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ltrasound

검색결과 3,023건 처리시간 0.025초

하향식 포그 스크린 설계 방법 (Design method of Top-down fog screen)

  • 박연용;정문열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5권3호
    • /
    • pp.31-41
    • /
    • 2019
  • 포그 스크린은 미세한 물방울들로 구성된 스크린으로 관찰자는 포그 스크린을 투과한 영상을 관찰하게 된다. 일반 스크린과는 달리 관찰자는 무대 위에서 연기자가 포그 스크린에 표시된 이미지를 뚫고 들어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부에서 생성된 포그 입자 집단이 중력에 의하여 아래로 떨어질 때 평평한 수직 스크린을 이루도록 하는 하향식 포그 스크린 생성 장치 구현 방법을 기술한다. 본 기법은 수조안에 배치된 초음파 진동자에 의해 수조 표면에서 포그 입자가 발생되는 원리를 이용한다. 생성된 포그 집단이 하나의 평면을 유지할 수 있도록 포그가 나오는 통로 출구 양옆에 가이드 바람을 형성하는 기법과 포그 스크린 생성 장치의 설계와 제작 방법을 기술한다.

New insights into pathways of the dorsal scapular nerve and artery for selective dorsal scapular nerve blockade

  • Cho, Hyunho;Kang, Seungwoo;Won, Hyung-Sun;Yang, Miyoung;Kim, Yeon-Dong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32권4호
    • /
    • pp.307-312
    • /
    • 2019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topographical relationships between the dorsal scapular nerve (DSN) and the dorsal scapular artery (DSA) in the interscapular region to identify safe and convenient injection points related to DSN blockade. Methods: Thirty shoulders of embalmed Korean cadavers and 50 live subjects were used for dissection and ultrasound (US) analysis. Results: The running patterns of the DSA and DSN in the interscapular region were classified into 3 types. Type I was defined as nerves that were medial to the artery and parallel without changing location (80.0% of specimens). In type II (13.3%), the nerve and artery traversed one another only one time over their entire length. In type III (6.7%), the nerve and artery traversed one another, resembling a twist. Above the level of the scapular spine, the nerve was always medial to the artery. Below the scapular spine, the number of arteries was obviously decreased. Most of the arteries were lateral to the medial border of the scapula, except at the level of the superior angle of the scapula artery (SA). The positional tendency of the DSN toward the medial or lateral sides from the medial border of the scapula was similar. In US imaging of live subjects, the DSA was most observed at the level of the SA (94.0%). Conclusions: Results of this study enhance the current knowledge regarding the pathway of the DSN and DSA and provide helpful information for selective diagnostic nerve blocks in the interscapular region.

Comparison of or Changes in the Thicknesses and Ratios of the Deep and Superficial Multifidus Muscles According to the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Methods

  • Choi, Mansoo;Lee, Sanyeol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1-131
    • /
    • 2019
  • Purpose : Lower back pain is a common disorder experienced by approximately 90-% of the population at least once in a lifetime. This study examines changes in the thicknesses and ratios of the deep and superficial fibers of the multifidus according to the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used for spinal stabilization. Methods : Ten different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s were implemented by 20 healthy men in random order, and the thickness of multifidus muscle was measured ultrasound image during each exercise. Results : The surface muscle fibers of the multifidus muscle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ercise method in which the arms and legs were lifted (p<.05), while the deep muscle fibers of the multifidus muscle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exercise in which the arms and legs were not lifted (p<.05). The ratio of the thickness of surface muscle fibers to the total thickness of muscle fibers was higher in the exercise method in which the arms and legs were lifted (p<.05), while the ratio of the thickness of deep muscle fibers to the total thickness of muscle fibers was higher in the hollowing and bracing exercise method in which the arms and legs were not lifted (p<.05). Conclusion : When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should be performed at clinics to strengthen the deep muscle fibers of the multifidus muscles that have larger effects on the stability of spinal segments, taking the stability of the spine into consideration indicates that, hollowing and bracing exercise methods that do not that cause isotonic extension to the spine are appropriate.

