many compounds might become activated after absorption of UV light energy. In some cases, the resulting molecule may undergo further biological reaction of toxicological relevance related especially to the photo-carcinogenicity resulting from photo-genotoxicity. However, no regulatory requirements have been issued with the exception of guideline issued by the Scientific Committee of Cosmetology, 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SCC/EEC) on the testing of sunscreens for their photo-genotoxicity. Thu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utility of photo-Ames assay for detecting photo-mutagens, and to evaluate its ability to predict rodent photo-carcinogenicity. Photo-Ames assay was performed on five test substances that demonstrated positive results in photo-carcinogenicity tests: 8-methoxypsoralen (photoactive substance that forms DNA adducts in the presence of ultraviolet A irradiation), chlorpromazine (an aliphatic phenothiazine an a-adr-energic blocking agent), lomefloxacin (an antibiotic in a class of drugs called fluoroquinolones), anthracene (a tricyclic aromatic hydrocarbon a basic substance for production of anthraquinone, dyes, pigments, insecticides, wood preservatives and coating materials) and retinoic acid (a retinoid compound closely related to vitamin A). Out of 5 test substances, 3 showed a positive outcome in photo-Ames assay. With this limited data set, an investigation into the predictive value of this photo-Ames test for determining the photo-carcinogenicity showed that photo-Ames assay has relatively low sensitivity (the ability of a test to predict carcinogenicity). Thus, to determine the use of in vitro genotoxicity tests for prediction of carcinogenicity,' several standard photo-genotoxicity assays should be compared for their suitability in detecting photo-genotoxic compounds.

  • PDF

Agastache rugosa Kuntze Attenuates UVB-Induced Photoaging in Hairless Mice through the Regulation of MAPK/AP-1 and TGF-β/Smad Pathways

  • Yun, Mann-Seok;Kim, Changhee;Hwang, Jae-Kw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9호
    • /
    • pp.1349-1360
    • /
    • 2019
  • Chronic exposure to ultraviolet (UV) radiation, regarded as a major cause of extrinsic aging or photoaging characterized by wrinkle formation and skin dehydration, exerts adverse effects on skin by causing the over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gastache rugosa Kuntze, known as Korean mint, possesses a wide spectrum of biological properties including anti-oxidation, anti-inflammation, and anti-atherosclerosis.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A. rugosa protected human keratinocytes against UVB irradiation by restoring the anti-oxidant defense system. However, the anti-photoaging effect of A. rugosa extract (ARE) in animal models has not yet been evaluated. ARE was orally administered to hairless mice at doses of 100 or 250 mg/kg/day along with UVB exposure for 12 weeks. ARE histologically improved UVB-induced wrinkle formation, epidermal thickening, erythema, and hyperpigmentation. In addition, ARE recovered skin moisture by improving skin hydration and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Along with this, ARE increased hyaluronic acid levels by upregulating HA synthase genes. ARE markedly increased the density of collagen and the amounts of hydroxypoline via two pathways. First, ARE significantly downregulated the mRNA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s responsible for collagen degradation by inactivating the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activator protein 1 pathway. Second, ARE stimulated the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Smad signaling, consequently raising the mRNA levels of collagen-related genes. In addition, ARE not only increased the mRNA expression of anti-oxidant enzymes but also decreased inflammatory cytokines by blocking the protein expression of nuclear factor kappa B. Collectively, our findings suggest that A. rugosa may be a potential preventive and therapeutic agent for photoaging.

천연물을 이용한 자외선차단제의 자외선차단지수(SPF) 평가 (Sun Protection Factor (SPF) Assessment of the Sunscreen Composed of Natural Substances)

  • 오인영;김소영;석장미;정상욱;박진오;유광호;이갑석;김범준;김명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41-148
    • /
    • 2013
  • 자외선 노출 증가로 인한 자외선의 유해성을 방지하기 위해 자외선차단제의 사용이 보편화되었다. 이러한 추세에 맞게 화장품 업계에서는 서로 다른 성분을 혼합하거나 천연물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황금에서 추출한 천연성분인 황금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품의 자외선 차단효과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총 10명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각 제품의 최소홍반량을 측정하였고 자외선차단지수를 구하였다. 그 결과 황금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차단제품과 함유하지 않는 자외선차단제품의 자외선차단지수는 각각 $34.52{\pm}2.13$, $32.67{\pm}1.44$였다. 두 제품 간의 자외선차단지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인체를 대상으로 천연물 자외선차단제의 임상적 효과를 평가하였고 제품도포로 인한 이상반응이 없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시도였다고 생각된다.

밴드갭이 제어된 TiO2 를 이용한 자외선 차단제의 블루라이트 차단 및 SPF 부스팅 효과 (The Effect of Blue Light Interception and SPF Boosting of Sunscreen Prepared with Bandgap-controlled TiO2)

  • 왕성은;윤정경;정귀수;계성봉;노호식;정대수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59-167
    • /
    • 2023
  • 이산화티타늄(TiO2)은 일반적으로 선크림 제제에 사용되어 빛의 물리적 산란 작용에 의해 피부 표면을 보호하고 유해한 자외선(UV)의 침투를 방지한다. 그러나 불활성 미네랄 성분으로 인해 피부에 사용시 백탁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백탁현상을 없애기 위해 TiO2 입자를 나노화 하면 가시광선 투과율을 증가시켜 백탁 현상을 감소시키지만 알레르기 염증과 같은 심각한 피부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산소 결핍 구조 및 질소량 제어를 이용하여 TiO2의 밴드갭을 제어하고, 결과적으로 피부 맞춤형 유색 TiO2를 개발하였다. 이는 백탁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활성산소를 유발하여 피부 노화를 촉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블루라이트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밴드갭 제어 TiO2 화합물은 저자극이고 스펙트럼이 넓으며 환경친화적이다. 또한 이는 자외선 차단제의 sun protection factor (SPF)를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블루라이트 차단 제품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