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ypes of questions

검색결과 782건 처리시간 0.024초

생물 예비교사의 과학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 시연에 나타난 질문 유형 분석 (Analysis of Question Patterns Appearing in Teaching Demonstrations Which Applied Science Teachings Model Prepared by a Pre-service Biology Teacher)

  • 조인희;손연아;김동렬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6권2호
    • /
    • pp.167-185
    • /
    • 2012
  • 본 연구는 생물 예비교사의 과학수업모형을 적용한 수업시연에 나타난 질문 유형을 분석하여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개선점을 찾는데 목적이 있다. 질문 유형을 분석하기 위한 질문 분석틀은 크게 범주1(인지적 영역질문, 탐구기능질문, 정의적 영역 질문), 범주2(반복질문, 범위를 좁히는 질문, 연습 질문), 범주3(학생활동 진행 질문, 기억 질문, 사고 질문) 질문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5가지 과학수업 모형을 적용한 생물 예비교사의 질문 유형을 분석한 결과, 인지적 영역질문과 기억질문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순환학습모형에서는 인지적 영역 질문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특히, 학생활동 진행형 질문은 순환학습모형의 '1차 개념도입단계'와 실험을 수행한 '2차 탐색단계'에서 많이 사용되어 단계의 특징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발견학습모형은 관찰과 측정, 분류, 일반화 과정이 통합되어 있으나 수업시연에서는 기억질문이 많았고, 탐구기능 질문의 비중이 낮게 나타났다. 탐구학습모형에서도 기억질문이 많았고, 다른 수업모형에 비해 탐구기능 질문이 탐구학습모형의 '실험설계단계'와 '실험단계'에서 많이 나타났다. STS수업모형에서는 정의적 영역질문과 사고질문이 다른 수업모형에 비해 많이 나타났다. 개념변화학습모형에서는 기억질문을 많이 사용하여 개념변화학습모형의 모든 단계에서 학생들의 오개념을 자극하고 과학적 개념의 수정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 PDF

제7차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물질 영역에 제시된 발문 분석 (Analysis of Questions in the 'Matter' Units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under the 7th Curriculum)

  • 박주현;권혁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5호
    • /
    • pp.551-55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questions in the 'Matter' units of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under the 7th curriculum. For the analysis, a total of 338 questions were extracted from 15 units. Six criteria (recalling, recognizing, predictive, applied, divergent, and evaluative question) were reconstructed for textbook question analysis based on Blosser(1973)'s question category system for scie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ore closed (recalling, recognizing, predictive, or applied) questions (72.2%) than open (divergent or evaluative) questions (27.8%)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Second, cognitive-memory (recalling or recognizing) question type was the most frequently asked in all grade levels. Open (divergent or evaluative) questions increased according to grade level whereas convergent (predictive or applied) questions decreased. Third, question types were appli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unit rather than on children'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 PDF

급진적 구성주의에 대해 자주 제기되는 문제 (Frequently-Asked Questions on Radical Constructivism)

  • 박만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2권2호
    • /
    • pp.193-212
    • /
    • 2002
  • What is radical constructivism There were many questions arose related with radical constructivism in mathematics education. In this paper, the author put seven frequentlyasked questions on radical constructivism and described each question one by one in light with constructivists' point of views. The questions included types of constructivista, radical constructivism, trivial or weak constructivism, and social constructivism; representative people in radical constructivism; matter of ontological reality; evaluation of others' work; shared meaning; social influence; and teacher's roles from the perspectives of radical constructivism. The author added his opinions ell each Question.

