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ympanometry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7초

삼출성 중이염 환자의 경과 관찰 시(時) tympanometry 사용의 유용성 (Usability of Tympanometry in Oriental Medical Treatment of OME)

  • 김희정;윤희성;박외숙;김규석;김윤범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0-79
    • /
    • 2005
  • Background: Otitis media with effusion(OME) is one of the most common disease in childhood. Patient suffers from OME in many quarters. For example hearing loss, effects on speech, language, learning, behaviouralchanges etc. But the diagnosis of OME is difficult using only medical history and otoscopy. So, many other diagnostic tools are developed and tympanometry is one of them. When OME is treated by oriental medical Tx, tympanometry would be useful instrument. Objectives: To gain insight into the usability of tympanometry in F/U of OME treated by oriental medial Tx. Methods: Data was collected from 123 ears of 74 children who was treated by oriental medical Tx. Data includes sex, age, period of Tx, elapsed time to be improved, tympanograms and accompanied symptoms. The relationship between items was analysed by statistical methods. Results: There is no relationship between age, sex and period of Tx/elapsed time to be improved. When cough and phlegm is accompanied, the period of treatment and elapsed time to be improved are expanded. When improvement was seen on tympanogram, the period of treatment is expanded but the improvement was seen within 30days, the period of treatment is reduced. Conclusion: The application of tympanometry in oriental medical treatment of OME would provide us many informations about the status of patient so it will be helpful to predict the history of a case and to make a decision whether keep up treatment or not.

  • PDF

고등학생 청각선별 결과 (Results of Hearing Screening in Senior High School Students)

  • 오승하;허승덕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7
    • /
    • 2016
  • 본 연구는 경산지역 남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고, 재검대상자 비율을 통해 청각 선별의 필요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여자 고등학생 359명, 남자 고등학생 205명 등 모두 564명으로 하였다. 청각선별은 고막운동성계측(tympanometry)과 자동화 이음향방사(automated otoacoustic emission; AOAE)를 이용하였다. 재검대상자 중 위양성 소견을 보인 여학생 8명(2.228%) 11귀와 남학생 9명(4.39%) 10귀를 제외하면 최종 재검대상자는 여학생이 9명(2.5%), 남학생이 19명(9.268%)으로 각각 관찰되었다. 고막운동도와 AOAE는 남녀 사이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청소년 청각선별은 이관 성장 발달에도 불구하고 순음청 각선별로 확인하기 어려운 난청을 선별하기 위하여 고막운동성계측을 시행할 필요가 있고, 위양성 결과를 낮추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Tympanometry를 이용한 삼출성 중이염의 임상적 관찰에 대한 연구 (Clinical Research for Otitis Media with Effusion Using Tympanometry)

  • 박외숙;윤희성;김희정;김규석;김윤범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84-94
    • /
    • 2005
  • Objective: In order to help clinical approach on OME patient in progress observation and decision on improvement by clinical research results using tympanometry. Methods: Data was collected from 163 ears of 96 patients who were treated in Dept. of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Kyung-Hee Medical Center from 2001-2-12 to 2005-4-29 for Otitis Media with Effusion(OME). Tympanometry was applied to all patients and the test result was used to evaluate progress and improvement. F/U cases below 3 times were excluded. Results & conclusion: 1. Age and sex distribution was as follows: Mean Age 5.5years old(Standard deviation: 2.1), age distribution 2-61years old, below 10years old 151cases(92.6%) and above 10years old 12cases(7.4%). Male and female ratio was 1.81:1. 2. There were 67people(69.8%) with bilateral affected ear. Unilateral was 29people(30.2%). Affected ear distribution according to sex came out similarly. 3. Affected period distribution was as follows: over 12weeks 71cases(43.6%), under 12weeks 92cases(56.4%). Out of under 12weeks cases, 2-4weeks was 34cases(20.9%), 0-1weeks and 5-8weeks 20cases(12.3%), 9-12weeks 18cases(11.0%). There was evident difference about affected period between male and female. 4. All patients who served previous Tx in medical clinic(118 cases) took antibiotics. Only 6cases took tube insertion. The period of Taking antibiotics was as fellows: over 6weeks 42cases(35.6%), under 5weeks 37cases(31.4%). unknown 25cases(21.2%), jntermittent 14cases(11.9%). 5. In Period of Tx distribution, 5-6weeks showed 40cases(24.5%) which was highest number. In Improved cases(85cases), 3-4weeks and 5-6weeks each 22cases(25.9%) which was highest number. 1-2weeks 3cases(3.5%), 7-8weeks 12cases(14.1%), 9-10weeks 9cases(10.6%), 11-12weeks 10cases(11.8%), over 12weeks 7cases(8.2%). 6. The cases which have gastrointestinal Sx were 71cases(43.6%), the others 92cases(56.4%). Details of gastrointestinal Sx were as follows: Sx associated with appetite 47cases(47.5%), constipation 15cases(15.2%), abdominal pain and diarrhea 14cases(14.1%), frequent vomitting Teases(7.1%), etc 4cases(4.0%). 7. The cases which have accompanying disease were 116case(71.2%), the other 47cases(28.8%). Details a accompanying disease were as follows: sinusitis 57cases(35%), rhinitis 55cases(3.7%), allergic rhinitis 20cases(12.3%), atopic dermatitis 19cases(1.7%), urticaria 4cases(2.5%), asthma 3cases(1.8%), nasal polyp and conjunctivitis 2cases(1.2%) each, laryngitis 1case(0.6%).