Nattokinase Crude Extract Inhibits Hepatocellular Carcinoma Growth in Mice

  • Yan, Yongmin;Wang, Yanjing;Qian, Jiali;Wu, Sihui;Ji, Yi;Liu, Yanxiao;Zeng, Jian;Gong, Aihu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8호
    • /
    • pp.1281-1287
    • /
    • 2019
  • Nattokinase (NK, E.C. 3.4.21.62) is a serine protease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natto that shows promise for the treatment of thrombotic disease.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effects of NK on the developmen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a principal malignancy of the liver that causes morbidity and mortality worldwide. Crude extracts of NK (NCE) were isolated from fermentation medium by centrifugation and separated into three fractions (<10 K, 100~30 K and >30K). Orthotopic HCC mouse models were established and NCE was administered by oral gavage. H&E staining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pathology of HCC livers. Immunohistochemistry and immunofluorescence were used to evaluate FOXM1, CD31, CD44 and vimentin expression in the liver. Compared to PBS groups, NCE increased the survival rates of HCC-bearing mice to 31% and decreased ascites. Low-intensity ultrasound imaging showed that the hypoechoic mass area was lower in NCE-treated mice and that tumor growth significantly decreased. IHC staining showed that the expression of FOXM1 was inhibited by NCE treatment. Immunofluorescence results revealed lower levels of CD31, CD44 and vimentin in the NCE groups. Taken together, these data demonstrate that NCE from Bacillus subtilis natto improves survival and inhibits tumor growth in HCC mice.

복부 초음파 검사로 진단된 지방간과 고지혈증 지표와의 관련성 연구 (The Study for the Relation between Fatty Liver Diagnosed by Abdominal Ultrasonography and Hyperlipidemia)

  • 이가희;석종민;전우진;고은주;이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531-537
    • /
    • 2019
  • 본 연구는 복부 초음파 검사를 통해 확인된 지방간 환자의 지방간 정도에 따른 혈액학적 고지혈증 지표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관련 연구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2017년 1월 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총 412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복부초음파 검사를 진행하여 지방간이 확인된 환자 중 초음파 검사 시행일 기준 3개월 이내의 혈액학적 데이터가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지방간 정도에 따른 혈액학적 수치는 중성지방, AST, ALT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지방간은 전체 변수 중 성별, 중성지방, AST, ALT와 관련성이 있었다(p<.05). 결론적으로 지방간 정도는 고지혈증의 혈액학적 수치와 직접적인 영향인자는 아니었지만 그 관련성 확인을 통해 지방간과 고지혈증 동반 관리의 필요성을 확인했다.

상완동맥 색조 도플러 초음파 영상에서 FCM과 퍼지 의사 결정 트리를 이용한 혈류 속도 추출 (Extraction of Blood Velocity Using FCM and Fuzzy Decision Trees in Doppler Ultrasound Images of Brachial Artery)