  • PDF

천문우주 질문상자에 나타난 역법과 고천문분야 질문유형 분석 (ANALYSIS OF THE SCIENTIFIC INQUIRIES TYPES ON ALMANAC AND HISTORICAL ASTRONOMY IN THE ASTRONOMY AND SPACE SCIENCE Q&A SERVICE)

  • 임인성;성현일;김광동;김순욱;최승언
    • 천문학논총
    • /
    • 제22권4호
    • /
    • pp.219-227
    • /
    • 2007
  •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scientific inquiries type on Almanac and Historical Astronomy asked through the Q&A service in Korea Astronomy and Science Institute(KASI) webpage with the aid of scientific inquiries analysis methods. We also study the contents of the questions. Specifically, we have created statistics of questions and inquiries, and have developed categorie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questions with regard to their cognitive aspects. Each question is categorized as either of the two elements based on their recognitive aspect: science knowledge or science study. Each element also has sub-categories that help the reader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questions. For the analysis, we used the sample consisting of questions collected from April, 2005 to June, 2007. Through this study, we achieved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questions in the area of Almanac and Historical Astronomy asked in the Q&A service. Throughout this study, we find that the need of questions in the area of Almanac and Historical Astronomy are increasing with time, and the overall quality of the questions is getting improved. As we expect that the number of people using our Q&A service will increase and that the questions will get more difficult to answer, development of improved contents is required.

초등 과학교과서 지구과학 지식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질문 종류, 빈도 및 인지적 배경 출처 분석 (An Analysis of Types, Frequencies, and Sources of Cognitive Backgrounds of the Preservice Teachers' Questions Related to Earth Science Knowledge Presented i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 이명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77-289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에 나오는 지구과학 지식에 대한 질문을 분석하는 것이다. 교육대학교 교과목 수업에서 과학교과서에 나오는 지구과학 지식에 대한 교사로서의 질문을 조별 활동을 통해 추출하였다. 질문의 종류와 빈도, 그리고 질문의 인지적 배경 출처를 조사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지구과학 부문별 질문의 종류와 집중 정도, 그리고 질문의 인지적 배경 출처에 차이가 있었다. 특히 천문관련 부문에서는 다른 부문과는 달리 개별 차시별로 질문 빈도와 집중이 다른 경향을 보이므로 이를 고려한 교수 설계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인지적 배경 출처로서 '학교' 비율이 가장 높으며, '친구'도 매우 중요한 출처이므로 동료 간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협력이 학습에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인터넷'과 'TV' 같은 대중매체가 '학교'와 비슷한 높은 수준으로 인지적 배경 지식의 출처임을 보여 주고 있어서 이들을 이용한 과학 수업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셋째, 차시에 따라 질문의 집중과 종류, 빈도가 다르므로 교사 교육에서 단원별 학습주제에 대한 교육적 접근에서 이를 활용하는 교수방략이 요청된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실과 교과서 소프트웨어와 로봇 단원 발문 분석 및 CT마중발문 개발 (Study of Types of Questions Presented in Software and Robot Units of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Practical Curriculum and Development of CT Trigger Questioning)

  • 오정철;진영지;김봉철;김종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215-223
    • /
    • 2020
  •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6종 실과 교과서 소프트웨어 단원과 로봇 차시에 제시된 523개 발문 유형을 분석한 결과, SW 단원에서는 폐쇄적 발문이 77.1%, 개방적 발문이 22.9%로 나타났고 로봇 단원에서는 폐쇄적 발문이 74.8%, 개방적 발문이 25.2%로 나타났다. 폐쇄적 발문 중심인 SW 교과서 발문의 한계를 보완하고 교사들이 교육 목적과 활동 내용에 따라 컴퓨팅 사고력 신장을 위한 다양한 컴퓨터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CT마중발문을 개발하였다.

중학교 환경 교과서의 질문방략 (A Comparison of Questioning Styles in Middle School Environmeotology Textbook)

  • 허만규;허홍욱;오광중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07-112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questioning styles in middle school environmentology textbook In terms of frequency, type, and placement of questions. It was also to analyse and to compare the kinds of scientific inquiry processes elicited by the questions in the topics of textbooks. The instrument was the Textbook Questing Strategies Assessment Instrument (TQSAI) developed the Cooperative Teacher Preparation Project, University of California. The average number of Questions per topic was only 1.09 and the ratio of questions to sentences was 2.5%. Most of questions were in explanatory place(75%). Nearly 90% of experienced questions types were reasoning or application. The frequencies of non-experiential ques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experiential question. In action, there were much kinds of question-styles.