  • PDF

청각선별을 통과한 주간 보호와 언어재활 서비스 수혜 소아의 가청역치 (Hearing Threshold of Children with Hearing Screening-Passed in Day Care Center and Speech-Language Pathology Clinic)

  • 허승덕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273-278
    • /
    • 2016
  • 청각선별에서 반응 역치는 검사 환경 잡음, 청각기관 생리적 특성, 과도한 음원 노출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이 연구 목적은 청각선별을 통과한 소아의 주파수별 가청역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언어치료센터와 지역아동센터에 다니는 3.3세부터 16.3세($9.01{\pm}2.52$) 사이의 110명으로 하였고, 이들의 소아 청각 선별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청각선별은 고막운동성계측(Tympanometry), 등골근반사(acoustic reflex threshold), 자동화 이음향방사(automated otoacoustic emission), 순음청각선별(pure tone screening)을 시행하였다. 대상자들은 모두 청각선별 정상 기준에 포함되었다. 주파수별 가청역치 차이는 반복측정 분산분석 하였다. 결과: 가청역치 평균은 500, 1,000, 2,000, 4,000 Hz의 순서로 우측 귀 $16{\pm}6.49$, $11.5{\pm}4.79$, $6.86{\pm}4.99$, $5.95{\pm}6.65$ dB HL, 좌측 귀 $15.68{\pm}6.01$, $9.95{\pm}5.24$, $5.72{\pm}5.21$, $5.63{\pm}7.04$ dB HL로 각각 관찰되었다. 주파수 사이에는 500Hz와 1,000, 2,000, 4,000 Hz(p=.000), 1,000과 2,000, 4,000 Hz(p=.000)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Nasal Packing이 이관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asal Packing on the Eustachian Tube Function)

  • 손학순;백문찬;양초영;이준희;김종애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9년도 제13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5.2-6
    • /
    • 1979
  • Nasal packing이 이관 기능장애를 일으킨다는 것은 임상적으로 잘 알려진 사실이나 이에 대한 연구는 드문 것으로 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Nasal packing을 요하는 비수술이 이비인후과 영역에서 가장 흔한 수술이기 때문에 Nasal packing이 이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다는 것은 흥미있는 문제라고 생각된다. 저자는 비수술과 비출혈로 Anterior packing을 시행한 40명의 환자(80 ears)와 비출혈로 posterior packing을 시행한 13명의 환자(26 ears)로부터 Tympanometry을 측정하여 이관 기능장애를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Anterior packing을 시행한 환자의 80 ears 중 30 ears(37%)에서 중이내압의 감소를 보였으며 그 중 16 ears(20%)에서 $100mmH_2O$ 이상의 중이내 음압을 보였다. 2) Posterior Packing을 시행한 환자의 26 ears 중 15 ears(50.7%)에서 중이내압의 감소를 보였으며 그중 11 ears(42.3%)에서 $100mmH_2O$ 이상의 중이내 음압을 보였다. 3) Posterior packing이 Anterior packing보다 더 높은 빈도의 이관 기능장애를 보였다. 4) Nasal packing으로 인한 이관 기능장애는 packing 제거 후 2일에서 9일내에 정상으로 회복됨을 볼 수 있었다.