  • 김광백;정영진;남윤만;이재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6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2호
    • /
    • pp.19-22
    • /
    • 2019
  • 상완동맥은 어깨에서부터 팔꿈치까지 내려오는 상완골의 내측부에 존재하며 혈압을 측정할 때 사용되는 혈관이다. 이 혈관은 골절로 인해 찢어지거나, 또는 혈액순환에 문제가 생겨 혈관이 막히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혈관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색조 도플러 초음파 검사를 사용하지만, 사용자에 따라 영상을 통한 판단 기준이 다르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FCM과 Fuzzy Decision Tree를 이용한 영상 처리를 통해 일관성 있는 판단기준을 세우기 위한 혈류의 속도를 제안한다. 색조 도플러 초음파 영상에서의 상완 동맥을 추출하여 기울기를 이용한 FCM 알고리즘을 통해 소속도를 추출한 뒤 퍼지 룰에 적용하여 의사 결정 트리로 등급을 분류하고 결과적으로 혈류 속도를 추출한다. 색조 도플러 초음파 영상에서 환자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개인 정보 영역을 제거하여 ROI 영역을 추출하고 ROI 영역을 이진화를 통하여 상완동맥이 있는 영역을 추출한다. 이진화 된 ROI 영역에서 혈관 영상의 혈류 방향으로의 무게중심을 설정하고 각각의 픽셀과 무게중심 선과의 거리를 이용하여 소속도를 추출한 후 FCM을 사용하여 최적의 기울기를 선정한다. FCM을 통해 추출한 최종 소속도를 이용하여 퍼지 룰에 적용한 뒤 계산된 T-norm과 소속도의 분산을 이용하여 의사 결정 트리를 형성 트리의 단말 노드들은 각 픽셀을 분류한다. 분류되어진 데이터들의 노드별 소속도 평균을 구한 뒤 디퍼지화를 통해 COG(Center of Gravity)를 계산한다. 마지막으로 그 값을 이용하여 혈류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계산한 뒤 최종 혈류의 속도를 제안한다.

  • PDF

ACOX1 destabilizes p73 to suppress intrinsic apoptosis pathway and regulates sensitivity to doxorubicin in lymphoma cells

  • Zheng, Fei-Meng;Chen, Wang-Bing;Qin, Tao;Lv, Li-Na;Feng, Bi;Lu, Yan-Ling;Li, Zuo-Quan;Wang, Xiao-Chao;Tao, Li-Ju;Li, Hong-Wen;Li, Shu-You
    • BMB Reports
    • /
    • 제52권9호
    • /
    • pp.566-571
    • /
    • 2019
  • Lymphoma is one of the most curable types of cancer. However, drug resistance is the main challenge faced in lymphoma treatment. Peroxisomal acyl-CoA oxidase 1 (ACOX1) is the rate-limiting enzyme in fatty acid ${\beta}$-oxidation. Deregulation of ACOX1 has been linked to peroxisomal disorders and carcinogenesis in the liver. Currently,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the function of ACOX1 in lymphoma. In this study, we found that upregulation of ACOX1 promoted proliferation in lymphoma cells, while downregulation of ACOX1 inhibited proliferation and induced apoptosis. Additionally, overexpression of ACOX1 increased resistance to doxorubicin, while suppression of ACOX1 expression markedly potentiated doxorubicin-induced apoptosis. Interestingly, downregulation of ACOX1 promoted mitochondrial location of Bad, reduced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and provoked apoptosis by activating caspase-9 and caspase-3 related apoptotic pathway. Overexpression of ACOX1 alleviated doxorubicin-induced activation of caspase-9 and caspase-3 and decrease of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Importantly, downregulation of ACOX1 increased p73, but not p53, expression. p73 expression was critical for apoptosis induction induced by ACOX1 downregulation. Also, overexpression of ACOX1 significantly reduced stability of p73 protein thereby reducing p73 expression. Thus, our study indicated that suppression of ACOX1 could be a novel and effective approach for treatment of lymphoma.

