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ypicality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4초

스크립트적 범주전형성에 따른 학령전 아동의 회상수행과 조직화 책략 발달 (Recall and Development of Organizational Strategy for Script-Based Category Typicality in Preschool Children)

  • 이경님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5-38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evelopmental trends in script-based organization strategy and relative influences of age, use of organizational strategy and category typicality of lists on children's recall. The subjects were 120 infant children, -40 four years old, 40 five years old, 40 six years old. All subjects were received 1 of 2 slot-filler lists of items differing in category representativness. Data were analysed by two-way Anova, Duncan's post-hoc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Recall and use of organizational strategy were increased with age. 2. At each age level, children showed high level of recall and organization strategy for category typical than category atypical. 3. Children's age, use of organizational strategy and category typicality of list significantly predicted children's recall. 42% of the variance of children's recall was explained by three variables. The relative influence of age to the prediction of children's recall was the strongest.

  • PDF

Animal Naming Performance in Korean Elderly: Effects of age, education, and gender, and Typicality

  • Kim, Jung-Wan;Kim, Hyang-Hee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8권3호
    • /
    • pp.26-33
    • /
    • 2012
  • The animal naming test (ANT) is known to be influenced not only by age, gender, and education but only by ethnicity, culture, and language. Thus, population-specific norm considering these variables needs to be developed for Korean-speaking elderly. We evaluated 185 healthy elderly people with five measures. Education was the single statistically independent correlate of the total number of words ($R^2$ = .312, p = .038). After adjusting for education, there was slight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r = -.215, p = .049) between age and total number of words. Mean number of words produced was $13.71{\pm}3.09$. The production frequenc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typicality rating (r = -0.41, p < .05). The concrete and exact scoring rule could be set up in the comparison of naming performance between a normal and patient with neuro-linguistic disorder and its data could be utilized in a differential diagnosis for patients with neurological disorders.

아동의 암묵적 기억의 발달 : 개념적 범주생성 과제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Implicit Memory in Children with Category-Exemplar-Generation Task)

  • 장세희;최경숙
    • 아동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105-115
    • /
    • 2004
  • The 60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rd, and 6th grade elementary and undergraduate university students. The instrument of 44 items had two typical and two atypical exemplars from 11 semantic categories. Each subject was exposed individually to the word list and asked to categorize each item. At test, subjects generated five items that came to mind in each category. Data was analyzed by 2-way ANOVA, age (3) $\times$ category of typicality (2). All main effects and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age and typicality were significa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ge groups on typical lists whil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university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Grades 3 and 6) were found on atypical lists. Thus, the knowledge base might be an important factor in implicit memory.

  • PDF

디자인 표상에 반영된 속성 구조의 전형성 평가 (Typicality Evaluation of Attribution Structure Reflected in Design Representation)

  • 이성남;이철영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191-200
    • /
    • 2006
  • 디자인 표상은 디자인 요소가 결합된 하나의 통합체로서 분야별 표상의 전형성을 반영하는 것이다. 그리고 디자인 요소는 분야별 표상의 목적과 가치를 반영하는 계열체로서 속성의 범주를 형성하며 표상의 과정에서 선택과 결합이 이루어진다. 디자인 속성 범주의 선택과 결합은 표상의 과정에서 작용하는 주체의 표상 의식에 근거하며 표상의 목적과 가치에 대한 인식의 내용을 반영한다. 그러므로 분야별 표상은 해당 분야에서 요구되는 표상의 목적과 가치에 따른 속성의 구조를 나타내며, 이들이 결합하고 있는 양태에 따른 분야간 차별화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가정에 대한 사실 검증으로서, 디자인 표상에서 이루어지는 속성 범주의 고려도 측정을 통해 각 분야의 표상을 형성하는 속성 구조의 전형성과 분야간의 차이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평가의 대상으로 선정한 산업 디자인, 시각 디자인 그리고 환경 디자인 분야의 표상에 반영된 속성 구조는 전형적인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브랜드 개성 평가를 통한 선도브랜드의 전형성 분석 연구 (Analysis for Typicality of the Leading Brand by Evaluation of Brand Personality)