  • PDF

소음 노출 남성근로자에서 청력 역치의 비대칭성과 관련요인 (Asymmetrical Hearing Loss and Related Factors Among the Noise Exposed Male Workers)

  • 이남수;이경재;김주자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94-101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asymmetry of hearing loss among the noise exposed male workers. Findings of otoscopic examination, pure tone audiometry and tympanometry were evaluated for 179 male workers working in the noise exposed workplace. And also selfadministered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each worker's work-related and gene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personal health behavi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hearing threshold between right and left ears at 1,000 Hz and 3,000 Hz(p<0.05). And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of hearing threshold were noted in the age group over 50 at 3,000 Hz, the high risk drinking group either at 3,000 Hz and 4,000 Hz, the work duration group 10-19 years at 3,000 Hz, the noise exposure group under 90 dB(A) at 3,000 Hz, the noise exposure group over 90 dB(A) at 1,000 Hz, the non-wearing protective device group at 4,000 Hz, and the wearing protective device group at 3,000 Hz(p<0.05). Further study is needed to explore the extent and the related factors of the asymmetry of hearing loss in the general population and occupationally noise exposed group.

The Effect of Workplace Noise on the Hearing Threshold of Dental Technicians

  • Lee, Ju Hee;Lee, Hye Ran;Lee, Og Kyoung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01-208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hypoacusis due to workplace noise among dental technicians. Pure tone audiometry, impedance audiometry and heart rate variability were measured for 60 dental technicians and office workers in D city from July to November 2013, and a survey on the effects of noise was conducted. SPSS 19.0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In the result for threshold of pure tone audiometry, the average hearing threshold of left ears in the air conduction (AC) tes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P=0.019) among dental technicians, who are frequently exposed to workplace noise. The hearing threshold in the AC test for each frequenc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at 125 Hz (P=0.012) in right ears and at 1 kHz (P=0.022), 2 kHz (P=0.040), and 8 kHz (P=0.018) in left ears. Dental technicians who had worked for 16 years or longer had a significantly higher incidence of hypoacusis in the right ear (P=0.030) and in the left ear (P=0.010). In impedance audiometry showed a tympanometry result of type A in both the dental technician group and the office worker group.

만성 상악동염이 중이기능에 미치는 영향 (IMPEDANCE AUDIOMETRY IN RELATION TO CHRONIC MAXILLARY SINUSITIS)

  • 문영일;박연아;김영주;조은아;서명숙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7년도 제21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2.2-12
    • /
    • 1987
  • 만성 상악동염은 동점막의 복잡한 변화를 일으키고, 만성증으로 지속되는 비분비물 및 비점막의 염증이 이관에 파급되어 중이에 영향을 미치며 그 치유경과를 늦추게 한다. 저자는 만성 상악동염에서 동점막의 비후정도가 이관 및 중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1986년 1월부터 3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이비인후과에 비폐색 및 비루를 주소로하여 내원한 환자중 만성 상악동염으로 진단된 16세 이상의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검사하였다. 동점막 비후정도에 따라 비정상군을 경도(2~3mm), 중등도(4mm이상), 고도(상악동 전체혼탁) 3군으로나누어 각각 40예를 조사군으로 하고 동점막의 두께가 0~1mm인 경우를 정상대조군으로 하여 40예를 GSI 28 AUTO TYMP를 사용하여 screening audiometry, tympanometry, acoustic reflex threshold (ipsilateral and contralateral)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남녀의 비는 1 : 2.6이고 21세에서 30세군이 53예(33.0%)로 가장 많았다. 2) 증상발현기간은 6개월 이내가 42.5%로 가장 많았다. 3) Tympanogram의 분포에서 비정상적 type으로 나오는 비율이 정상군과 비정상군중에서 경도군이 각각 22.5%이었고 중등도군이 30.0%, 고도군이 50.0% 순이었다. 4) 등골근반사역치는 정상군과 비정상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5) 등골근무반사율 역시 정상군과 비정상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 PDF

