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witter metric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Altmetrics: Factor Analysis for Assessing the Popularity of Research Articles on Twitter

  • Pandian, Nandhini Devi Soundara;Na, Jin-Cheon;Veeramachaneni, Bhargavi;Boothaladinni, Rashmi Vishwanath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7권4호
    • /
    • pp.33-44
    • /
    • 2019
  • Altmetrics measure the frequency of references about an article on social media platforms, like Twitter. This paper studies a variety of factors that affect the popularity of articles (i.e., the number of article mentions) in the field of psychology on Twitter. Firstly, in this study, we classify Twitter users mentioning research articles as academic versus non-academic users and experts versus non-experts, using a machine learning approach. Then we build a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with the number of Twitter mentions of an article as a dependant variable, and nine Twitter related factors (the number of followers, number of friends, number of status, number of lists, number of favourites, number of retweets, number of likes, ratio of academic users, and ratio of expert users) and seven article related factors (the number of authors, title length, abstract length, abstract readability, number of institutions, citation count, and availability of research funding) as independent variables. From our findings, if a research article is mentioned by Twitter users with a greater number of friends, status, favourites, and lists, by tweets with a large number of retweets and likes, and largely by Twitter users with academic and expertise knowledge on the field of psychology, the article gains more Twitter mentions. In addition, articles with a greater number of authors, title length, abstract length, and citation count, and articles with research funding get more attention from Twitter users.

Who are Tweeting Research Articles and Why?

  • Htoo, Tint Hla Hla;Na, Jin-Cheon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5권3호
    • /
    • pp.48-6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the profiles of users and their motivations in sharing research articles on Twitter. The goal is to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witter as a new altmetric measure for assessing impact of research articles. In this paper, we extended the previous study of tweet motivations by finding out the profiles of twitter users. In particular, we examined six characteristics of users: gender, geographic distribution, academic, non-academic, individual, and organization. Out of several, we would like to highlight here three key findings. First, a great majority of users (86%) were from North America and Europe indicating the possibility that, if in general, tweets for research articles are mainly in English, Twitter as an alternative metric has a Western bias. Second, several previous altmetrics studies suggested that tweets, and altmetrics in general, do not indicate scholarly impact due to their low correlation with citation counts. This study provides further details in this aspect by revealing that most tweets (77%) were by individual users, 67% of whom were nonacademic. Therefore, tweets mostly reflect impact of research articles on the general public, rather than on academia. Finally, analysis from profiles and motivations showed that the majority of tweets (from 42% to 57%) in all user types highlighted the summary or findings of the article indicating that tweets are a new way of communicating research findings.

SEQUENTIAL MINIMAL OPTIMIZATION WITH RANDOM FOREST ALGORITHM (SMORF) USING TWITTER CLASSIFICATION TECHNIQUES

  • J.Uma;K.Prabh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4호
    • /
    • pp.116-122
    • /
    • 2023
  • Sentiment categorization technique be commonly isolated interested in threes significant classifications name Machine Learning Procedure (ML), Lexicon Based Method (LB) also finally, the Hybrid Method. In Machine Learning Methods (ML) utilizes phonetic highlights with apply notable ML algorithm. In this paper, in classification and identification be complete base under in optimizations technique called sequential minimal optimization with Random Forest algorithm (SMORF) for expanding the exhibition and proficiency of sentiment classification framework. The three existing classification algorithms are compared with proposed SMORF algorithm. Imitation result within experiential structure is Precisions (P), recalls (R), F-measures (F) and accuracy metric. The proposed sequential minimal optimization with Random Forest (SMORF) provides the great accuracy.

감성 분석을 위한 어휘 통합 합성곱 신경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exicon Integrat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or Sentiment Analysis)

  • 윤주성;김현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916-919
    • /
    • 2017
  • 최근 딥러닝의 발달로 인해 Sentiment analysis분야에서도 다양한 기법들이 적용되고 있다. 이미지, 음성인식 분야에서 높은 성능을 보여주었던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CNN)은 최근 자연어처리 분야에서도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Sentiment analysis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존의 머신러닝에서는 lexicon을 이용한 기법들이 활발하게 연구되었지만 word embedding이 등장하면서 이러한 시도가 점차 줄어들게 되었다. 그러나 lexicon은 여전히 sentiment analysis에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SemEval 2017 Task4에서 제공한 Twitter dataset과 다양한 lexicon corpus를 사용하여 lexicon을 CNN과 결합하였을 때 모델의 성능이 얼마큼 향상되는지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word embedding과 lexicon이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모델을 평가하는 metric은 positive, negative, neutral 3가지 class에 대한 macroaveraged F1 score를 사용하였다.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에서 역 사회공학 탐지를 위한 비지도학습 기법 (Unsupervised Scheme for Reverse Social Engineering Detection in Online Social Networks)

  • 오하영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4권3호
    • /
    • pp.129-134
    • /
    • 2015
  • 역 사회공학 기반 스팸공격은 공격자가 직접적인 공격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피해자가 문제 있는 사이트 주소, 문자, 이메일 수신 및 친구 수락 등을 통해 유도하기 때문에 온라인 소셜 네트워크에서 활성화되기 쉽다. 스팸 탐지 관련 기존 연구들은 소셜 네트워크 특성을 반영하지 않은 채, 관리자의 수동적인 판단 및 라벨링을 바탕으로 스팸을 정상 데이터와 구분하는 단계에 머물러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데이터 중 하나인 Twitter spam데이터 셋을 실제로 분석하고 소셜 네트워크에서 다양한 속성들을 반영하여 정상 (ham)과 비정상 (spam)을 구분할 수 있는 탐지 메트릭을 제안한다. 또한, 관리자의 관여 없이도 실시간 및 점진적으로 스팸의 특성을 학습하여 새로운 스팸에 대해서도 탐지할 수 있는 비지도 학습 기법(unsupervised scheme)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기법은 90% 이상의 정확도로 정상과 스팸을 구별했고 실시간 및 점진적 학습 결과도 정확함을 보였다.

지자체 사이버 공간 안전을 위한 금융사기 탐지 텍스트 마이닝 방법 (Financial Fraud Detection using Text Mining Analysis against Municipal Cybercriminality)

  • 최석재;이중원;권오병
    • 지능정보연구
    • /
    • 제23권3호
    • /
    • pp.119-138
    • /
    • 2017
  • 최근 SNS는 개인의 의사소통뿐 아니라 마케팅의 중요한 채널로도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사이버 범죄 역시 정보와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진화하여 불법 광고가 SNS에 다량으로 배포되고 있다. 그 결과 개인정보를 빼앗기거나 금전적인 손해가 빈번하게 일어난다. 본 연구에서는 SNS로 전달되는 홍보글인 비정형 데이터를 분석하여 어떤 글이 금융사기(예: 불법 대부업 및 불법 방문판매)와 관련된 글인지를 분석하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불법 홍보글 학습 데이터를 만드는 과정과, 데이터의 특성을 고려하여 입력 데이터를 구성하는 방안, 그리고 판별 알고리즘의 선택과 추출할 정보 대상의 선정 등이 프레임워크의 주요 구성 요소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실제로 모 지방자치단체의 금융사기 방지 프로그램의 파일럿 테스트에 활용되었으며, 실제 데이터를 가지고 분석한 결과 금융사기 글을 판정하는 정확도가 사람들에 의하여 판정하는 것이나 키워드 추출법(Term Frequency), MLE 등에 비하여 월등함을 검증하였다.