  • 박범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68-577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특정 제품군 내 선도 브랜드가 가지는 전형성을 브랜드 개성 평가를 통해 분석하였다. 사전조사를 통해 인스턴트 원두커피가 분석 대상 제품군으로 선정되었고, 일반 매장 판매 브랜드인 '카누', '루카', '수프리모' 세 개의 브랜드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선도 브랜드인 카누가 해당 제품군을 대표하는 브랜드 전형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카누의 경우, 진실, 능력, 성공, 세련 등 제품군이 보유하는 4가지 개성 차원을 동일하게 가지고 있었다. 루카의 경우, 능력, 진실, 세련 등 세 가지 개성차원이 공통적인 것으로, 수프리모의 경우는 세련과 능력 두 개의 개성차원만이 공통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개성차원을 구성하는 구성개념에 있어서도 카누의 경우가 다른 경쟁 브랜드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공통성을 보이고 있었다. 연구를 통해 브랜드 개성 평가를 바탕으로 한 브랜드의 전형성 평가에 대한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멜로장르 TV드라마에 나타나는 여성 주인공의 전형성 (1992년부터 2012년까지) (Typicality of Female Main Characters Appearing in the TV Melodrama Genre -From 1992 till 2012-)

  • 이화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604-613
    • /
    • 2013
  • 멜로장르는 그동안의 선행연구를 살펴 볼 때 여타의 장르보다 여성상 설정에 있어 전형적인 여성상이 재현 된다는 논의가 있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연구에는 양적인 방법의 연구가 없어 멜로장르의 보수성과 전형성에 대해 입증했다고 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TV드라마 멜로장르 여성상의 전형성에 대해서 양적인 연구방법과 전체 장르 여성상과의 비교분석을 사용하여 검증 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TV 멜로장르 여성주인공은 전체장르 여성상에 비해 그 변화상이 적었다. 전체 장르 여성상이 외모에 있어 비여성성이 증가하였고 타인과의 관계가 능동적으로 변한 반면 멜로장르에서는 전형적인 여성적 외모의 여성과 수동적인 여성상이 1992년부터 2012년까지 유지되고 있었다. 여성이 남성의 애인과 아내의 자격으로 남성의 자본을 공유하던 체제에서 여성적인 아름다운 외모는 남성의 선택 가능성을 높이는 여성의 육체자본으로 활용 되었다. 그러나 여성의 경제력이 향상된 현재에도 멜로장르에서는 유독 전형적인 여성상이 유지되고 있다. 여성시청자가 주를 이루는 멜로장르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여성상의 전형성은 현대 여성들의 양가적이고 모순적인 욕망을 대변하는 것으로 보여 진다.

제품전형성이 소비자의 상표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oduct Typicality on Consumers' Brand Evaluation)

  • 정문영
    • 산학경영연구
    • /
    • 제15권
    • /
    • pp.153-179
    • /
    • 2002
  • 이 논문은 제품 전형성이 상표평가에 미치는 영향 즉, 전형성효과와 그 맥락의존성을 분석하였다. 선택군 확대, 공통특성의 부가, 정당화 과업 등 맥락에 따른 전형성효과의 변화에 관한 가설검증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전형적 상표와 비전형적 상표로 구성된 단순한 선택군에서는 전형적 상표에 대한 평가가 호의적이었다. 그러나 극단적인 비전형적 제품이 진입하면 전형적효과가 유의하게 잠식되었다. 이는 개척상표가 향유하는 전형성의 혜택이 다양한 전형성 포지셔닝의 상표들로 상표대안이 확대되는 시장상황에 취약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선택대안에 부가되는 공통특성은 그 매력도에 상관없이 상표들 사이의 전형성 차이를 희석시키지만, 매력도에 따라 전형성효과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비매력적 공통특성은 상표에 대한 호의도나 긍정적 평가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매력적 공통특성은 상표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쳐, 시장에서 정체성이나 독특성이 확립된 상표는 공통특성의 부가에 의해 긍정적인 시장반응을 얻을 수 있고, 그 역도 성립된다. 셋째, 설명이나 정당화가 필요한 평가 및 선택과업에서는 독특한 비전형적 상표에 대한 선택이 억제되고, 타인에게 자신의 상표평가나 선택 배경을 설명하고 자신의 선택을 정당화하는데 효과적이고 안전한 전형적 제품에 대한 호의도가 증가되고 관습적 대안을 선택하는 성향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징적 제품이나 공적 의사결정에서 전형적 제품이 상대적으로 선호될 것을 시사한다.

  • PDF

확장 외식 브랜드에 대한 개념 일치성과 고객의 지식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The Impact of Consitency of Brand Concept on Consumer Attitudes : Moderating Roles of Knowledge, Involvement and Typicality)

  • 추상용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8-29
    • /
    • 2005
  • The study i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concept consistency and the consumer attitude toward the extended brand and the moderating roles of knowledge, involvement and typicality on their relationships in the food-service industry. In the severely competitive market, brand extension strategy has become a key strategy to the companies that are trying to expand in the new market and to cut down the marketing cost. First , the similarity which is measured by consistency of brand concep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onsumer attitude toward the extended brand. Second, the knowledge on the original brand has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istency of brand concept and the consumer attitude toward the extended brand. More knowledge brings on more favorable attitud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