직업적으로 소음에 노출되는 근로자들에서 청력의 비대칭성 (Hearing Asymmetry among Occupationally Noise-exposed Workers)

  • 김욱태;김대환;이채관;안진홍;이창희;김휘동;김정호;손병철;이종태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53-159
    • /
    • 2007
  • Usually equal noise exposure is considered to cause symmetrical hearing loss, but some screening audiometries of employees who were exposed to noise showed asymmetry.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distribution of asymmetrical hearing loss and the difference of air conduction level between left and right ear at the different frequencies (500, 1,000, 2,000, 3,000, 4,000, 6,000 Hz). Study subjects were 326 male employee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noise-specific health examination from May to October, 2002. They were evaluated by otoscopic examination, pure tone audiometry and tympanometry. In all frequencies, hearing threshold level of left ear was worse than right ear. The mean interaural threshold differences between two ears were 0.83 dB at 500 Hz, 1.18 dB at 2,000 Hz, 2.29 dB at 3,000 Hz, 2.18 dB at 4,000 Hz,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he hearing loss of left ear was greater than right ear in occupationally noise-exposed workers. It is believed that left ear was more susceptible to noise damage than right ear

신생아 집중치료실 퇴원아의 신생아 청력 선별검사 (Neonatal Hearing Screening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Graduate)

  • 조성희;김한아;김애란;정종우;이병섭;김기수;피수영
    • Neonatal Medicine
    • /
    • 제16권2호
    • /
    • pp.213-220
    • /
    • 2009
  • 목 적 : 의미 있는 난청은 정상 신생아에서 1,000명당 1-3명의 비율로 발생하는 흔한 질환으로 신생아 중환자실 집중치료를 받은 경우 1,000명당 2-4명의 비율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난청의 발생률이 높은 신생아 집중치료를 받은 신생아들도 보험혜택의 제한과 추적관찰 실패율이 높은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지난 5년간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퇴원한 아기들의 난청 발병률 및 외래추적 관찰률을 확인하고, 신생아중환자실에서의 청각 선별검사의 의의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3년 3월부터 2008년 3월까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집중치료를 받은 총 2,137명 중 2,0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생아 중환자실 퇴원하기 전 신경과에 의뢰되어 뇌간유발 반응검사(AEP)로 1차 선별검사를 시행 후 비정상으로 나올 경우 신생아중환자실내 혹은 이비인후과 및 신생아 외래에서 추적관찰을 하였다. 결 과 : 2,123명 중 67명이 재검판정을 받아 재검률은 3.35%이었고 52명이 2차 청력검사를 시행 받았다. 세 번 이상의 청력검사를 받고 최종적으로 16명(0.8%)이 치료적 중재가 필요하거나 언어치료와 함께 외래 추적관찰이 필요한 비정상군으로 분류되었다. 비정상군의 평균 재태주령은 36주 6일, 평균 출생체중은 2,180 g, 1분 평균 아프가 점수는 각각 1분에 5점, 5분에 7점이었으며, 1차부터 3차까지의 평균 청력 검사 시행일은 각각 17일, 53일, 152일이었다. 전체 16명 중 남아는 6명이었으며 양측성 청력손실 4명, 편측성 청력손실 2명이었고, 여아는 양측성 청력손실 6명, 편측성 청력손실 4명으로 전체 남녀의 비율은 1:1.67 이었다. 경증, 중증도, 중증 난청 환아 수는 각각 3명, 1명, 2명이었고 최중증 난청 환아는 9명으로 이 중 5명은 양측성 4명은 편측성 청력손실이 있었다. 16명중 5명은 대한민국 보험공단에서 제시하는 고위험군에 포함되는 위험요소가 없었다. 결 론 : 본원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집중치료를 받은 환아의 0.8%에서 인공와우이식이나 언어치료가 필요한 청각이상을 나타내었다. 이는 정상 신생아에서 보고되는 청각이상에 비하여 약 10배 가량 높은 비율로 향후 의료진들의 신생아 난청의 심각성에 대한 의식변화와 제도적인 측면에서 더 많은 뒷받침으로 향상된 예후를 기대하여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