The analgesic efficacy of the continuous adductor canal block compared to continuous intravenous fentanyl infusion with a single-shot adductor canal block in total knee arthroplast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Kim, Min Kyoung;Moon, Hyoung Yong;Ryu, Choon Gun;Kang, Hyun;Lee, Han Jun;Shin, Hwa Yong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32권1호
    • /
    • pp.30-38
    • /
    • 2019
  • Background: The adductor canal block (ACB)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postoperative analgesia following total knee arthroplasty (TKA). However, the ideal ACB regimen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We compared the analgesic effects between a continuous ACB group and fentanyl-based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algesia (IV-PCA) with a single-shot ACB group. Methods: Patients who underwent TKA were randomly allocated to either a continuous ACB group (Group CACB) or IV-PCA with a single-shot ACB group (Group IVACB). Before the surgery, ultrasound guided ACB with 0.5% ropivacaine 20 cc was provided to all patients. Before skin incision, the infusion system (0.2% ropivacaine through an adductor canal catheter in group CACB vs. intravenous fentanyl in group IVACB) was connected. The postoperative pain severity; the side effects of local anesthetics and opioids; administration of rescue analgesics and anti-emetics; and sensorimotor deficits were measured. Results: Postoperative pain sever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IVACB group at 30 min, 4 h, 24 h, and 48 h after surgery. The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SD) of the NRS score of postoperative pain were $0.14{\pm}0.37$, $4.57{\pm}2.37$, $6.00{\pm}1.63$, and $4.28{\pm}1.49$, respectively in the IVACB group. Rescue analgesic requirements and quadriceps muscle strength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throughout the postoperative period. Moreover, rescue antiemetic requirements were higher in group IVACB than group CACB.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continuous ACB provided superior analgesia and fewer side effects without any significant motor deficit than the IV-PCA with a single-shot ACB.

경동맥 혈류 속도 및 산소 포화도 측정을 위한 다중모드 패치형 프로브 개발 (A development of a multimodal patch-type probe for measuring blood flow and oxygen saturation in carotid artery)

  • 윤상연;이기준;김재관;황재윤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443-449
    • /
    • 2019
  • 심혈관계 질환 환자가 발생 하였을 때, 환자의 뇌와 내부 장기를 보호하고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건발생 이후 신속하게 응급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여 경과 시간을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뿐만 아니라 심폐소생술의 실시를 위한 판단은 경동맥의 맥을 직접 짚는 '경동맥 촉진법'은 실시자의 주관적인 판단과 약해진 심혈관 기능에 따른 뇌혈류 차단을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개발된 다중 초음파 도플러 채널 쌍과 산소포화도 측정 모듈이 결합된 패치형 프로브를 이용하여 경동맥의 혈류 속도, 맥박, 산소포화도를 생체 내 실험을 통해 정성적으로 측정하였다. 따라서 본 시스템은 응급 상황에서 정량적이고 신속하게 환자의 심폐 기능을 모니터링 하여 심폐소생술 판단 여부를 객관적으로 제공하여 응급 상황 시 심혈관계 질환 환자의 생존률을 높일 수 있는 차세대 진단 기기로 활용 될 수 있다.

주파수 필터링 함수에 따른 시간 및 주파수 영역 광음향 측정에 대한 신호 대 잡음비 분석 (Signal-to-noise Ratio in Time- and Frequency-domain Photoacoustic Measurements by Different Frequency Filtering)

  • 강동열
    • 한국광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48-58
    • /
    • 2019
  • 구면 초점 초음파 측정기에 의해 구형의 광 흡수체로부터 측정된 시간(즉, 펄스 형태 광원) 및 주파수 영역(즉, 처프 형태 광원) 광음향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io)를 이론 및 시뮬레이션으로 분석하였다. 이전 문헌과 마찬가지로 시간 영역 광음향 측정에 의한 신호 대 잡음비 값이 주파수 영역 광음향 측정의 경우보다 더 높았는데 이 근본적인 이유를 최대허용노광량(maximum permissible exposure)에 따른 광원의 세기와 주파수 필터링을 통한 두 측정 모드의 광음향 스펙트럼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해하였다. 또한, 분석의 결과로서 주파수 영역 광음향의 처프 형태 광원에 대한 정합 필터링에 더해 DC 스펙트럼 부분을 제거하니 신호 대 잡음비가 5 dB 정도 상승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특히, 주파수 필터 함수의 주파수 상한 값의 변화에 따라 신호대 잡음비 값이 급격하게 변동하였는데 신호 대 잡음비가 최대가 되는 주파수 상한 값이 두 광음향 측정 모드에서 서로 다르게 나타남을 관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