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13.13.12.604

Typicality of Female Main Characters Appearing in the TV Melodrama Genre -From 1992 till 2012-  

Lee, Hwa-Jeong (부천대학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Advanced research has often discussed that the melodrama genre reproduces typical female image more than any other genre in setting up female image. However, the advanced research is not based on quantitative methods, so it is hard to say that it has verified the conservativeness or typicality of the melodrama genre. This study applies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for the typicality of female image in the TV melodrama genre and intends to prove it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overall genre female image.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the TV melodrama genre's shows less change than the overall genre female image. About their appearance, the overall genre female image indicates increase of non-femininity and activeness in their relationship with others; however, in the melodrama genre, women with typical feminine appearance and passive female image have been maintained from 1992 till 2012. In the system in which women shared men's capital in their lover or wife's status, their feminine and beautiful appearance was used as women's physical capital that enhances their possibility to be selected by men. Even in the present that women's economic power has been elevated, however, the melodrama genre still maintains typical female image distinctively. Typicality of such female image shown in the melodrama genre of which major viewers are women seems to represent contemporary women's ambivalent and contradictory desire.
Keywords
Melodramas; Female Lead; Typical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하윤금, "멜로드라마의 이성애적 서사구조에 대한 해석 <청춘의 덫>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연구, 창간호, 1999.
2 T. Modleski, Loving with a Vengeance: Mass Produced Fantasies for Women, Archon Books, 1982), 1982.
3 J. Baudrillard, The Precession of Simulacra, Simulacra and Simulation, Univercity of Michigan Press, 1994.
4 Eco, U 1989, 조항준 역, 열린 예술작품:카오스의 시학, 새물결, 1995.
5 장주혜, TV드라마에 나타난 여성의 정체성 담론 연구 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4.
6 임옥희, "환상, 그 위반의 시학", 여성이론, 제2호, 2000.
7 Lacan, Jacque, 1949, 권택영 역, 욕망이론, 문예 출판사, p.30, 1994.
8 이화정, "에로틱한 여주인공에 대한 여성 수용자 의 욕망 - 칙릿 드라마 <스타일>을 중심으로", 디자인학연구, 제24권, 제1호, p.74, 2011.
9 이화정, 한국 TV드라마에 재현된 여성 주인공의 여성상 유형 연구, 홍익대학교 영상학과 박사학위논문, p.11, 2011.
10 한정자, 김양이, 이춘하, 김이선, "여성의 대중매 체 수용의식 개발 프로그램-텔레비전을 중심으로", 한국여성개발원 연구보고서, p.31, 1995.
11 G. Tuchman, "Women's depictions by the mass media," Sign 4, 3, Spring, pp.528-542, 1979.   DOI   ScienceOn
12 김명혜,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 에 대한 여성 수용자의 해독과 일상적 실천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6권, 제2호, 2006.
13 정기현, "한국 텔레비전 광고에 나타난 젠더 표상의 변화에 관한 연구", 미디어, 젠더&문화, 제8권, 2007.
14 서숙영, TV 드라마 속 여성상에 관한 연구: 2000 년 이후 주요 드라마를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15 김순기, 2000년대 한국 드라마에 나타난 여성 주 인공의 특성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16 이화정, 한국 TV드라마에 재현된 여성 주인공의 여성상 유형 연구, 홍익대학교 영상학과 박사학위논문, 2011.
17 이화정, "멜로 드라마에 나타나는 여성 대립자 유형의 변화", 한국콘텐츠힉회논문지, 제12권, 제 10호, 2012.
18 윤선희, "신데렐라 콤플렉스의 역 전이와 코라 - 페미니즘 정신분석학의 시각에서 텔레비전 드라마 다시 읽기", 한국언론학회, 제29권, 제2호, 2005.
19 김승현, 한진만, 한국사회와 텔레비전 드라마, 한울아카데미, pp.79-118.
20 이화정, 한국 TV드라마에 재현된 여성 주인공의 여성상 유형 연구, 홍익대학교 영상학과 박사학위논문, pp.50-52, 2011.
21 이화정, 한국 TV드라마에 재현된 여성 주인공의 여성상 유형 연구, 홍익대학교 영상학과 박사학위논문, p.61, 2011.
22 김명혜, 김훈순, "여성이미지의 정치적 함의: 텔레비전 드라마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 제39권, 1996.
23 C. Shilling, 임인숙 역, The Body and Social Theory, 1993, 몸의 사회학, 나남출판사,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