  • PDF

교육학분야 전문도서관에서 제공되는 디지털참고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 하위주제영역별 이용자의 질문유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igital Reference Services in an Educational Research Library: Focusing on Types of Questions Among Subareas of Education)

  • 이명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1-65
    • /
    • 2009
  • 교육학 분야 전문기관의 전자게시판에 접수된 참고질문의 유형과 하위주제 영역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교육학의 23개 하위 주제영역을 대상으로 6개 질문유형을 가지고 242건의 질문을 분석하였다. 순수한 참고질문은 56.14%로 상당히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도서실 게시판에 접수된 질문은 교과교육, 교과서, 교육일반, 교수 학습영역에서 조사형 질문이 많았으나 교육통계연구센터 게시판에는 교육제도, 고등교육, 학생 학부모 분야에서 즉답형 질문이 많이 접수되었다. 분석결과 발견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메뉴구조 개선으로 이용자의 편의성 확보, 검색기능과 응답기능 갖춘 디지털참고질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웹폼 참고질의양식 사용, 용도에 적합한 전자게시판 사용, 참고질의 관련 주제를 장서개발정책에 반영할 것이 제안되었다.

학생들이 제시한 질문의 유형 분석을 통한 개방적 참탐구 활동의 인지적 추론 측면의 효과 (The Effects of Authentic Open Inquiry on Cognitive Reasoning through an Analysis of Types of Student-generated Questions)

  • 김미경;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930-943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과학자들의 연구 수행에서 나타나는 인식론적 특성을 반영한 개방적 참탐구 활동을 수행하도록 하고,이 과정에서 학생들이 실제로 과학의 인지과정을 경험하면서 참탐구 인식론을 반영한 추론 특성을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서울시 소재 과학고등학교 1학년 학생 86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4주 동안 비교집단 2개 학급의 학생들은 전통적인 학교 탐구 활동을 수행하게 하고 실험집단 2개 학급의 학생들은 개방적 참탐구 활동을 수행하게 한 후 학생들이 제기한 질문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의 학생들이 제기한 질문의 빈도는 크게 차이가 없었으나,질문의 유형에는 차이가 있었다. 실험집단에서 사고 질문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고,질문의 세부 유형에서도 비교집단 학생들의 질문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 <.01) 특히 사고를 확장시키는 질문과 변칙 데이터에 대한 질문의 빈도에서 큰 차이가 있었다. 또한 실험 집단에서 제기된 질문 가운데에는 과학적 방법,변칙 데이터,추론의 불확실성과 같은 참과학의 인식론을 반영하는 질문들이 발견되어 개방적 참탐구 수행에서 학생들이 과학적 인식론을 이해하게 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탐구주제에 따른 질문 비교에서 개방도가 높아질수록 변칙탐지 질문과 전략질문의 빈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고,귀납적 질문과 유추적 질문의 경우에는 개방도보다는 탐구 주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열 개념에 따른 온도 개념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tudents따 Conception of Temperature with their Heat Conception)

  • 권성기;김익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2권1호
    • /
    • pp.15-2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oncept of heat and that of temperature for elementary students. Eight multiple choice type questions with explanation of reasons for selection were developed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and the analysis of science curriculum for elementary students. The students of 9, 10, 11 years(n=292) were selected from two elementary schools in Taegu City. The responses of students' multiple choice and their explanations were analysed in each items χ² test used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types of heat and temperature conceptions Half of elementary student could discriminate the two terms of heat and temperature, majority of them thought that heat is likely to be hot and temperature is the quantity of heat, which is not based on scientific conception. Elementary students thinkings about heat could be classified with material type of heat and molecular kinematics type. Material type of heat were more popular than with molecular kinematics type, although the latter is increased. Majority of students answered correctly in qualitative questions of mixing of hot and cold water, but about only one third of them answers in quantitative questions. Subtraction of cold temperature from hot temperature was the most popular explanation, even though one-quarter of students summed up the two temperature in quantitative situation of mixing hot and cold waters. Those who thought heat as the molecular kinetic responded more correctly in most difficult questions than those who as the material. Therefore, we concluded that the types of heat conceptions affected the concept formation of temperat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